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사병과 열사병의 증상과 대처법!!
본격적으로 무더위와 폭염시 시작되면서, 외부에서 활동하시는 분들은
일사병과 열사병을 조심하셔야 하는 계절이 돌아오고 있습니다!!
일사병과 열사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해마다 늘고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일사병과 열사병의 증상과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열사병, 일사병, 열탈진, 열경련등으로 인해 병원을 찾는 환자 수가
해가 갈수록 더 많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5년 평균치를 보면 위의 증상으로 찾는 환자의 수는 7월 2,670명, 8월 3,667명으로
다른달보다 7-8월이 특히나 많구요, 2010년에 만오천명이던 환자 수는 2014년 기준으로
만육천명으로 5년동안 무려 10%정도, 연평균 2.6%정도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열사병과 일사병의 비슷한 말들 때문에,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일사병
더운 공기와 강한 직사광선을 오래 받아 우리 몸이 체온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생기는
질환 입니다.
흔히 더위먹었다 라고 표현하는 증상이 바로 일사병을 말합니다.
일사병은 무력감, 현기증, 심한 두통이 나타나며 피부는 차갑고 촉촉하며 체온 변화가
크지 않은 것이 특징 입니다.
열사병
일사병과 마찬가지로 매우 더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됐을 때 생기는 질환입니다만,
일사병은 땀이 많이 나는 반면, 열사병은 피부가 뜨거워지고 고열을 동반하지만,
또 땀은 흘리지 않는것이 특징 입니다.
증상은 일사병과 비슷하지만, 열사병은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무서운
질병 입니다.
일사병 대처요령
일사병은 응급처치가 요구되는 질환으로 환자가 발견된다면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그 후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겨 옷을 느슨하게 하고, 다리를 20센치미터정도 올린
상태로 눕힙니다.
경련이 있는 근육은 부드럽게 풀어주고, 시원한 물에 담근 수건과 선풍기로 환자의 체온을
내려줘야 합니다.
열사병 대처요령
의식이 없거나 땀이 나지 않는다면 열사병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열사병은 일사병보다 더 심한 경우로 무더위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체온조절 중추의 능력이
상실 돼 밖의 온도가 높음에도 몸 안에서 열 생성을 계속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열사병에 걸리게 되면 환자는 의식이 없어지고 체온이 40도 이상까지 오르며, 이미 탈수가
진행된 상태로, 빨리 병원이로 이송해 치료받아야 합니다.
열사병은 제일 중요한 점은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체온을 떨어뜨려 주는것 입니다.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긴 후 환자의 옷을 벗기고 물로 몸을 닦아 주면서 선풍기나
부채를 이용해 증발에 의한 열 발산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빨리 병원으로 이송해야 합니다.
특히 영아나 어린이의 경우, 급격한 체온소실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미지근한 물로 체온을 내려 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