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진오기굿의 해설
개요
진오기굿은 서울을 비롯한 한강 이북의 경기지역과 황해도 등지에서 강신무에 의하여 전승되는 넋굿이다.
진오기새남ㆍ진오귀굿ㆍ진오기굿이라고도 한다.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으로 천도(薦度)시키기 위하여 행하여지는 것으로, 전라도의 씻김굿이나 동행안의
오구굿
등과 그 기능이 같다.
이 외에 부산지방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산 오구굿이 있는데 이는 산 사람이 죽은 후에 영혼이 좋은 곳으로 천도되
기를 바라면서 행하는 것이다. 그 기능이나 집단적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 등에서 전라도의 산씻김굿이나
불교의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와 비슷하다.
진오기굿 특유의 내용을 요약하면 영실ㆍ시왕ㆍ사재ㆍ말미ㆍ도령ㆍ다리가르기로 볼 수 있는데, 이는
황해도
진오기굿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황해도 진 진오기굿은 초부정ㆍ수왕제석ㆍ사재ㆍ넋대내림ㆍ맑은혼맞기ㆍ시왕가르기ㆍ뒷전으로 진행된다.
초부정굿에서는 조상과 망인의 넋을 모셔들인다. 수왕제석은 열시왕을 모시는 굿이고, 사재는 사재삼성과 동일하다.
영실은 황해도의
넋대내림 등과 비슷하지만, 무당이 아닌 일반인에 의하여 넋두리가 행하여진다는 점이 다르다.
넋두리와 한풀이로 깨끗해진 혼을 맞아들인 다음
저승으로 천도하는데, 시왕가르기는 다리가르기와 동일한 의례이다.
그러나 황해도지역에는 바리공주무가가 전승되지 않고 있다.
굿 하는 시기와 장소
사람이 죽어 매장한 뒤 곧바로 하는 진 진오기와 탈상 무렵 또는
몇 년 후에 날을 받아서 행하는 마른 진오기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같은 진오기굿이라는 명칭을 사용해도 서울ㆍ경기지역과 황해도의 진오기굿은 그
절차 및
내용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는 전라도 씻김굿에서 곽머리씻김과 날받이씻김, 또는 마른씻김과 유사한 분류이다.
진오기는
죽음으로 인해서 발생한 부정을 가시는 기능이 강하고, 마른 오구는 영혼천도에 보다 주력하여 성격이
조금 다르다.
무당과 악사
강신무들에 의해 행해지는 진오기굿은 세습무들이 행하는 씻김굿이나
오구굿과 그 목적이 같다.
하지만 내용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진오기굿에서는 무당이 죽은 이의 넋을 올려 넋두리를 하면서 한을
풀게
되는데, 오구굿에는 친지가 넋을 올리는 강신너름이 있어 이를 대신한다. 씻김굿에서는 고풀이와 씻김이 죽은
이의 한을 풀고 깨끗한 존재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또한 진오기굿의 도령과 길가름은 씻김굿이나 오구굿의 길닦음과 같이 망인을 저승으로 보내는 굿이다.
이렇게 굿을 받은 망인은
생전의 한을 풀고 저승으로 가고 산 사람은 죽음의 부정에서 벗어나 이승에 남는 생사의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서 굿을 마치게 되는 것은 모두
같다.
서울 진오기굿의 구성
서울ㆍ경기지역의 마른 진오기굿의 절차를 보면 일반적인 재수굿에 망인천도(亡人遷度) 내용이 첨가된다.
곧 부정(不淨)ㆍ 청배(請陪)ㆍ
가망ㆍ말명ㆍ상산(上山)마누라ㆍ별상ㆍ영실ㆍ대감(大監)ㆍ제석(帝釋)ㆍ부(倡夫)ㆍ
뒷전 등이 먼저 행해지는데, 이는 영실만 제외하고는 재수굿과
대동소이한 것이다.
영실은 무당에게 망인의 넋이 실려 넋두리하면서 가족과 친지들을 만나보는 굿이다.
이어서 본격적으로 망인을 위한 굿이
다시 시작되는데, 뜬대왕(시왕가망)ㆍ중디청배(시왕중디)ㆍ아린말명(시왕말명)
ㆍ사제삼성ㆍ말미ㆍ도령돌기ㆍ뒷영실ㆍ다리가르기ㆍ진오기뒷전의 순서로
진행된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저승을 관장하는 열시왕(十大王)을 모시고 조상(말명)을 모셔 들인 다음, 망인을 저승으로
데려갈 사재(使者)를
청한다.
말미는 저승에 가서 약물을 구하여 와 부모를 살린 효녀 바리공주의 일대기를 창하는 것이다.
이 지역에서 바리공주는
무조신(巫祖神)으로 신앙된다. 도령은 바리공주가 망인을 모시고 저승으로 천도하는
과정을 연극적으로 모의하는 굿이다.
이때 망자의
신발과 의복, 그리고 말미를 위한 조그마한 제상인 말미상이 무당 앞에 차려진다.
제상 위에는 먼저 향로 하나와 양초 둘이 놓이고, 거기에 쌀을
부어 둔다. 그 쌀을 종이로 덮고 그 위에다 종이를
꼬아 발을 세 개 달아놓은 ‘새발심지’를 올려놓는다.
바리공주 사설이 다 끝난 뒤 무당은 그
새발심지에 불을 붙인다. 그것이 다 탄 뒤 쌀 위에 덮어 놓은 종이를 치우면
거기에 어떤 발자국 비슷한 것이 남는데, 그것을 해독하여 망자가
무엇으로 다시 태어날 것인지를 점친다.
마지막으로 망인의 넋두리와 가족과의 작별인 뒷 영실을 하고, 무녀가 무명과 베를 몸으로
가르는 것으로 저승으로
가는 길을 갈라준다. 다리가르기는 저승 가는 길을 똑바로 인도해준다는 의미 외에 이승과 저승을 확연히 갈라 이제
부터
망자는 이승에 머물 수 없는 존재임을 암시하는 의미도 가진다. 끝에는 진오기뒷전으로 굿을 마친다.
1. 주당, 부정, 청배,
댄주
2. 물구가망거리, 물구말명거리
3. 초영실
4. 조상거리
5. 상산마누라거리
6.
별상거리
7.신장거리
8. 원영실
9. 대감거리
10. 창부거리
11. 뒷전
12. 시왕가망거리,
시왕말명거리
13. 사재삼성
14. 말미 또는 바리공주
15. 도령
16. 베째
17. 상식
18.
뒷영실
19. 시왕군웅
20. 진오기 뒷전
굿당과 상차림
진오기굿 가운데 짝지어 주는 굿은 주로 화주당에서 베풀어진다.
화주당에는 총각이나 처녀로 죽은 이들의 위패가 많이 모셔졌는데, 일 년에 한 번 그것을 소각할 때 흔히
그 굿을 행하였다.
한편
넋건지기굿에서는 무당이 배를 타고 익사현장으로 나갔다. 굿 도중에 죽은이의 넋에 씌면 허리에다 무명을
묶고 무당이 물에 뛰어들고, 그러면 장단을
요란히 쳐 대며 다른 무당이 무명필을 계속 풀어주었다.
무당은 죽은이의 시신이나 머리카락이나 옷을 건져 오기도 하였다. 옛날에는 이런 굿에
이름난 용한 무당이 누구
라며 손꼽았으나, 이즈음에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진오기굿의 상차림은 매우 화려하다. 모셔지는
신령도 많을뿐더러 고인을 위한 가족들의 정성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굿상을 향하여 보아 위쪽으로 왼편에 시왕상, 가운데에 최영장군을 위한 큰상
및 별상을 위한 공상, 그 오른편에는 곁상
또는 조상상이 차려진다. 그 앞줄에는 시왕상 앞에 물구가망, 물구말명상과 웃대감상이, 조상상 앞에
아랫대감상이
진설되고, 그 사이에 망인을 위한 안주상이 놓인다. 웃대감상 앞으로 망재옷상이 있고, 아랫대감상 앞에는 사재(使者)
상과 뒷전상이
자리한다.
안주상의 숭어찜은 특히 주목을 요한다. 이것은 진오기굿의 상차림에만 등장한다. 숭어는 본디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사는 물고기이다. 강을 이승세계, 바다를 저승세계로 여기고, 이승과 저승이 만나는 지점에 망자가 있는 것으로
보기에 숭어가 진오기굿에 쓰이는
것이다. 숭어의 등을 일곱 번 칼로 저며 찜을 만든다.
무복/무구
서울 무당들의 옷은
화려하다.
거리마다 구색을 갖추는데, 쾌자에 빨간 동달이를 입고 부채와 방울을 들거나(조상거리), 쾌자와 전복에 남철릭을
입고 빗갓을
쓴다(상산거리).
여기서는 굿거리에 맞추어 노리개, 부채, 술대를 들기도 하고, 또 월도와 삼지창을 양손에 들고 춤추기도 한다.
쾌자와 전복에
안울립벙거지를 쓰고 부채와 삼지창을 들거나(별사어리), 몽두리를 입고 큰머리를 얹고 족두리를 쓴 채
의자에 앉아(말미 또는 바리공주), 무가를
구송하는 동안 오른손으로 북방망이를, 왼손에는 방울을 들고서 때때로 두드
리고 흔든다.
도령거리에서는 큰머리를 하고 그 위에 족두리를 하고 비녀를
지른다. 몽두리 위에는 활옷을 펴 입는다.
특이한 소품이 숫팔년꽃이다. 연꽃과 모란꽃 모양의 조화(造花)인데, 불교적 성격이 다분히
짙다. 망자가 부디 극락으로
올라가서 꽃 주위에 있기를 바라는 뜻이라고 한다.
공상에 올리는 질방도 재미있다. 이것은 궁중음식의 차수과와 같은
형태인데, 흰색과 붉은 색 물을 들여 길이 5.5cm에
너비 3cm 크기의 실패 모양으로 둘둘 말아 기름에 튀겨낸 것이다.
망자, 상산님,
별상님이 오셔서 제물을 이 질방으로 짊어지고 가라는 뜻이 담겨 있다.
무가/무악
서울
굿은 신의 체험을 경험하는 강신무 의 노래와 춤을 삼현육각(三絃六角) 편성의 악기로 반주한다.
서울 굿의 음악은 삼현육각(三絃六角) 편성, 즉
피리ㆍ대금ㆍ해금ㆍ장구ㆍ북 등으로 반주한다.
서울 굿의 악사들은 대개 무악을 집안 대대로 전승하는 세습음악가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서울 굿은
강신무인 무당과
세습음악가인 악사가 섞인 것으로서, 다른 지역의 무악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형태의 것이다.
서울 굿에서 부르는 무가는
청배 , 만수받이, 노랫가락, 타령 등이 있다. 이 중 청배와 만수받이는 신을 굿판에 청하기
위해 부르는 청배무가이고 노랫가락과 타령은 굿판의
신을 즐겁게 놀리기 위해 부르는 오신무가이다.
무가로 시작하는 거리는 부정ㆍ가망청배거리와 산제석거리, 그리고 뒷전 등이 있다.
서울 굿에서는 무당의 춤을 반주하는 여러 종류의 무악이 연주된다.
춤 반주를 위한 장단에는 굿거리 장단, 당악 장단, 염불 장단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행진할 때 치는 길군악 장단과
절을 할 때 연주되는 거상 장단이 있다.
요즘의 모습
죽음에 관한 관심은 언제나 깊어서 넋굿은 늘 주목을 받는다. 그러나
오늘날의 굿들을 전통적인 형태로 보기에는
곤란한 점이 많다. 조선왕조 이래 무는 사회적 억압과 오해 속에서 심한 변화를 겪어왔기 때문이다.
굿은
약식으로 적당히 치러지고, 신당은 축소 내지 변형되었는가 하면, 단골들은 더 이상 옛 종교적 태도를 견지하지
않는다. 그런 가운데 많은 무당들이
심히 물질 위주로 흘렀고 세속화되어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진오기가 무의 주요 종교의례로 부상하여 왔다. 한 세대 전만 해도
재수굿이 굿의 주종을 이루었
는데, 이즈음은 재수굿과 진오기가 합쳐진 형태의 것이나, 약식화 된 진오기가 오히려 더 빈번히 베풀어지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포함하여 무가 변화되어 있는 현상은 물론 그 나름의 배경을 갖고 일정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그것은 현상을 분석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지 모르나, 무의 본디 종교적 형태나 한국 전통의 종교적
관념은 결코 아니다.
참고문헌
김수남 사진ㆍ조흥윤 글,『서울
진오기굿』,열화당,1985.
김태곤,『한국무속연구』,집문당,1981.
황루시,『한국인의 굿과 무당』,문음사,1988.
펌출처: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2&cp_code=cp0444&index_id=cp04440057&content_id=cp044400570001&search_left_menu=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