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郞, 1935~2023)가 3월 3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8세. 타계한지 열흘 후에 발표한 이유는 유족들이 장례식을 가족들과 친한 사람들만 참석하게 하고 싶었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사망 소식을 발표하지 않았다고 한다.
일본 전후세대 대표 작가인 오에는 일본의 인권, 원전, 헌법개정 문제를 비판해온 진보 문인이자 사회운동가로 활동해왔다. 1935년 에히메현 산골 마을에서 태어난 작가는 도쿄대 불문학과 재학 중인 1958년 단편소설 '사육'으로 당시 최연소인 23세에 일본 최고 문학상인 아쿠타가와상을 받으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그의 작품 세계는 전후 일본 사회상을 비판하는 참여주의적 작품과 지적장애를 가진 장남 히카리의 탄생 이후의 자전적 작품으로 양분된다. 대표작인 『개인적인 체험』은 후자에 속한다. 중증 장애아를 둔 아버지의 내적 변화와 성장을 그렸다. 박유하 세종대 일어일문학과 교수는 “겐자부로는 작품 활동의 중반부라고 할 수 있는 60년대부터 자전적인 소설을 썼다”며 “아들과 함께 살아가는 과정이 작품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노벨문학상을 받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된 작품은 『만엔 원년의 풋볼』이다. 1860년 오에의 고향인 시코쿠 마을에서 일어난 민중봉기를 배경으로 국가의 폭력으로 피폐해진 개인의 삶을 그렸다. 그는『설국』으로 1968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가와바타 야스나리에 이어 1994년 일본 작가론 두 번째로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노벨문학상을 주관하는 스웨덴 한림원은 당시 오에를 “시적인 힘으로 생과 신화를 응축시켜 오늘날 인간이 처한 조화롭지 못한 모습을 자신이 창조해낸 상상의 세계 속에서 밀도 있게 그리는 작가”라고 평했다.
노벨상 수상 직후 아키히토 일왕이 그에게 문화훈장과 문화공로상을 수여하려고 했으나, "민주주의 위에 군림하는 권위와 가치를 인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 『히로시마 노트』는 피폭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삶을 기록한 르포르타주다. 그는 작품을 통해 핵의 위험성을 알렸을 뿐 아니라 사회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헌법 9조 협회’ 활동을 통해 군사력 증강을 꾀하는 일본 정부를 비판했고, 일본 정부가 일제 강점기 위안부 문제에 관해 한국에 적극적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2011년에는 작곡가 사카모토 류이치 등 일본의 문화계 저명인사들과 함께 원전 철폐를 요구하는 1000만명 서명 운동을 벌였다. 이때 그는 자신의 인생 과업은 "핵 없는 세계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라며 "원전 문제를 젊은 세대에 떠넘겨서는 안 된다"는 말을 남겼다.
오에는 한일 관계에도 큰 관심을 가졌다. 아베 신조 전 총리의 2차 집권기인 2015년 3월 연세대에서 열린 '연세-김대중 세계미래포럼'에 참가해 "일본은 아무리 사죄해도 충분하지 않을 만큼 막대한 범죄를 한국에 저질렀다. 그런데 아직도 한국인들에게 일본은 충분히 사죄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1970년대 김지하 시인이 유신 정권에 저항해 투옥되자 석방 운동을 벌여 한국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오에 겐자부로가 2005년 서울국제문학포럼에 참석해 의미심장한 예언을 남겼다는 것도 유명한 일화다. 그는 포럼 참석자 중 4명을 가리키며 향후 노벨문학상을 받을 만하다고 말했는데 불과 7년 만에 오에가 지목한 작가 중 세 명(오르한 파묵, 르 클레지오, 모옌)이 실제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오에가 지목한 나머지 한 명은 황석영이다. 그는 생전에 “한국 현대 소설을 애독하고 높이 평가한다”며 “특히 황석영은 현대의 중요한 문제를 지적하는 큰 소설을 쓴다. 개인의 내면을 그리면서도 사회로 이어지는 인간을 묘사한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