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여러 가지 거북선 중에 우리가 궁금해 하는 것은, 물론 이순신 장군이 만들어 임진왜란 당대에 활약한 거북선의 구조다.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순신 거북선의 정확한 실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의견이 갈리는 부분은 갑판 윗부분이다. 거북선의 내부 구조가 2층인지 아니면 3층인지, 혹은 또 다른 구조인지 여부가 논쟁의 핵심이다. 지금 남아있는 거북선 관련 자료 중에 가장 자세하고 권위 있는 자료는 1795년 편찬된 [이충무공전서]다. 이 책은 통제영거북선과 전라좌수영 거북선 등 2개의 거북선 그림을 제시하면서, 본문 설명에서는 통제영 귀선이 이순신 장군의 옛 제도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거북선 내부 구조는 2층인가 3층인가? [이충무공전서] 통제영 귀선의 그림을 보면 노를 저을 수 있는 공간에 포구멍도 같이 뚫려 있고, 1층 갑판이 나는 부분부터 바로 덮개 역할을 하는 개판이 붙어 있다. [이충무공전서]에 실려 있는 통제영 귀선의 그림은 명백하게 노를 젓는 공간과 전투 공간이 겹치고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조선시대 배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주갑판은 ‘포판’이라고 하고, 포판 위에 만든 갑판은 ‘상장’이라고 한다. 포판 아래에도 사람이 쉬거나 물자를 적재할 수 있는 선실이 별도로 있다. 결국 2층이라고 할 때는 포판 아래의 선실과 포판만 가진 구조를 의미하고, 3층이라고 할 때는 포판 아래 선실과 포판에 더해 상장 구조도 가진 군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충무공전서]는 거북선 구조를 설명하면서 “군사들이 쉴 때는 포판 아래에 있고, 싸울 때에는 포판 위에 올라와 모든 총구멍에 대포를 걸어놓고 쉴 새 없이 쟁여 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어디에도 3층에 해당하는 상장에 대한 직접적 언급이 없다. 이 같은 [이충무공전서]의 설명 내용을 신뢰하는 학자들은 그 책에 실린 통제영 거북선 그림과 본문 설명을 기초로 거북선이 2층이라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