* 정신보건 임상심리사 1급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질환자의 의료 및 사회복귀 등의 업무를 수행할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자격제도를 제정하였습니다.
정신보건 임상심리사의 역할
사회복귀시설의 운영과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생황훈련 및 작업훈련, 정신질환자의 가족에 대한 지도와 상담, 진단 및 보호의 신청, 정신질환 예방활동 및 정신보건에 관한 조사와 연구, 기타 정신질환자의 사회적응 및 직업재활을 위한 보건복지부자아관이 정하는 활동 등을 하게 됩니다.
정신보건 임상심리사의 자격 기준
대학원에서 심리학을 전공한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3년 이상 수련을 마친 자.
취득절차와 응시과목
필기와 실기 자격시험을 합격하면 취득할 수 있으며 응시과목은 정신병리학, 심리평가, 심리치료, 연구방법론의 필수와 3가지 선택과목이 있습니다. 선택과목에는 인지치료, 행동치료, 집단치료, 재활심리학, 발달정신병리학, 신경심리학 임상현장실습, 건강심리학 지역사회심리학, 고급측정이론, 고급발달심리학, 고급생리심리학, 고급학습심리학, 고급인지심리학, 고급성격심리학, 의료 또는 보건정책론이며 평균점수 60점 이상입니다.
*심리검사 종류
다양한 심리검사를 종합적으로 실시하여 정서, 성격, 기질, 성향, 인지 능력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부모님은 자녀의 현재 심리 상태를 이해하고, 필요한 개입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정신의학과나 심리 상담 전문 센터에서 제공하는 풀배터리 종합심리검사에 포함되는 주요 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병원/센터에 따라 풀배터리 종합심리검사에 포함되는 검사의 종류는 다를 수 있습니다.)
- MMP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다면적 인성검사): 성격 및 정신병리적 특징을 평가하는 검사로, 불안, 우울, 충동성 등을 객관적으로 측정합니다.
- TCI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기질 및 성격 검사): 개인의 기질과 성격 특성을 파악하여 행동 패턴과 대인관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SCT (Sentence Completion Test, 문장완성검사): 문장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개인의 내면적 욕구와 갈등을 분석하는 투사적 검사입니다.
- HTP (House-Tree-Person,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 그림을 통해 정서 상태와 자아 개념, 대인관계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아동 행동 체크리스트): 부모 또는 교사가 응답하는 설문으로, 아동의 정서적·행동적 문제를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 SNAP-IV (Swanson, Nolan, and Pelham-IV Scale, ADHD 평가 척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관련된 증상을 평가하는 설문형 검사입니다.
-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우울 척도): 우울감의 정도를 측정하여 청소년 우울증 여부를 평가합니다.
- Y-BOCS (Yale-Brown Obsessive Compulsive Scale, 강박 척도): 강박 장애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검사로, 반복적인 생각과 행동의 정도를 측정합니다.
- SCARED (Screen for Child Anxiety Related Emotional Disorders, 아동 불안 척도): 아동·청소년의 불안 장애 여부와 그 심각도를 평가하는 설문 검사입니다.
- PAT (Parenting Stress Index, 부모 양육 스트레스 검사): 부모가 느끼는 양육 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하여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개입 방향을 설정합니다.
- KFD (Kinetic Family Drawing, 가족화 검사):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을 통해 아이의 정서적 안정감과 가족 내 역할을 분석합니다.
- BGT (Bender-Gestalt Test, 벤더 게슈탈트 검사): 시각-운동 협응 능력과 신경학적 손상을 평가하는 검사로, 발달 지연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Rorschach (로르샤흐 잉크반점 검사): 잉크반점 카드를 보고 연상하는 방식으로 무의식적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투사적 검사입니다.
- CAT (Children’s Apperception Test, 아동용 이야기 그림 검사): 동물 그림을 활용해 아이의 정서 상태와 무의식적 갈등을 탐색하는 검사입니다.
- TAT (Thematic Apperception Test, 주제통각검사): 사람 그림이 있는 장면을 보고 이야기를 만드는 방식으로 개인의 욕구와 대인관계를 분석합니다.
- K-WPPSI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웩슬러 유아용 지능 검사): 2세 6개월~7세 7개월 영유아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 K-WISC-III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 6세~16세 아동의 언어 및 수행 지능을 평가하여 학습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합니다.
- WAIS-III(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III, 웩슬러 성인용 지능 검사): 16세 이상 청소년 및 성인의 언어적 이해, 지각 추론, 작업 기억, 처리 속도를 포함한 다양한 인지 능력을 평가합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공감하라 마음을 얻을 것이니
[상담 후기] >>초3학년~중2학년까지 왕따인 아이가 사회성 극복 치료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1급(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1급(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1급(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1급(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한국아동청소년심리센터 블로그
*사진첨부: pixabay
*작성및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윤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