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산불) 총 5건 발생(완진), 2.73ha 소실 * 인명피해 없음
- 발생지역 : 전북 장수, 경기 연천, 인천 서구, 경기 양평, 강원 홍천
※ 발생원인 : 입산자실화 2, 전기누전 1, 쓰레기 소각1, 원인미상 1
- 동원현황 : 헬기 18대(산9, 임5, 소1, 군3), 인력 601명(공무원 179, 소방 70, 진화대 237, 기타 115)
-《DMZ 산불 대처상황(8건)》
- 완 진 2건 : 15사단, 12사단
- 진화중 6건 : 1사단(4.25.12:10~, 잔불진화), 25사단(4.26.18:10~), 3사단(4.27 12:38~), 28사단(4.26. 16:40~), 21사단(4.28. 11:21~), 15사단(4.28. 13:30~)
※ 야간 감시, 방화선 기 구축, 주요 목지점 살수차․소방차 대기
▲ (해외재난) 네팔 지진(4.25. 11:56(현지시간), 규모 7.8) 관련 대처상황
- 피해현황 : 사망 5,057여명, 부상 10,915여명 * 이재민 800만명 추정(UN)
※ 현지교민 피해 : 부상 3명(여행객 2, SK 건설업체 직원 1) * 추가 피해신고 없음
- 주요 조치사항(4.28~)
- 항공수요 파악 및 수송지원 관련 관계관 회의(15:00, 국토․외교․교육부 등)
※ 현지 여행객(창원 태봉고 이동학습 48명 등) 수송을 위해 대한항공 1편 출발(4.30) 잠정 결정
- 해외긴급구호대 1진 15명 현지도착, 탐색 및 구조활동
- 대한적십자사 긴급구호선발대(엄홍길대장 외 4명) 파견(4.29~5.18)
-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25개 한국민간단체 현지 파견
▲ 호우 대처상황(4.28~29)
- 피해상황 : 건축물 3동 침수(주택 2·공장 1, 완도군 금일읍), 배수완료
- 통제상황 : 탐방로 34개소(다도해 11, 지리산 17, 한라산 6)
- 대처상황 : 급경사지, 상습침수지역 등 재해취약시설 사전점검 및 예방활동 강화
- 비상근무 173명(중앙 11, 전남 등 3개 시‧도 133, 국립공원 29)
- 인명피해우려지역 사전점검 102개소, 배수펌프장 8개소 가동준비
▲ 구제역 대처상황 * 최초(’14.12.3, 충북 진천) / ‘경계’ 발령(’14.12.18)
- 발생(누계) : 7개 시·도(33개 시·군), 183개 농장(돼지 179, 소 4) *변동 없음
※ 4.28 충남 천안 한우농장 1개소 의심축 신고 / 홍성 돼지농장 1개소 정밀검사
▲ (수난사고) 광주 도덕동 지동저수지내『군 훈련중 익수사고』
- 15:33, 육군보병학교 교육훈련중 익수 실종(2명), 119구조대 구조후 병원이송(사망)
※ (국민안전처) ‘재난․위기상황 교육․훈련 시 인명피해 방지 안전사고 유의’, 중앙․지자체 공문 발송
■ 재난안전 예방활동 및 훈련
▲ 국민안전처, 지자체와 함께하는 현장점검*(4.29)
- 국민안전처장관, 고용․환경․행자부, 울산시장․군수․구청장, 산단 입주사 CEO 등 참여/삼성정밀화학, 119화학구조센터 등 현장점검
*17개 시․도지사와 함께하는 현장점검을 정례화(매월 2회)하여, 재난대응 협력체계 강화
▲ 국민안전처, 민․관 합동 야영장 안전관리 강화 TF 3차회의(4.29)
- 문체․여가․환경부 등 7개 부처, 경기․강원도, 민간전문가 등 참여/야영장 통합 안전기준안 및 주요 안전대책안 발표․토의
▲ 교육부, 네팔 지진 관련 ‘교육부 대책반’ 구성․운영(4.27)
- 교육부 교육안전정보국장, 담당과장 등 7명으로 구성 / 네팔 포카라 지역에 머물고 있는 창원시 태봉고 학생․교사 48명의 조기 귀국과 구호 지원
▲ 환경부, 울산 장생포항 오염퇴적물 정화사업 착수(4.28)
- 2015년부터 5년간 국비 340억 원을 투입, 267,440㎡의 해역에서 오염 퇴적물 211,549㎡ 수거․처리 계획/금년에는 36,225㎡ 수거․처리 예정
▲ 국토부, 5월 황금연휴기간(5.1~5.5) ‘특별교통대책 마련’(4.28)
- 열차․고속버스․항공기․여객선 증회 운영,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고속도로 휴게소․공항․선착장 등의 편의증진, 종사자 교육․상황근무 강화 등
■소방안전 활동 상황
◇ 소방활동 총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