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삶을 사셨던 문학인이 사망하셨습니다. 마지막 유언도 남북한 어린이를 사랑하시는 마음입니다. 소리만 무성했지 실천하지 못하는 삶을 반성하며 고인의 명복 머리 숙여빕니다.
[조시]
이제, 당신이 안길 차례입니다.
'강아지똥' 아동 문학가 권정생 선생 별세
강정규
2007, 518 하루 앞두고
56 년 만에 통일 기관차 휴전선 처음 넘던 날
당신 민들레 홀씨 되어 홀연히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
어머니 사시는 그 나라에는
옆구리 고름 주머니 떼어 버려도 되겠지요.
부디 이제 어머니 품에 안기소서
사람들 하찮게 여기는 것 귀하게 여기고
사람들 귀하게 여기는 것 하찮게 여기고
이 땅에서 당신, 가장 낮고 천하게 사셨으므로
가장 높고 귀했습니다.
사람들 좋아하는 것 단호히 뿌리치고
사람들 피하는 것 품 열고 받아들이며
사시사철 무르팍 나온 싸구려 바지, 검정 고무신 신고
빌뱅이 언덕 및 흙집 마당
개구리 풀꽃이며 메뚜기 지렁이까지 친구였습니다
여기서 당신, 상 타지 않았으므로 거기서
받을 상이 크고,
누구보다 아팠으므로 이제 거기서 위로 받을 차례입니다.
여기서 당신, 충분히 슬펐으므로
외로워 울었으므로 누구보다
가난하였으므로 거기서 마땅히 풍요를 누리소서.
그래야 우리가 위로를 받습니다
살아 이 땅의 어린이들 살찌우고,
죽어서 재 되어 이 땅의 나무 거름 된다 하셨지요.
여기서 당신, 옆구리 고름 주머니 차고
매일 조금씩 자신을 죽여가며
우리네 젖줄 되어 먹이셨으니 이제
어머니 사시는 그 나라에서는 당신이 젖먹이
아기 되어 부디 어머니 품에 안기소서.
이제, 당신이 맘 놓고 안길 차례랍니다.
-2007년 5월 17일 깊은 밤에 (2007. 5. 18. 소년한국일보)
<관련기사>
故권정생 "인세 어린이 위해 써달라"
'몽실언니' 아동문학가 권정생씨 별세
'무소유'를 실천하며 소박한 삶을 살아오다 17일 세상을 떠난 아동문학가 권정생씨가 어린이들을 위해 인세를 써달라는 유언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권정생과 함께하는 모임' 회원이자 장례위원인 최윤환씨는 "'인세는 어린이로 인해 생긴 것이니 그들에게 돌려줘야 한다. 어린이들을 위해 써달라'는 내용의 유서가 자택에서 발견됐다"고 18일 밝혔다.
최씨는 "유서에는 '남북한이 서로 미워하거나 싸우지 말고 통일을 이뤄 잘 살았으면 좋겠다'는 내용과 시신을 화장해서 집 뒷산에 뿌려달라는 내용도 적혀 있었다"라면서 "고인의 생전 삶의 철학이 마지막 남긴 글에도 그대로 담긴 것 같다"고 말했다.
작고 보잘 것 없는 사물을 보듬는 따뜻하고 진솔한 글을 써왔던 것처럼 고인은 고집스러울 정도로 물질주의와 담을 쌓고 어려운 이들을 위해 살았다고 지인들은 전했다.
'강아지똥'과 '몽실언니'가 각각 60여만 부나 팔리는 성공을 거뒀지만 고인이 소유한 것은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의 5평 남짓한 오두막집이 전부였다.
그는 모든 상을 거절하는 것으로도 유명했는데 1995년 아동문학가 윤석중씨가 고인의 의사를 묻지 않고 '새싹문학상' 수상자로 선정, 오두막으로 직접 상패와 상금을 가져오자 다음 날 우편으로 돌려보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김용락 시인은 "권정생 선생님은 거의 모든 인세 수입을 자선 단체에 기부했으며, 자신이 세상을 떠나면 오두막을 없애 자연 상태로 돌려놓고 자신을 기념하는 일을 하지 말라고 늘 당부하셨다"라면서 "진정한 무소유의 삶을 사셨던 성자"라고 고인을 회고했다. (2007. 5. 18. 연합뉴스)
이오덕선생 소개글 퍼왔습니다. 감사합니다^^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1925년 11월 14일 경상북도 청송에서 태어나, 1943년 영덕농업학교를 졸업하였다. 이듬해 초등 교원자격시험에 합격한 뒤, 1986년 전두환(全斗煥) 군사정권의 교육행정에 대한 간섭이 싫어 스스로 교직을 그만둘 때까지 43년 동안 초등학교 교사·교감·교장을 지냈다.
1954년 《소년세계》에 동시〈진달래〉를 발표한 뒤, 197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와 수필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그러나 등단하기 이전에도 활발한 작품활동을 해 《별들의 합창》(1966), 《탱자나무 울타리》(1969) 등의 동시집을 출간하였다. 1983년에는 교사들을 모아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를 만들고, 퇴임 후에는 우리말연구소를 만들어 글쓰기 교육운동과 우리말 연구에 힘썼다.
특히 지식인들이 일반적으로 써 오던 어눌한 번역말투와 일본말투의 잔재를 걸러내고 우리말과 글을 다듬은 저서 《우리문장 바로쓰기》(1992)와 《우리글 바로쓰기》(전3권, 1995)는 이 분야의 명저로 꼽힌다. 또 교육현장에서 쓰는 '글짓기'라는 용어를 '글쓰기'로 고쳐 쓸 것을 주장하고, 어린이들이 쓰는 말과 글이 곧 훌륭한 문학이라는 믿음 아래 10여 권이 넘는 어린이들의 문집을 간행하는 등 어린이 글쓰기 운동에도 열성을 쏟았다.
1965년에 출간한 첫 저서 《글짓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아동문학 평론집 《시정신과 유희정신》(1977) 외에《삶을 가꾸는 글쓰기교육》(1984),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1993), 《우리말 바로쓰기》(1990), 《문학의 길 교육의 길》 등 50권이 넘는 책을 펴냈다.
아동문학가 권정생(權正生)을 발굴하였으며, 한국아동문학상(1976), 단재상(1988),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참교육상(1999), 은관문화훈장(2002)을 받았다.
첫댓글 삼가 명복을 빕니다.권정생선생님께서는 멍뭉이들과 사셨다고 하는 데 그 녀석들은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