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 죽었다"로 유명한......
철학자 니체는 미쳐서 죽었습니다.
그의 말년 모습은 강렬한 충격으로 다가
옵니다.
1889년 겨울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휴가를 보내던 니체는 집을 나선다.
우체국으로 편지를 부치러 가다,
광장에서 매를 맞는 늙은 말을 발견합니다.
무거운 짐마차를 끌고 가던 말은 미끄러운 빙판길에서,
그만 발이 얼어붙고 맙니다.
겁먹은 말은 마부가 아무리 채찍을 휘둘러도 움직이지 않고,
마부는 화가 나서 더욱 세차게 채찍질을 한다.
그 광경을 본 니체는 갑자기 마차로 뛰어 들어,
말의 목에 팔을 감고 흐느낍니다.
이웃이 그를 집으로 데려갔고,
그는 침대에서 이틀을 꼬박 누워 있다가 몇 마디 말을 웅얼거립니다.
“어머니, 전 바보였어요."
그 후로 11년 동안 정신 나간 상태로 침대에 누워 죽음을 맞는다.
니체가 늙은 말을 부둥켜 안은 것은,
존재에 대한 연민 때문이었을 것이다.
짐마차를 끌고 가는 말과 삶의 등짐을 지고 가는 자신을 같은 처지로 여기고,
감정이입을 했는지도 모른다.
무거운 짐을 벗어 던지지도 못한 채,
채찍을 맞아야 하는 삶이라면 얼마나 고달픈가?
그것이 가죽의 채찍이든, 세파의 채찍이든, 말이다.
니체가 눈물샘이 터져 울부짖은 것이 바로 그 지점이다.
1960년 방한한 미국 소설가 펄벅은 니체와는 전혀 다른 경험을 한다.
그녀는 늦가을에 군용 지프를 개조한 차를 타고 경주로 향해 달렸다.
노랗게 물든 들판에선 농부들이 추수하느라 바쁜 일손을 놀리고 있었다.
차가 경주 안강 부근을 지날 무렵,
볏가리를 가득 실은 소달구지가 보였다.
그 옆에는 지게에 볏짐을 짊어진 농부가 소와 함께 걸어가고 있었다.
그녀는 차에서 내려 신기한 장면을 카메라에 담았다.
펄벅이 길을 안내하는 통역에게 물었다.
“아니, 저 농부는 왜 힘들게 볏단을 지고 갑니까?
달구지에 싣고 가면 되잖아요?”
“소가 너무 힘들까봐 농부가 짐을 나누어 지는 것입니다!"
펄벅은 그때의 감동을 글로 옮겼다.
"이제 한국의 나머지 다른 것은 더 보지 않아도 알겠다.
볏가리 짐을 지고 가는 저 농부의 마음이 바로 한국인의 마음이자,
오늘 인류가 되찾아야 할 인간의 원초적인 마음이다.
내 조국, 내 고향, 미국의 농부라면 저렇게 힘들게 짐을 나누어 지지 않고,
온 가족이 달구지 위에 올라타고 채찍질 하면서 노래를 부르며 갔을 것이다.
그런데 한국의 농부는 짐승과도 짐을 나누어지고,
한 식구처럼 살아가지 않는가?”
동물이든, 사람이든, 모든 생명체는 자기 삶의 무게를 지고 간다.
험난한 생을 견뎌내는 그 일만으로도 충분히 위로받을 자격이 있다.
하물며 같은 종의 인간끼리라면 더 말할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그런 마당에 SNS에는 오늘도 비수 같은
말들이 홍수를 이룬다.
우리 모두는 늙은 말에 채찍질하는 마부이기 보다는,
등짐을 나눠지는 농부였으면 합니다............................!
장마철에 충청권을 중심으로 전국에 많은 비가 내리겠답니다.
감기 같은 코로나도 확진자가 3만명 이상으로 더 증가하고 있네요. 건강 조심하시고 기분 좋은 하루 되세요.♡^♡
▶디모데전서 6장 15~16절
15. 기약이 이르면 하나님이 그의 나타나심을 보이시리니 하나님은 복되시고 유일하신 주권자이시며 만왕의 왕이시며 만주의 주시요
16. 오직 그에게만 죽지 아니함이 있고 가까이 가지 못할 빛에 거하시고 어떤 사람도 보지 못하였고 또 볼 수 없는 이시니 그에게 존귀와 영원한 권능을 돌릴지어다 아멘.
▶이사야서 40장 28~31절
28. 너는 알지 못하였느냐 듣지 못하였느냐 영원하신 하나님 여호와, 땅 끝까지 창조하신 이는 피곤하지 않으시며 곤비하지 않으시며 명철이 한이 없으시며
29. 피곤한 자에게는 능력을 주시며 무능한 자에게는 힘을 더하시나니
30. 소년이라도 피곤하며 곤비하며 장정이라도 넘어지며 쓰러지되
31. 오직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 힘을 얻으리니 독수리가 날개치며 올라감 같을 것이요 달음박질하여도 곤비하지 아니하겠고 걸어가도 피곤하지 아니하리로다.
☆ 좋은 자료 카톡으로 받아서... "말씀추가 수정하여 티니피플"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