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부터 치료 전략까지
대퇴골두무혈성괴사와 비슷한 상황임을 잘 알아야
과제1. 모든 질환 3개월 치료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논리 확장
한번 발생하면 axial loading이 주어진 상태에서 회전이 주어지면 절대 안됨.
치료
1)열린사슬)(체중부하 없이) ankel joint(talotibial joint)의 ROM 정상화
2) 손상부위의 치유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치료법은 ? Concomitittent compression and releasing
3) 45회 3세트
4) 이 방법을 테크닉으로 해결하려하지 말고 발목의 저굴, 배굴만으로 가능.
5) 뼈(연골)의 치유기간은? 최소 4~ 6주
6) 가능한 빨리 치유를 촉진하는 것이 목표
7) 다음운동은 무엇인가? 체중부하가 주어질 상황을 대비 - short fooot exercise
8) 통증이 발생했을때 사용하지 않았을 발근육? tibialis anterior운동이 중요함
9) 다음으로 장단비골근, 후경골근 및 발가락 굴곡근 신전근 활성화 및 강화
10) 참고로 비복근, 가자미근은 거의 모든 환자들이 강함.
다음 운동치료 전략
ankle 전략 -> hip strategy - > back strategy -> knee, chin in, shoulder strategy -> gait
Osteochondral-lesions-of-the-ankle.pdf
거골원개 연골손상 치료.pdf
The prevalence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ar dome is often underestimated.1,2 A variety of treatments, both conservative and surgical, have been used for these osteochondral lesions. Surgical intervention is indicated when the fracture has resulted in unstable fragments or loose bodies. Removal of these, drilling of the subchondral bone and abrading the surface of the lesion are the standard procedures.3–8 Still, these techniques are unsatisfactory for larger defects, and such lesions may be manag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3,5 However, when the osteochondral fragment contains a minimal amount of subchondral bone, fixation may not be possible. In these circumstances, osteochondral auto grafting is an option.9 The use of this procedure at the talar dome was prompted by the results that were achieved by many authors employing a similar approach (using either autografts or allografts) to treat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knee.9–14 We report on a patient who had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medial talar dome treated with an osteochondral autograft from the knee.



치료전략은 다시 정리
악화방지를 위한 행동수정
1. 한번 발생하면 axial loading이 주어진 상태에서 회전이 주어지면 절대 안됨.
2. 부종과 통증 악화방지
치료
1)열린사슬)(체중부하 없이) ankel joint(talotibial joint)의 ROM 정상화
2) 손상부위의 치유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치료법은 ? Concomitittent compression and releasing
3) 45회 3세트
4) 이 방법을 테크닉으로 해결하려하지 말고 발목의 저굴, 배굴만으로 가능.
5) 뼈(연골)의 치유기간은? 최소 4~ 6주
6) 가능한 빨리 치유를 촉진하는 것이 목표
7) 다음운동은 무엇인가? 체중부하가 주어질 상황을 대비 - short fooot exercise
8) 통증이 발생했을때 사용하지 않았을 발근육? tibialis anterior운동이 중요함
9) 다음으로 장단비골근, 후경골근 및 발가락 굴곡근 신전근 활성화 및 강화
10) 참고로 비복근, 가자미근은 거의 모든 환자들이 강함.
다음 운동치료 전략
ankle 전략 -> hip strategy - > back strategy -> knee, chin in, shoulder strategy -> gait
첫댓글 1)열린사슬)(체중부하 없이) ankel joint(talotibial joint)의 ROM 정상화
2) 손상부위의 치유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치료법은 ? Concomitittent compression and releasing
3) 45회 3세트
4) 이 방법을 테크닉으로 해결하려하지 말고 발목의 저굴, 배굴만으로 가능.
5) 뼈(연골)의 치유기간은? 최소 4~ 6주
6) 가능한 빨리 치유를 촉진하는 것이 목표
7) 다음운동은 무엇인가? 체중부하가 주어질 상황을 대비 - short fooot exercise
8) 통증이 발생했을때 사용하지 않았을 발근육? tibialis anterior운동이 중요함
9) 다음으로 장단비골근, 후경골근 및 발가락 굴곡근 신전근 활성화 및 강화
10) 참고로 비복근, 가자미근은 거의 모든 환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