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부지 호주 전기세 7월1일부터 또 인상

시드니와 NSW주의 대표적 전기 공급업체인 에너지 오스트레일리아가
7월 1일부터 전기세 인상을 단행한다.
인상폭은 19.6%로 주내의 가구 당 연 평균 320달러 가량의 추가 전기세 부담이 예고됐다.
에너지 오스트레일리아는 전기료 인상에 앞서 가스요금도
다음달부터 6.6% 인상키로 결정한 바 있다.
가스료는 가구 당 연평균 50달러의 추가 부담을 예고하고 있다.
이에 앞서 'AGL 에너지'도 가정용 전기료를
NSW주에서 16.1%, 캔버라 등 ACT에서19% 각각 인상한다고 발표했고,
‘오리진 에너지’ 역시 가정용 전기세 16%, 사업용 전기세에 대해 18%의 인상 방침을 밝혔다.
이처럼 주요 전기공급업체들의 전기세 인상이 이어지면서
겨울철 서민 가계 부담은 한층 커질 전망이다.
시드니와 NSW주의 전기료는 지난해에도 평균 8% 인상된 바 있으며,
이같은 전기세 폭등 현상은 시드니에만 국한되지 않을 전망이다.
남부호주 주 역시 NSW주와 비슷한 폭의 전기세 폭등이 예고됐으며,
퀸슬랜드주도 가정용 전기세 3.3%, 상업용 전기세 4.1%의 인상이 예상된다.
그나마 퀸슬랜드 주의 전기세 인상폭이 시드니와 NSW주에 못미치는 것은
주정부 차원에서 7억7천 만달러의 전기료 인상 억제 대책을 마련했기 때문.
이처럼 에너지 비용이 지속적으로 치솟는 이유에 대해
전기공급업체들은 이구동성으로 “석탄 발전소의 폐쇄에 따른 전기 공급 불안으로
최근 1년간 공급 비용이 두배 가량 뛰어올랐기 때문”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후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새로운 투자가 정체된 것도
이같은 전기세 폭등의 원인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최근 연방정부는 풍력 및 태양열 발전 의존도를 계속 높이겠다며
탄소발전에 대해 유보적 자세를 보이면서
이같은 에너지 정책의 불확실성은 커져만 가고 있는 것.
뿐만 아니라 고용시장 강세 대비 임금 인상률은 정체 상태일뿐더러
주거비는 크게 오르고 있어 전기세 폭등 현상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여파는
더욱 큰 것으로 풀이된다.
©TOP Digital/18 June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