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친 직후 태워버립니다.
옛날에는 사진이 없어서 돌아가신 분에 대한 상징을 글로 표시하여 지방을 썼으나, 요즘은 지방대신 고인의 사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셔도 무방하겠습니다.
또한 지방은 보통 한자로 작성하여 왔지만, 요즘 들어서는 쓰기 쉽고 이해하기도 쉬운 한글지방을 사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바람직한 현상입니다.
지방작성법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으나 전통적으로 깨끗한 한지를 폭 6㎝, 길이 22㎝ 정도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위쪽을 둥글게 오려서 사용합니다. 위를 둥글게 하고 아래쪽을 평평하게 하는 까닭은 천원지방(天圓地方: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상징한 것입니다. 한 장의 지방에 남여 조상 두 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조상을 쓰며 세로쓰기를 합니다. 만약 여자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조상의 바로 오른쪽에서부터 계속 씁니다.
지방 작성법 (남자조상)
작성 예
해석 및 용례
顯 : 존경의 의미로 지방 첫글자에 항상 붙음.
考 : 모시는 대상 표시. '考'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의미. 아버지 : 顯考 할아버지 : 顯祖考 증조할아버지 : 顯曾祖考 고조할아버지 : 顯高祖考 백부 : 顯伯父 형 : 顯兄
學生 : 조상의 지위 표시. '學生'은 관직이 없는 경우임. 관직,사회직함, 학위등이 있다면 그 명을 씀. (東來府使, 國會議圓, 大法官, 社會事業家, 法學博士 등)
府君 : 제사 대상이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에 사용. 제사 대상이 자신의 아랫사람인 경우는 직접 이름을 씀.
神位 : 조상의 자리를 의미.
지방 작성법 (여자조상)
작성 예
해석 및 용례
顯 : 존경의 의미로 지방 첫글자에 항상 붙음.
비 : 모시는 대상 표시. '비'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 어머니 : 顯비 할머니 : 顯祖비 증조할머니 : 顯曾祖비 고조할머니 : 顯高祖비 아내 : 亡室
孺人 : 조상의 지위 표시. '孺人'은 지위가 없는 경우임. 관직,사회직함, 학위등이 있다면 그 명을 씀. (貞敬夫人, 利花女大總長, 社會事業家, 法學博士 등)
갑술년 오월 칠일 효자 길동은 삼가 고하나이다. 아버님과 어머님, 어느덧 해가 바뀌어 아버님(또는 어머님)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하늘과 같이 크고 넓으신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드리오니 흠향하여 주시옵소서.
[작성법]
유(維) : '이제' 라는 뜻의 예비음이다.
세차(歲次) : 해의 차례가 이어져 온다는 뜻이다. 유세차는 축문 첫머리에 항상 쓰는 문투이다.
갑술(甲戌) : 제사 지내는 해 즉, 년의 간지를 써 준다.
정미(丁未) : 돌아가신 달 초하루의 일진을 써 준다.
삭(朔) : 음력 초하루라는 뜻인데, 제사일이 초하루가 아니어도 항상 똑같이 쓴다.계축(癸丑) : 돌아가신 날 의 일진을 써 준다.
효자(孝子) : 효자는 부모 기제에 맏아들이라는 뜻이고 이 효(孝)자는 '맏이효' 자(字)로 제사를 지낼 권리와 의무가 있다는 뜻이다. 조부모 제사에는 효손(孝孫), 증조부모 제사에는 효증손(孝曾孫), 고조부모 제사 에는 효현손(孝玄孫)이라 써 준다.
길동(吉東) : 제사를 모시는 자손의 이름을 써 준다. 위 사람이나 남편이 제주일 때는 이름을 안쓰는 가문도 있다.
감소고우(敢昭告于) : '삼가 밝게 고함'. 아내에게는 감(敢)자를 쓰지 않고 소고우(昭告于)라고 쓰고 아들에 게는 감소(敢昭)를 쓰지 않고 고우(告于)라고 쓴다.
현(顯) : 모시는 대상이 손위사람인 경우에 쓴다. 즉 자손이 망부(亡父)에 대한 경어로 높혀서 말하는 것이 다. 손아래 사람의 기제일 때는 망(亡)을 쓰고, 부인일 때는 망실(亡室) 또는 고실(故室)이라 쓴다.
현고(顯考) : 현고는 아버지의 기제 일 때 쓴다. 어머니의 기제에는 현비(顯女比), 할아버지 기제일 때는 현 조고(顯祖考), 할머니 기제일 때는 현조비(顯祖女比)라 쓴다.
처사(處士), 학생(學生) : 고인의 관직이 없을 때 처사 또는 학생이라고 쓰며 고인이 관직을 가졌을 때는 고 인의 관직을 그대로 쓴다.
부군(府君) : 높여서 하는 말이다.
세서천역(歲序遷易) : '해가 바뀌었다'는 뜻이다.
휘일부림(諱日復臨) :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라는 뜻이다. 아랫사람의 기제사에는 "망일부지"(望日 復至)라 쓴다.
추원감시(追遠感時) : '세월이 흐를수록 더욱 생각이 난다'는 뜻이다.
호천망극(昊天罔極) : 흠모하거나 공손함이 클 때만 쓰되 부모의 경우에만 쓴다. "불승영모"(不勝永慕)는 조 부 이상의 경우에 쓰는데 뜻은 길이 흠모하는 마음 이길 수 없나이다의 뜻이다. "불승감창"(不勝感愴)은 남편과 백숙부모의 경우에만 쓰는데 가슴 아픔을 이길수 없다는 뜻이며 "불승비고"(不勝悲苦)는 아내의 경우에 쓰고 "정하비통"(情何悲通)은 형의 경우에 쓰며 "심훼비염"(心毁悲念)은 아들의 경우에 쓴다.
근이(勤以) : '삼가'라는 뜻이다. 아내와 아랫사람에게는 자이(慈以)라 쓴다.
청작서수(淸酌庶羞) :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이라는 뜻이다.
공신전헌(恭伸奠獻) : '공경을 다해 받들어 올린다'는 뜻이다.
상향(尙饗) : '흠향하십시오'의 뜻이다. 뒤에 년.월.일을 쓴다.
한글축문 작성법
부모(조부모) 기제사의 경우
년 월 일
아버님(또는 어머님, 할아버님 할머님) 신위 전에 삼가 고합니다. 아버님(또는 할아버님)께서 별세하시던 날을 다시 당하오니 사모의 정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오니 강림하시어 흠향하소서.
남편 기제사의 경우
년 월 일
주부 000는 삼가 고하나이다. 어느덧 해가 바뀌어 당신께서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슬픈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을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아내 기제사의 경우
년 월 일
남편 000은 당신의 신위 앞에 고합니다. 당신이 별세하던 날을 당하니 슬픔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니 흠향하소서.
지방/축문 작성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을 위하여, 지방/축문양식을 다운로드 받아 PC에서 지방/축문 문안을 작성, 편집하여 프린터로 즉시 출력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제사 때마다 지방/축문을 작성하지 않고 필요한 때 간편하게 축문/지방을 만들어 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양식은 아래아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었으므로, 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귀하의 컴퓨터에 아래아 한글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첫댓글 오우







뿌리깊은 우리들의 상식
훌륭한 지식 모셔갑니다
좋은 자료 잘 보고 갑니다..감사합니다..
자세한 자료 감사합니다.()
꼭 알아야 할 상식입니다.
고맙습니다.^*^
후손들을 위하여 널리 알려 조상을 길이는 자료로 활용하였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