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에 맞는 자전거 프레임 사이즈 알아보기
자전거의 프레임의 사이즈는 구매시 반듯이 고려해야 할 항목입니다.
이는 라이딩에서 이는 편안하고 안정감 있는 라이딩을 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기도 하죠...
프렘이 자신이 몸과 맞느냐 맞지 않느냐에 따라서 라이딩에 차이가 많이 납니다.
큰 맘먹고 좋은 자전거 샀는데... 이게 몸이 불편하거나 라이딩이 힘들어 애물단지가 되면
대략 난감에 좌절이죠... ㅡㅡ; 그래서 첫번째로 사이즈를 고려야 해야 합니다.
물론 미니벨로나 많은 자전거가 사이즈의 구분없이 나오고 있습니다.
저가형인 경우 대부분의 경우 자전거에 몸을 맞추어야 할 경우가 현실적으로 많습니다.
생활자전거는 좀 작은듯 하여도 안장 위치 조정하면 크게 불편함은 없습니다.하지만 로드
바이크나, 산악과 특정 목적을 위해서 분류되는 넘들은 효율적인 면에서 이를 심각해 고려해야 합니다.
프레임 사이즈가 몸과 맞지 않으면?
프렘의 사이즈가 너무 크면 패달링도 어렵고 힘의 전달도 없렵지만, 자전거 컨트롤도 어려워지고
손목이나 허리등 몸에 무리가 많이 갑니다.
프렘의 사이즈가 넘 작으면, 컨트롤은 좀 빨라지지만, 역시 무릎이나 허리등의 몸에 무리가 많이 가고
라이딩이 안정되지 못하면서 심한 경우 호흡도 원할이 되지 못합니다.
그럼 어떻게 프레임 사이즈를 고를까나? ^^
먼저 프렘임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요소부터 알아야 할 듯...
프렘의 사이즈를 결정 짓는 중요한 요소는 프렘의 싯 튜브의 길이와 탑튜브의 길이입니다.
싯 튜브가 모고 탑 튜브가 모냐고요? ㅋㅋㅋ 아래 글에 보면 자전거 명칭에 대한 설명한
글이 나옵니다. 참조하시구염...
우선적으로 싯튜브의 길이가 맞아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탑튜브의 길이를 맞추어야 합니다.
물론 안장의 높이와 스템 그리고 안장의 앞뒤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사이즈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지만, 프렘 사이즈가 너무 작거나 크면 이러한 보정으로도 커버할 수 없습니다.


싯 튜브와 탑튜브의 길이는?
싯튜브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몇가지가 있지만 복잡하니 생략을 하고 가장 일반 적인
방법이 BB 중앙으로 부터 싯 튜브와 탑튜브가 만나는 지점의 중앙까지의 길이를 주로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자전거 프렘 메이커 마다 조금 틀리긴 하지만, 대략 이렇게 보시면 맞을 겁니다.
위의 그림에서 붉은색 화살표의 길이 입니다.
그리고 탑튜브의 길이는 헤트 튜브 중앙에서 싯튜브의 중앙까지의 길이를 사용합니다.
내 몸에 맞는 싯 튜브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해서 우선, 자신의 신체 사이즈를 알아야 합니다.
결정을 위한 신체 사이즈가 다리의 길이, 상체의 길이, 팔의 길이입니다. 이건 측정을 해야죠...
싯 튜브는 효율적인 패달링과 혹은 몸에서 허리 및 무릎 등에 관련이 있습니다.
탑 튜브의 길이는 자전거의 컨트롤 과 몸에서 손목과 허리 그리고 목 등에 관련이 있습니다.
1) 프레임 사이즈(싯튜브의 사이즈를 알려면?)
싯튜브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서 먼저 다리의 길이를 측정합니다.
간단한 측정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키
B 땅에서 자신의 쇄골까지의 높이
C 순수 다리길이 재시면 되겠죠? 전 정확히 잰다고 묘한 자세를 연출했습니다 -_-;
D 팔길이
E 어깨넓이
F 여긴 유연성을 체크하는 항목인데요.0~10까지 중에서 고르시면 됩니다..10은 땅에 손바닥이 닿는거네요.
G 몸무게
H 여긴 신발사이즈입니다...신발 사이즈 단위가 우리나라와 틀리므로 밑의 사이즈표를 보시구 적으시면 됩니다..
한국 |
250 |
255 |
260 |
265 |
270 |
275 |
280 |
285 |
미국 |
7 |
7.5 |
8 |
8.5 |
9 |
9.5 |
10 |
10.5 |
유럽 |
38.5 |
39 |
39.5 |
40 |
40.5 |
41 |
41.5 |
41 |
일본 |
25 |
25.5 |
26 |
26.5 |
27 |
27.5 |
28 |
28.5 |
한국 |
225 |
230 |
235 |
240 |
245 |
250 |
255 |
260 |
미국 |
5.5 |
6 |
6.5 |
7 |
7.5 |
8 |
8.5 |
9 |
유럽 |
36 |
36.5 |
37 |
37.5 |
38 |
38.5 |
39 |
39.5 |
일본 |
22.5 |
23 |
23.5 |
24 |
24.5 |
25 |
25.5 |
26 |
BB 원점에서 탑튜브의 중심선과 싯튜브 중심선이 만나는 교점 사이의 거리이다.(1인치=2.54cm)
*메이커마다 싯튜브 상단을 측거점으로 삼는 수가 있으므로 실측이 필요하다.
*탑튜브가 싯튜브 중간에 위치한 일부 프레임의 경우, 일반적인 프레임 구조로 환산한다.
프레임 사이즈(inch) = (안다리 길이X0.65-10)÷2.54
*안다리 길이: 발 20cm 벌리고 똑바로 선 상태에서 바닥과 사타구니 사이의 수직거리(cm)
*사타구니에 수평기 끼우고 줄자도 수직으로 세워야만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예) (79 x 0.65)/2.54 - 4 = 16 inch(대략)
2) 탑튜브의 길이(오버럴 리치(overal reach) 알려면?)
일단 싯튜브가 맞으면 탑튜브의 길이도 고려를 해야 합니다.
탑튜브의 길이는 라이더의 편안하고 안정감 있는 라이딩과 결부됩니다.
탑튜브의 길이가 길면, 직진성이 좋아 속도감을 낼 수 있지만,
너무 길면, 역시 손목과 허리 목에 무리가 가게 됩니다.
너무 짧으면, 컨트롤이 용이해집니다. 주로 산을 타시는 분들은
좀 짧은 것을 선택하시여, 컨트롤을 용이하게 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탑튜브의 길이를 알기 위해서는 상체의 길이와 팔의 길이를 측정해야 합니다.

오버럴 리치란 핸들바 중앙과 안장 중앙 사이의 수평거리이다.
오버럴 리치(cm) = (상체길이+팔길이)÷2
*상체길이: 앉은 상태에서 바닥과 어깨 중간까지의 수직거리(cm)
*팔길이: 벽에 기대어 펜을 쥐고 팔을 쭉 뻗은 상태에서 벽과 펜 사이의 수평거리(cm)
*핸들바는 일자바 기준임으로 라이저 바의 경우 가감이 필요하다.
*같은 프레임 사이즈라도 모델에 따라 탑튜브와 스템 길이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산출된 오버럴 리치로 알맞은 탑튜브와 스템의 길이를 가늠할 수 있다.
3.안장높이
페달을 최대한 내린 상태(6시 방향)에서 페달축 중심점과 안장 상단까지의 수직거리로 측정한다.
안장높이(cm) = 안다리 길이X1.05
*로드주행 위주라면 안다리 길이X 1.09 로 하고 타보세요.
*신발굽 높이 등의 변수가 있으니 타시면서 편한 높이를 가감하세요.
4.안장의 앞뒤조절
안장의 앞뒤 위치는 페달링 효율에 큰 영향을 주므로 신체사이즈에 맞춰야 한다.
*측정방법: ①크랭크암이 수평이 되게 하고, 페달을 제대로 밟고 승차자세를 취한다.
②무릎 앞쪽 끝에 실추를 달아 아래로 늘어 뜨린다.
③늘어진 실과 페달축 중심과의 유격으로 안장의 앞뒤 위치를 맞춘다.
안장의 앞뒤위치 = 앞무릎이 페달축 중심에서 뒤로 5~10mm 오게 한다. (=실추가 페달축 뒤에 걸침)
*속도위주로 셋팅하려면 정반대로 맞춘다.

5.핸들바 높이
핸들바 높이는 안장 상단에서 아래로 몇 cm를 내릴까로 정한다.
CS=0.883X안다리 길이
핸들바 높이(cm) = 0.005 × CS × CS - (0.2 × CS) - 6
*안다리 길이가 67cm를 넘으면 이 값에서 다시 2 를 빼준다.
*산출된 값이 - 일 경우 안장 상단에서 위로 몇 센티 올린다. 예)-2 이면 2cm 위로 올림
*기준보다 높이면 팔(목)과 목이 편하고, 낮추면 엉덩이가 편하다.
위의 사이즈도 귀찮다?
그럼 아래와 같이 대략의 도표를 참조하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이건 물론 싯튜브의 길입니다.
키(cm) / 프레임 사이즈(인치)
150~160 / 14~14.5
160~170 / 14.5~16
170~180 / 16~17.5
180~190 / 17.5~18.5
※크로스컨트리와 프리라이딩 프레임에 한함
그리고 아래는 크랭크 암 길이 선택 기준 입니다. 역시 참조
키(cm) / 크랭크 암 길이(mm)
150~170 / 170
170~175 / 172.5
175~185 / 175
185~190 / 177.5
※다리 길이에 따라 변동 가능
자전거를 재미 있게 즐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몸이 편해야지요...
가끔 사이트에 프렘이 맞지 않아서 고통을 소호하거나 불편을 말하는 글을 자주 봅니다...
고가의 잔차 일수록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물론 개인차가 있어서 위의 사이즈가 절대치가 아닙니다.
가장 현명한 것은 대략을 사이즈를 결정한 뒤,샵이나 가게에 가서 직접 타보고 결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잠깐 타는 것으로는 사실 잘 모릅니다. 가까운 친구등의 잔차를 빌려서 타 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 메이커 마다 지오메트리가 틀리고 사이즈 측정법이 조금씩 다릅니다.
그러한 변수도 구매시 샵등에서 체크하시고 고려를 하셔야 합니다.
자전거를 전문적으로 탈려고 한분들은 자기몸에 맞는 자전거를 타세요.
안그럼 무릎관절 허리 팔목에 통증이오면서 심하면 무릎연골이 손상 됩니다 ㅡ,.ㅡ;;
윗내용이 다소 복잡하더라도 잘 읽어보세요 ^^ 크랭크암 길이는 한국분체형에 170이 가장무난합니다^^
프레임은 약간큰거보다는 적은게 좋읍니다 .
장거리 라인딩에는 몸에맞거나 약간적은 프레임이 손목,어개에 부담을 덜줍니다^^
예를들어 계산시에 프레임이 18인치 나오시면 17.5인치가 맞는 프레임입니다 ^^
처음 자전거 살때 다른것은 입문으로가셔도되는데 스프라켓과 뒷변속기는 좀 부담되시더라도 좋은걸 사용하세요
언덕에서 타보시면 알게되요 왜그런지 ㅎㅎ .. ^^
부품은 가격대비 성능이 XT급이 제일이지만 스프라켓과 뒷변속기는예외에요 XTR로 사시는게... ^^
자전거 탈때 헬멧쓰는것 기본이라는 것은 알고들 계시죠. 꼭 쓰시고 타세요^^
자전거 사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바라면서 내가아는 내용을 올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