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기준점 효과
아모스와 나는 숫자 돌림판을 조작한 적이 있다.
돌림판에는 숫자가 0에서 100까지 표시되었는데,
우리는 이 돌림판이 10 또는 65에서만 멈추게 만들었다.
그리고 오리건대학에서 실험에 참가랄 학생들을 모집햇다.
우리 중 한 사람은 소수의 참가자 앞에 서서 돌림판을 돌렸고,
돌림판이 멈추면 학생들에게 돌림판이 가리키는 숫자를 적으라고 했다.
물론 돌림판은 10 아니며 65에서 멈춘다.
그런 다음, 학생들에게 다음 두 가지를 물었다.
유엔 회원국 중에 아프리카 국가가 차지하는 비율은 여러분이 방금 적은 숫자보다 큰가, 작은가?
유엔에서 아프리카 국가 비율을 최대한 정확히 추측하면 몇 퍼센트겠는가?
숫자 돌림판을 돌린다고 해서 (조작되지 않은 돌림판이라도)
위 문제와 관련한 유용한 정보가 나올 리 없으며,
따라서 실험 참가자들은 돌림판을 그저 무시해야 마땅하다. 하지만 그겋지 않았다.
돌림판에서 10을 본 참가자들은 평균 25퍼센트, 65을 본 참가자들은 평군 45퍼센트로 추측했다.
이런 현상이 워낙 흔하고 중요하니 . 이 현상의 이름을 알아두는 게 좋겠다.
바로 '기준점 효과anchoring effect'다,
이 현상은 모르는 수량을 추정하기 전에 특정 값이 머릿속에 떠오를 때 나타난다.
실험심리학에서 나타나는 매우 신뢰할 만하고 막강한 현상인데,
이때 사람들은 머릿속에 떠오른 값을 기준점 삼아 그와 가까운 숫자를 주정치로 내놓는다.
마치 배가 닻을 내리고 그곳에 정박하는 것과 비슷해,
영어로는 '정박한다'는 의미의 'anchoring'이라 부른다.
간디가 114세가 넘어 사망했는냐는 질문을 받으며 ,
35세가 넘어 사망했느냐는 질문을 받을 때보다 사망 나이를 훨씬 높게 예측한다.
어떤 집이 얼마면 사겠는지 생각할 때도 질문에서 제시한 가격에 영향을 받는다.
같은 집이라도 표시 가격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가치 있어 보인다.
그런 숫지에 영향을 받지 않기로 결심해도 소용없다.
기준점 효과 사례는 끝이 없다.
숫자를 예측하는 질문을 받고 답을 생각할 때면 여지없이 이 현상이 나타난다.
기준점 효과를 목격한 사람은 우리가 처음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가 실험에서 처음으로 그 효과가 얼마나 터무니없는지 증명해 보였다.
사람들은 판단을 내릴 때 ㄴ누가 봐도 관련이 없는 숫자에 영향으 받ㄴ았다.
숫자 돌림판의 기준ㄴ점 효과를 합당하다고 설명할 도리가 없다.
아모스와 나는 우리 실험결과를 〈사이언스〉에 발표했는데,
우리기 이곳에 발표한 논문 가운데 매우 유명한 축에 든다.
그런데 한 가지 문데가 있었다.
아모스와 나는 기준점 효과 이면의 심리를 두고 의견이 다소 엇갈렸다.
아모스가 이렇게 해석하면 나는 저렿게 해석했고, 의견을 통합할 방법을 찾지 못했다.
그러다가 수십 년이 지나 그동안 나온 수많은 연구 결과로 마침내 문제를 해결했다.
지금은 아모스와 내가 모두 옳았다는게 분명해졋다.
두 시스템은 기준점 효과를 하나씩 만들어낸댜.
시스템2가 작동해 의도적 조정 작엽을 할 때 생기는 기준점 효과가 있는가하면
시스템1이 저절로 이르키는 점하 효과 역시 기준점 효가를 일으킨다.
183-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