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 인생 80 - 만족함을 알아야 한다.. /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동부승지(同副承旨) 직(職)에 있다가 삭탈관직(削奪官職) 당하고 파주 영봉산 자락으로 낙향한 김정국(1485-1542)은 (딸기) 만족함을 모르는 것이 최고의 병(病)이고 최대의 불행이라 했다.
1. 좋은 음식 먹고도 더 욕심(慾心) 내고,
2. 좋은 옷 입고도 불평하고,
3. 좋은 술 마시고도 욕(辱)하고,
4. 서화(書畫)를 즐기면서도 화(火) 내고,
5. 미녀(美女)를 곁에 두고도 또 탐(貪) 내고,
6. 곡식(穀食) 쌓아 두고도 불만 (不滿)이고,
7. 좋은 향(香) 맡으면서도 좋은 줄 모르고,
위 일곱 가지를 불평불만(不平不滿), 한탄(恨歎) 하니 이를 8 부족(八不足)이라 했다.
반면(反面)에 만족(滿足)함을 알아야 즐거움도 있고 행복도 있다 했는데,
①토란국에 보리밥 먹고,
②등 따뜻하게 잠자고,
③맑은 샘물 마시고,
④방(房) 가득한 책(冊)을 읽고, ⑤봄볕, 가을달빛 즐기고,
⑥새와 솔바람 소리 듣고,
⑦눈 속 매화(梅花)와 서리 속 국향 즐기고,
위 일곱 가지를 넉넉히 즐기니 이를 여덟 가지 여유 (餘裕)로운 즐거움이라 했다.
인생 80, 오랜 세월(歲月) 살아오면서 무엇이 행복이라 느꼈는가? 그 탐욕, 그 불만 모두 부질없는 욕심들 아니던가. 비록 넉넉지 못하고 잘 나지 못했다 해도 만족함을 알아야 한다.
겸손(謙遜)하고 소박하게 감사하는 인생이어야 한다. “지족상락 (知足常樂) - 만족함을 알면 인생이 즐겁다. 지족 제 일 부 (知足第一富) - 만족을 아는 사람이 제일 큰 부자 (富者)다.” 탐욕을 버리고 만족을 아는 마음이 즐거운 인생의 첫걸음이다. 겸손하게 감사하는 마음에 행복의 길이 있고 즐거움이 있다. 인생 80 - 아직 하고 싶고, 되고 싶고, 갖고 싶은 것 있는가? 이 세상(世上)에 태어 나 온갖 아픔 슬픔 다 겪었지만, 인생 80을 살면서 보람도 있었고 기쁨과 명성(名聲)도 있었는데 무슨 후회(後悔) 있을 건가? 무엇인가 하고 싶고, 되고 싶고, 가지고 싶어 모두 얻으려 땀 흘려 노력(努力)하며 살아온 인생. 아직도 하고 싶고, 되고 싶고, 갖고 싶은 것, 남았는가? 공부(工夫), 사랑, 봉사(奉仕), 여행(旅行), 등산(登山).. 왜 이리 못다 한 것들이 많은가? 더 이상 후회(後悔) 하지 말고 가슴 아파 말도록 내일(來日) 말고 오늘 바로 무엇인가 시작(始作)해야 하지 않는가? 세월 다 가기 전에 꿈은 이루어진다는 생각으로 길을 나서고 몸부림치며 부딪쳐 보아야 하는데 말이다. 지금 이 순간(瞬間) 되고 싶은 것 아직 있는가? 재물(財物), 명성(名聲), 권력(權力), 건강(健康) 또 뭐가 있더라? 다 부질없는 것, 아집(我執), 욕망(慾望), 탐욕(貪慾) 다 버린 지 오래거늘 건강(健康) 이외 다른 것 모두 버리고 다 접어야 하는 것 아닌가? 그저 건강이 행복이다 하면서 마음 편(便) 히 사는 것이 제일 아니던가?
(옮긴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