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온도 없다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시고 공중 무색 무수상행식 是故 空中 無色 無受想行識
“이러한 까닭에 공에는 색이 없으며 수·상·행·식도 없다.”
《반야심경》
《반야심경》의 이 대목에서는 반야 지혜의 눈으로 바라본다면, 오온(五蘊)이 본래 없다는 것을 설한 법문이다. 이 몸과 일체 현상은 물론, 그에 따른 인간의 정신적 감정들도 모두 텅 비어 아무 것도 없다[無]는 뜻이다.
이 대목에서 공의 세계에서 색·수·상·행·식의 오온(五蘊)은 없다는 사실을 다시금 부정의 논리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오온은 좁혀서 보면 ’나‘가 되고, 넓게 보면 제행(諸行)과 제법(諸法)을 일컫는다.
'오온(五蘊)'은 범어로 판챠 스칸다(Panca Skandha)로 '다섯 가지 쌓임'이란 뜻이다. ‘온'은 화합하여 모인 것, 쌓임을 뜻한다. '오온'은 곧 인간을 구성하는 5가지 구성 요소를 일컫는 말로 색온(色蘊), 수온(受蘊), 상온(想蘊), 행온(行蘊), 식온(識蘊)이 있다.
제행(諸行)은 ’변화하는 모든 것‘을 뜻한다. 중생에게는 생노병사(生老病死)의 변화가 있고, 물질에는 성주괴공(成住壞空)의 변화가 있고, 마음에는 생주이멸(生住異滅)의 변화가 있다. 또 제법(諸法)은 ’모든 것‘을 뜻한다. 제법에는 고유한 실체가 없다고 하여 제법무아(諸法無我)라 한 것이다.
'오온'의 공한 모습을 바로 아는 것이 육신의 본래 모습이나 현상을 올바로 인식하는 일이다. 자기 자신이 엄연히 살아서 움직이는데 없다고 하는 것은 본래 공한 모양으로 있기 때문이다.
다만, 분별과 착각이라는 업식(業識) 작용 때문에 몸과 마음이 영원히 살아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반야심경》의 앞에서 '오온개공'이라고 설했듯이, 존재의 본래 모습은 텅 빈 것이며, 그것은 색도 없고 수·상·행·식도 없다[無]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 가운데는 색도 없고 수·상·행·식도 없지만, 그래서 인연이 결합하는 순간엔 다시 색도 될 수 있고, 수·상·행·식도 될 수 있는 것이 된다
[출처] 오온도 없다 ’공중무색 무수상행식‘|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