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eFp8Jgf9lhY?si=SfsOL0mcdW5GDCQy
Sibelius: Tapiola, Op. 112 ·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1925년 회갑을 맞아 핀란드 정부로부터 백장미 십자 훈장을 받은 시벨리우스는 그 이듬해 뉴욕 필의 청탁으로 이 작품을(1926) 완성했다. '타피올라'는 핀란드의 옛 신화 '칼레발라'에 나오는 숲의 신 타피오가 살고 있는 왕국을 말한다. 이 작품은 조국의 상징이기도 한 국토에 번성한 숲과 숲의 신 타피오를 장대하고 신비스럽게 그린 원숙한 만년의 걸작이며, "타피올라"는 이들 교향시 중에서 가장 쓸쓸하고 가장 차가운 작품이기도하다.
시벨리우스는 원래 가지고 있는 음악성에 기교를 불어넣은 한편 스스로 창조해낸 관현악 기법을 적극 활용하는 등 모든 면에서 최고의 음악을 자향한 <타피올라>는 그의 완숙기의 대표작이다. 이 <타피올라>가 시벨리우스 예술성이 집약된 작품이라면, 혈기왕성한 나이에 작곡한 <핀란디아>는 세계인으로부터 가장 사랑받는 핀란드 민족의 대 서사시라고 할수 있다. 폰 카라얀의 베를린 필하모니의, 도이치 그라모폰(84년) 이음반은, 싸늘하면서 회색빛이 감도는 음색으로 생생한 야성미를 살린(64년)에 비하면 치밀하면서도, 잘 다름어진 세련미가 돋보이는 음반이다.
칼레발라
이교시대(異敎時代)부터 그리스도교 시대에 걸쳐 핀란드 각지에 전승되는 전설 ·구비(口碑) ·가요 등을 집대성, 이를 선택하여 한편의 서사시로 만든 것이다. 칼레발라란 칼레바의 나라라는 의미인데 소재(所在)는 분명치 않다. 편자 엘리아스 뢴로트는 청년시절부터 전승문학에 흥미를 가지고 의학에 종사하면서 국내를 여행하여 그것을 수집, 한 편의 서사시로서 이를 재창조하였다.
1829∼1831년에 우선 《칸텔레》라는 제목으로 발표하고, 1835년에 《칼레발라》라는 제목으로 출판하였다. 그리고 그 결정판은 1849년에 완성되어 핀란드문학 최초의 일대 금자탑이 되었다. 《칼레발라》에는 일관된 줄거리는 없고, 약간의 주인공을 중심으로 한 연작적 시편(連作的詩篇)이다. 주인공으로서 가장 많은 활동을 하는 것은 음유시인(吟遊詩人) 베이네뫼이넨, 대장장이 일마리넨, 연애하는 청년 레민케이넨 등 3명인데, 이 3명이 사는 칼레발라에 대응하는 것이 포욜라의 땅으로, 이 양자의 대립이 시편의 큰 줄기가 된다. 여기에 더하여 이교 ·그리스도교 혼합인 갖가지 전설적 인물이 등장하나 농부와 포수 ·어부 등 고대 일반인의 일상생활을 구체적으로 또한 서정적으로 읊은 것도 다른 유럽의 고대서사시와 다른 점이다.
《칼레발라》의 전신인 《칸텔레》라는 이름은 핀란드 고유의 현악기의 이름이며 이 칸텔레를 창조한 것이 베이네뫼이넨이다. 풍부한 모음(母音)으로 새긴 시구(詩句)는 간결하고 힘차며, 두운(頭韻)과 각운(脚韻)의 고상한 가락도 이 작품의 특징이다. 현대 핀란드의 대작곡가 시벨리우스는 《칼레발라》에서 영감을 받아 많은 작곡을 하였다. 또 미국의 롱펠로는 《칼레발라》의 시법(詩法)과 인물에서 암시를 받아 《하이어워서》(1855)를 썼다고 한다. 오랫동안 러시아와 스웨덴의 지배를 받은 핀란드인들은 자신들의 뿌리를《칼레발라》에서 찾아내어 독립의 길을 찾았다.
글쓴이 : 베토벨라
https://youtu.be/i9t0C3l4kG4?si=9ddO6yLbNBtjkicS
Sibelius: Finlandia, Tapiola - Berglund, Bournemouth Symphony Orchestra(본머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Conductor: Paavo Berglund(지휘: 파보 베르글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