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굴비 한 두름
조정
(사)한국문인협회밴쿠버지부
맛의 기억은 회귀본능을 일깨운다. 텃밭에 올라온 여린 머위와 미나리를 조물조물 무쳐 맛을 보니 아득한 고향 들판이 파노라마 영상으로 펼쳐진다. 나물 바구니를 든 어릴 적 친구 얼굴도 아지랑이 속에서 가물거린다. 기억회로에 깊이 저장돼 있다 불현듯 나타나는 고향 들녘은 나를 설레게 한다. 모든 것이 신비롭게 채색돼 있던 그때 그 시절을 다시 살아보고 싶은 간절함에 목이 메는 봄이다. 이제 밖으로 떠돌던 삶의 여정은 뿌리를 찾아 태어난 곳으로 돌아가려나 보다.
추억의 절반은 맛이라 했던가, 장독대 위로 하얀 살구꽃이 분분히 날리고 키 큰 참죽나무 울타리가 늘어선 고향 집 뒤란이 다가온다. 병아리들을 거느린 암탉이 골담초 가지 밑에서 쉴 새 없이 흙을 파헤치고 바지랑대로 한껏 높인 빨랫줄에선 굴비 두름이 봄바람을 타고 있다. 어슴푸레 산 노을이 내려앉으면 허름한 밥상을 풍족하게 할 알배기 굴비가 화덕 위에서 지글대고 그 고소한 냄새가 울타리 밖으로 퍼져 나온다. 엄마가 나를 부르는 소리가 가까이 들려온다. 저녁 밥상에 둘러앉아 순하고 슴슴한 엄마의 손맛에 흐뭇해하는 식구들 얼굴 위로 희미한 남포불이 일렁인다.
음력 3월 중순 봄비가 많이 내리는 곡우 무렵, 제주 서북쪽 추자도 인근 어장에서 잡은 조기를 소금에 절여 법성포 갯바람에 몇 달 말리면 영광 굴비가 된다. 냉장고가 없던 시절부터 겉보리 속에 저장하던 보리굴비는 수분이 빠지고 쫀득한 식감과 감칠맛이 더해져 밥상 위 일등 공신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기운을 북돋아 준다는 조기(助氣)라는 이름과 조기가 보리굴비가 되기까지의 그 지난한 과정을 생각하면 육십년지기 친구에게 보낸 생일 선물은 나름대로 의미있는 듯하다.
“이렇게 귀한 걸 보내줘서 어찌할 바를 모르겠네. 도로 보낼 순 없고 맛있게 잘 먹을게…”
무슨 말을 할듯 말듯 머뭇대던 친구는 조심스레 말을 이어간다.
“사실 내 생일 한 달 전 이었어, 올해 윤달이 들어서. 며칠 전 네가 보낸 보리굴비 받고 사실대로 말하기가 좀 뭐해서.”
음력 날짜로 생일을 짚어가며 축하 메시지와 꽃다발, 케익 까지 사진에 담아 보낸 걸 생각하니 은근히 부아가 난다.
“머리 아파서 내년부터 니 생일 못 챙기겠다. 생일을 양력으로 바꾸던지.”
“그래 잘 생각했어.”
심지 깊은 친구는 어색함을 무릅쓰고 네가 있어 생일을 챙겨 주니 행복하다는 말로 나를 다독인다. 몇 년 주기의 윤달 계산법을 두고 옥신각신하던 우리는 감칠맛 나는 보리굴비 맛과 건강에 대한 염려를 주고받으며 다시 제 자리를 찾는다. 친구는 오래전부터 생각해 오던 귀촌 계획을 알리며 이웃해 살고 싶다는 말을 꺼낸다. '어디가 좋을까?’, 생각만으로도 가슴 벅찬 이 계획에 우리는 몰두하기 시작한다.
어느새 우리는 마음 가는 대로 행하여도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종심(從心)의 나이가 되었다. 산자락 하얀 찔레꽃 덤불 옆에서 소꿉 놀던 열 살 무렵부터 전학과 이사, 직장과 결혼 그리고 이민으로 멀리 떨어져 살면서도 서로 마음 붙이고 지내온 긴 인연이 새삼 대견하기만 하다. 우리는 우정의 지속성이 지란지교의 덕목이라고 믿어 왔다. 때로 모난 마음으로 어긋남이 있을 때에도 우리들 심중에는 신뢰와 인정이 깊이 자리하고 있음에 안도하면서. 이제 나보다 더 많이 내 어린 날들을 기억하는 서로를 신기해하며 살구꽃 피는 마당을 이웃해 살 그날이 멀지 않았음을 예감한다.
서쪽 하늘은 곧 자취를 감출 노을빛으로 찬란하다. 선홍빛 솜털 구름이 펼쳐진 하늘에 둥지를 찾는 나그네새들이 줄지어 날아간다. 노을의 황홀함에 두 손을 모으며 느린 걸음으로 함께 걷는 이 길은 곧 해가 지고 사방은 가뭇없이 어두워질 것이다. 너는 나를 비추고 나는 너를 비추며 부족하기에 더욱 정겨운 우리들… .
내년 생일에도 언제나 그 자리에 서 있는 가로등 같은 친구에게 보리굴비 한 두름을 보내야겠다. 지금 여기까지의 우정은 네 덕분이라고 쓴 카드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