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등 官等 |
1품 |
2품 |
3품 |
4품 |
5품 |
6품 |
7품 |
8품 |
9품 |
10품 |
11품 |
12품 |
13품 |
14품 |
15품 |
16품 |
주서 周書 |
좌평 左平 |
달솔 達率 |
은솔 恩率 |
덕솔 德率 |
한솔 扞率 |
나솔 奈率 |
장덕 將德 |
시덕 施德 |
고덕 固德 |
계덕 季德 |
대덕 對德 |
문독 文督 |
무독 武督 |
좌군 佐軍 |
진무 振武 |
극우 克虞 |
북사 및 삼국사기 |
좌평 佐平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극우 剋虞 |
수서 隋書 |
좌평 左平 |
대솔 大率 |
“ |
“ |
한솔 扞率 |
“ |
“ |
“ |
“ |
“ |
“ |
“ |
“ |
“ |
“ |
극우 克虞 |
•제13대 근초고왕(346~375)전국을 5부 5방 제도를 실시하였다. 각부는 500명의 군사를 거느린 달솔達率이 다스렸으며, 각 방의 중심인 방성方城에는 700~1,200명의 군사를 두었는데, 방령方領 ․ 방좌方佐가 이를 통솔하였다. 방 밑에는 많은 군郡이 설치되었고, 군에는 군장이 있어 역시 군사를 거느리고 다스렸다. 이와같이 백제는 군사적 체제를 기본으로 하는 행정제도를 채택 하였다.
•6세기 초까지 지방에는 22 담로가 설치되고 여기에 왕족이 임명되어서 지방행정을 맡아보았다.
토지는 국유제를 원칙으로 하였으나, 부분적으로는 국유제를 전제로 한 촌락공유제도 병행하였다. 일반 백성들은 국가에서 땅을 받아 경작하는 대신 조세租稅와 부역賦役의 의무를 부담하였다. 조세형태는 물납物納으로서 그 해의 풍흉豊凶에 따라 차등을 두어 받아 들였다.
행정 형태가 군사적인 조직으로 되어 있었던 만큼 그 형법은 매우 가혹하였다. 살인자 ․ 반역자는 물론, 전쟁터에서 퇴군한 자도 참형에 처하였으며, 여자를 범간한 자는 그 여자 남편의 노에가 되었고, 도둑질 한 자는 유형(流刑ㅡ 섬에 정배를 보내는 형)에 처하는 동시 훔친 물건 값의 2배를 배상케 하였다.그런데 살인자는 노예 3명으로써 속죄할 수 있는 규정이 있었다.
여민黎民 ․ 백성 또는 서민 등으로 부르던 일반 평민들은 귀족의 사전賜田이나 국가의 대여지를 경작하고 조租 ․ 용庸 ․ 조調를 부담하였으며, 병정으로 뽑혀나가 적과 싸웠다. 이들 평민 밑에는 종, 즉 노예가 있었는데 노예는 주로 전쟁포로 ․ 형벌 ․ 구매購買 ․ 약탈 ․ 채무 등으로 생겼다. 노예는 일종의 재산으로서 전쟁에 이겨 포로를 잡으면 이를 전쟁에 참가한 군사들에게 나누어 주는 것이 통례였다.
5.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신문왕 5년(685) 삼국을 통일하여 확장된 영토를 통치하기 위해서는 지방조직의 정비가 필요하여 9주 ․ 5소경이 마련되었다. 장성(고시이현, 소비혜현, 구사진혜현)은 무주武州(현 광주)에 속하였다. 주의 장관은 군주에서 총관으로, 다시 도독으로 개칭되었는데 이는 군사적 성격에서 차츰 행정적인 성격으로 변해간 것이다. 주 밑에는 군郡 ․ 현縣, 그 아래로 하급 행정 단위인 촌村 ․ 향鄕 ․ 부곡部曲이 있었다. 수도가 동남에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그 결함을 보충하기 위하여 5소경을 요지에 두었다. 장성(고시이현, 소비혜현, 구사진혜현)은 남원경에 속했는데 장관인 사대등(仕大等ㅡ사신仕臣) 이하의 여러 관직이 있었는데, 중앙의 귀족들이 여기에 살며 지방문화의 중심을 이루는 동시에 지방세력의 통제를 위한 역할도 담당하였다.
토지는 국유제가 원칙 이었다. 일반 국민에게는 토지를 나눠주는 대가로 조租 ․ 용庸 ․ 조調의 의무를 부담하도록 하였다.
통일기의 촌락문서(일본 정창원正倉院에서 발견)에 의하면 촌락 내부는 이 때까지도 10호까지의 혈연 집단이 거주하는 자연부락을 기준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수개 촌락을 관할하는 촌주村主를 통하여 집단적으로 국가의 지배를 받았는데 촌주의 지위도 전대와 큰 차이가 없었고, 용庸(부역) 등도 촌락 단위로 부과 하였다.
⦁경덕왕 16년(757) 고시이현을 갑성군(갑성은 이성 및 오산으로도 불림), 소비혜현을 삼계현, 구사진혜현을 진원현으로 고쳤으며, 삼계현과 진원현은 갑성군에 예속되었다.
무주에 정停을 배치하여 국방과 경찰의 임무를 아울러 담당하였다. 이 밖에도 오주서五州誓 ․ 삼변수당三邊守幢(일명 변수邊守)의 군대가 배치되어 있었다. 국유제에서 녹읍제祿邑制가 부활되었다.
⦁37대 선덕왕(780) 이후의 쇠퇴기에는 중앙의 행정권이 지방에 미치지 못하였고, 대신 지방 호족이 지방 행정의 실권을 잡게 되었다.
•782년에는 지방에 두상대감頭上大監을 두어 통치하였다.
외관직관표外官職官表(통일신라統一新羅)
(<삼국사기三國史記>직관지職官志에 의依함)
직관지표제관직명 職官志表題官職名 |
관계 官階 |
설치년도 |
비 고 |
도독都督 사대등仕大等 주보洲輔 군대수郡大守 사마司馬 소윤少尹 외사정外司正 제수制守 현령縣令 |
2~9 4~9 6~11 6~13 10~13 10~13
10~ ? 8~17 |
785년 564년
673년
|
관계란의 수자는 신라 17관위계의 순위를 표시함. 즉 태太--태대각간太大角干 대大--대각간大角干 1--角干, 2--이찬伊湌, 3--소판蘇判 4--波珍湌, 5--대아찬大阿湌, 6--중아찬重阿湌←→四重阿湌, 7--길吉湌, 8--사찬沙湌, 9--급찬級湌, 10--대나마大奈麻←→구중나마九重奈麻, 11--나말奈末 ․ 重奈麻←→칠중나마七重奈麻, 12--한사韓舍, 13--소사小舍, 14--길차吉次 15--대조지大鳥知, 16--조지鳥知 |
패강진전浿江鎭典두상대감頭上大監 대곡성두상(大谷城頭上) 대 감大 監 두상제감頭上弟監 제감弟監 보감步監 소감少監 |
4~9 6~13 10~13 11~ ? 8~17 12~17 |
782년
|
17--선저지先沮知
|
6. 후백제시대後百濟時代
⦁진성여왕 6년(892)에 견훤이 후백제를 세우니 그 세력으로 들어감(45년간) 견훤왕은 모든국정을 국민을 위한 방향으로 실시하니 억울하게 빼앗겼던 나라를 되찾은 국민들은 나라에 바치는 세금도 자진하여 납부하고 나라를 지키겠다는 일념으로 모든면에서 적극적이었다.
행정은 6 좌평佐平 ․ 16등 관계官階로 백제의 제도를 따랐으며 토지는 국유제를 원칙으로 하였다.
7. 고려시대高麗時代
⦁936년(태조 19) 후백제가 왕건에게 패하니 고려의 영역이 되어 중앙행정과 지방행정은 신라의 제도를 따랐으며, 장성(진원현과 삼계현 제외)을 마량부곡馬良部曲으로 전락 시켜 영현군인 영광군의 통치를 받도록 하였다. 토지는 국유제 이었으며,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로 불교를 보호하고 지방행정은 호족들을 포섭하여 맡겼다. 호족들은 신라의 행정제도에 따라 행정을 집행 하였다. 마량부곡은 천민집단이 말을 기르고 훈련시켜 나라에 바치는 노비와 같은 천대를 받았는데, 매매나 증여가 되지 않는 점이 노비와 달랐다. 서리들은 중앙과 지방의 말단 행정을 담당하는 계층으로 귀족과 서민대중의 중간에서 근무하였다. 계급의 차별은 매우 엄격하여 의복 ‧ 그릇에 이르기까지 차별이 있었다.
•945년(태조28)에 확대된 영역과 늘어난 백성을 통치하기 위해 반항 세력과 협조 세력의 호족들에 대한 상벌의 의미로, 그 세력을 고려하여 갑성군을 장성군으로 개칭하여 마량부곡과 분리하여 통치하였다.
⦁982년(성종 1) 3월 백관의 명호名號를 고치고, 4월에는 10세 이상의 남자에게 착모着帽케하였으며, 형법을 제정하였는데 내용을 보면, 옥관령獄官令 2조, 명례 12조, 위금衛禁 4조, 직제職制 14조, 호혼戶婚 4조, 구고廐庫 3조, 천흥擅興 3조, 盜賊 6조, 투송鬪訟 7조, 사위詐僞 2조, 잡율雜律 2조, 포망捕亡 8조, 단옥斷獄 4조로 모두 71조였다. 그러나 형법에 규정된 법적 근거로는 제재할 수 없는 여러 가지 문제가 생겨났으나 법을 증보하지 않고, 국왕의 하교下敎로서 그때 그때 금령禁令을 내려 형법의 부족함을 보충하였다.
⦁983년(성종 2)에 12목을 두어 여기에 중앙의 관원을 파견하여 지방행정을 집행하였다. 장성은 나주목에 속하였다.
⦁991년(성종 10)에 전국 주 ‧ 군의별호를 정하였는데, 이때 장성은 이성伊城으로, 진원은 구진舊珍으로 하였다. 이로 인해 군 명이 바뀐 것으로 보고 있으나 이는 별호인 것이지 군 명이 바뀐 것이 아니다.
⦁995년(성종 14)에는 경기 이외의 전국을 10도로 나누는 동시에 12주의 절도사를 비롯하여 아래로 단련사團練使 ․ 자사刺史 ․ 방어사防禦使 등 외관직을 두었다. 각 도밑에 주 ‧ 부 ‧ 군 ‧ 현을 설치하였다. 도는 안찰사가 중앙에서 수시로 파견되어 순찰하는 정도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1010년(현종 1) 이후에는 12주를 개편하여 4도호부 8목이 중심이 되어 군郡, 현縣, 진鎭을 분담하여 다스렸다. 그 밑으로 촌村, 향鄕, 소所, 부곡部曲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장성은 마량부곡이었다. 중앙의 지방관 파견은 일부의 현까지였지만 장성의 경우는 특수집단으로 분류하여 중앙의 지방관이 파견되었다. 지방에서 직접 다스리던 사람은 관원이 아니고 향리鄕吏였다. 이들은 임기가 없고 조세와 부역을 징발하는 직접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 백성에 대해서는 국가를 배경으로 하여 그 행포가 심하였다.
⦁ 현종 9년(1018)에 5도 양계제(고려사 권56 지리지)의 확립으로 삼계현과 장성군은 영광군에 진원현은 나주목에 예속됨. 군 ‧ 현에는 영군현領郡縣과 속군현屬郡縣의 구별이 있었던 바 영군현은 지방 장관을 임명한 군 ‧ 현이고, 속군현은 그것을 임명하지 아니한 군 ‧ 현이었다. 장성지방은 마량부곡인 상태였다.
⦁문종 1년(1047)에 관직을 개혁 하였는데 동반과 서반으로 나누어 18품계에 동반에만 이속吏屬을 두었다. 관원장은 동반에 518명, 서반에 3.867명, 이속은 문하성門下省에만 주사主事 6명, 주보注寶 3, 기관記官 20, 직성直省 8, 당향唐鄕 각 4, 영사令史 6, 대조待詔 2, 서수書手 26, 전이電吏 180, 서령사書令史 6, 서예書藝 2, 시서예試書藝 2, 문복門僕 10이니 관서수가 동반에만 81개요 서반에 17이니 관원수가 만여 명에 이르니 만조백관이란 말이 여기에서 나왔다.
⦁명종 2년(1172)에 현령을 둘 수 없는 53개 작은 현에 감무를 두었는데, 이때 장성현과 진원현에 감무를 두면서 영광군과 나주에서 각각 분리되니 드디어 236년만에 천민집단이었던 부곡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중앙에서 파견되었던 지방관은 중앙으로 올라 가고 호족중심의 호족 대표가 행정을 맡아 향리와 더불어 집행하였다.
8. 조선시대朝鮮時代
⦁태종 13년(1413) 지방행정기구 개편에 따라 장성 감무를 현감으로 고쳤으며, <경국대전>에 의하면 대체로 고려의 제도를 계승 ․ 정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각각 관찰사를 두었으며, 그 밑에 4부府 ․ 4대도호부大都護府 ․ 20목牧 ․ 43도호부都護府 ․ 82군郡 ․ 175현縣이 소속, 각각 守令이 배치되었다. 현감은 종6품이었고, 현 아래로는 중앙에서 배치하는 지방관이 없이 자치적인 조직으로서 면面(방坊 ․ 사社)과 그 밑에 리里(촌村 ․ 동洞)가 있었다. 말단 행정은 중안의 육조六曹와 같이 이 ․ 호 ․ 예 ․ 병 ․ 형 ․ 공의 육방六房에서 분담하였는데, 지방의 서리胥吏가 이 사무에 종사하였다. 이들은 지방행정의 실무를 담당하여 지방관과 백성들의 중간에서 부정행위를 자행하기도 하였으며, 군사軍事면에는 군교軍校가 있어서 이들이 경찰권警察權을 행사하였다. 지방관은 서리를 통하여 지방행정을 집행하는 한편, 그 지방의 유력자有力者인 향반鄕班을 향임鄕任에 임용하여 지방관의 보좌역으로 삼아 서리의 악폐惡弊를 막게 하는 등, 이들의 지식과 영향력을 지방행정상에 이용하였다.
리里 밑에 오가작통五家作統의 조직을 만들어 운영하였다.
•1454년(단종 2)에 편찬한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장성과 진원현의 호구는 183호 840명과 144호 747명으로 합하면 327호 1,587명이다. 당시 오늘날 장성 영역 서부의 일부는 영광과 함평소속이었기에 살펴보면 500호 2,000명 정도로 추정 된다. 여기서 선군船軍과 군정을 살펴보면 장성현의 시위군 13명, 진군 23명, 선군 140명이고 진원현은 시위군 21명, 진군51명, 선군 106명으로 합하면 시위군 34명, 진군 74명, 선군 246명으로 모두 354명인데, 서부지역까지 더하면 500명은 되었다.
⦁선조 33년(1600)장성과 진원을 합병하여 치소를 영천리 평전부근(현 공원부근)에 옮기고 향교는 장안리에 두었다.
⦁효종 6년(1655) 도호부로 승격되어 치소를 성산으로 옮겼다, 향교는 현위치인 성산3리 청룡으로 옮겼다
⦁조선중기(영조이전)에 읍동, 읍서, 내동, 외동, 남일, 남이, 남삼, 서일, 서이, 서삼, 북일, 북이,북하, 북상, 역면 등 15개면으로 편성되었다.
⦁1759년(정조 35)에 발행한 「여지도서」전라도 장성방리조長城坊里條(전라도 장성조 동읍동면, 서읍서면 ‧ 서일면 ‧ 서이면 ‧ 서삼면, 남남일면 ‧ 남이면 ‧남삼면, 북북일면 ‧ 북이면 ‧ 북상면 ‧ 북하면, 동북간역면, 동남간내동면 ‧ 외동면, 전라도 영광조, 동내동면 ‧ 현내면 ‧ 삼남면 ‧ 외동면, 동남간외서면 ‧ 삼북면, 전라도 나주조, 대화면)에 방위와 관문으로부터의 거리, 호수, 인구수(8,463호에 30,037명)를 밝힌 지역 명칭이 붙은 면이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장성읍 관내인 읍동과 읍서 지역이 371호 1,501명, 731호 2,626명과 역면(북삼)이 760호 2,173명을 합하면 1,862호 6,300명이었다. 여기에 장성호 수몰로 없어진 북상면 603호 2,168명 중 일부를 더하면 2천여호에 6천5백명 정도가 거주한 것이다.
삼계면 지역으로 당시 영광군 소속이었던 현내면 316호 1,215명, 내동면 174호 732명, 삼북면 471호 1,577명을 합하면 961호 3,524명이 살고 있었다. 다음은 황룡면 관할로 남삼면 197호 886명, 서일면 228호 712명, 서이면 282호 927명을 더하면 707호 2,525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삼서지역으로 당시 영광 소속 삼남면 380호 1.557명, 외서면 261호 912명을 더해 641호 2,469명이다. 남면 지역은 남일면 262호 989명, 남이면 297호 1,212명을 더해 559호 2,201명이었고, 진원면은 내동면 289호 1,054명, 외동면 333호 1,133명을 합쳐 622호 2,187명이며, 동화면내에는 영광소속 외동면 261호 996명, 나주소속 대화면 358호1,146명을 합해 619호 2,142명이었다. 이어 북이면 504호 1,779명, 북일면 458호 1,665명, 서삼면 490호 1,608명, 북하면 437호 1,469명이다. 당시 남자가 여자보다 2,482명이나 적었다. 따라서 남자인구는 3만 4천여명이 장성관내에 거주하였다.
⦁1789년(정조 13)에 발행한 『호구총수』에는 면과 마을 이름이 나와 있다. 장성군 관내에는 22면과 487마을에 총 8,947호 31,638명이 살고 있었다.
말단 행정구역 면 ‧ 리의 장은 사실상 지방 수령보다는 향청이나 향약의 계통을 이은 것으로 좌수 ‧ 별감의 추천에 의해 수령이 임명했다. 처음에는 덕망이 있는 자가 추천되기도 했으나 차츰 질이 낮아져 기피하면서향촌의 지배 질서는 새로이 부를 축적해 부상하는 세력들에 의해 좌우되어 갔다. 면의 장은 풍헌 ‧ 약정 ‧ 집강 ‧ 면임 등으로 불렀고, 동리촌의 장은 존위 ‧ 약수 ‧ 동장 ‧ 리장 등으로 불렸다.
여기서 『여지도서』『호구총수』에 나타난 현재 장성군의 면단위 호수와 인구 그리고 소속 리수는 다음 표와 같다.
여지도서와 호구총수의 각 면별 호구수
면 명 |
여지도서(1759년) |
호구총수(1789년) | |||||||
호 |
인구 |
호 |
인구 |
소속 리수 |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
읍 서 |
731 |
2,626 |
1,189 |
1,437 |
679 |
2,268 |
1,114 |
1,154 |
16 |
읍동 |
371 |
1,533 |
698 |
835 |
452 |
1,614 |
826 |
788 |
11 |
남삼 |
197 |
886 |
359 |
527 |
193 |
742 |
395 |
347 |
16 |
서일 |
228 |
637 |
208 |
429 |
262 |
780 |
295 |
485 |
6 |
서이 |
282 |
927 |
352 |
575 |
375 |
1,409 |
634 |
775 |
21 |
서삼 |
490 |
1,563 |
658 |
905 |
534 |
1,687 |
721 |
966 |
20 |
내동 |
289 |
1,054 |
370 |
684 |
342 |
1,176 |
462 |
714 |
16 |
외동 |
333 |
1,133 |
358 |
775 |
250 |
739 |
338 |
401 |
17 |
남일 |
262 |
989 |
347 |
642 |
397 |
1,030 |
432 |
598 |
17 |
남이 |
297 |
1,212 |
448 |
764 |
329 |
1,080 |
556 |
524 |
13 |
북일 |
458 |
1,665 |
720 |
945 |
494 |
1,707 |
751 |
956 |
23 |
북이 |
504 |
1,779 |
686 |
1,093 |
615 |
2,180 |
1,005 |
1,175 |
34 |
북상 |
603 |
2,168 |
946 |
1,222 |
686 |
2,859 |
1,213 |
1,646 |
37 |
북하 |
437 |
1,469 |
603 |
866 |
534 |
1,378 |
702 |
607 |
28 |
역 |
760 |
2,173 |
1,049 |
1,124 |
576 |
2140 |
1,030 |
1,110 |
14 |
삼북 |
471 |
1,577 |
784 |
793 |
548 |
1,910 |
932 |
978 |
44 |
내동 |
174 |
732 |
411 |
321 |
150 |
789 |
384 |
405 |
12 |
현내 |
316 |
1,215 |
594 |
621 |
370 |
1,450 |
708 |
742 |
21 |
삼남 |
380 |
1,557 |
830 |
727 |
374 |
1,491 |
741 |
750 |
40 |
외서 |
261 |
912 |
451 |
461 |
383 |
1,545 |
753 |
792 |
43 |
외동 |
261 |
996 |
494 |
502 |
278 |
893 |
422 |
470 |
19 |
대화 |
358 |
1,146 |
540 |
606 |
235 |
771 |
329 |
442 |
19 |
게 |
8,463 |
29,949 |
13,095 |
16,854 |
9,047 |
31,569 |
14,744 |
16,825 |
487 |
•1894년(고종 31) 5월 7일 이춘영은 장성군의 접주로서 집강이 되어집강소를 성산 관아에 두고 농민통치를 실시하면서, 수령의 임무를 수행하는 집강과 서기를 두었는데 서기는 농민통치의 문서를 작성하고 정리하며 한편으로는 관리의 문부를 검열하고 집강의 비서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성찰을 두었는데 성찰(省察, 감찰)은 치안과 경비를 담당하고 순찰과 감찰을 담당했으며 농민통치의 기율과 기강을 바로잡는 일을 했다. 따라서 탐관오리나 횡포한 부호나 양반 등을 조사하고 압송하는 것은 성찰의 몫이었으며 이러한 역할 때문에 성찰은 집강소의 또 다른 기관인 호위군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집강소의 실질적인 권한은 집강 다음으로 이 성찰이 갖고 있는 셈이었다. 성찰은 한집강소 안에 의사결정을 위해 약간 명을 두었고 그 수석 책임자를 도성찰(都省察)이라 불렀다.
또 집강소에 집사를 두었는데 집사는 집강소의 행정과 공사를 관리하는, 이를테면 행정요원이었다. 이 시기의 개혁행정, 인민소장(人民訴狀)의 처리 등의 대민(對民) 사업은 집사의 몫이었으며 동학의 전도나 동학농민혁명의 폐정개혁사업에 대한 선전도 집사의 직무였다. 성찰과 마찬가지로 한 집강소에 여러명의 집사를 두었다.
또 집강소안에 동몽을 두었는데 동몽은 주로 청소년으로 구성되였다. 주로 이들은 집강소와 집강소 간의 연락과 전령을 담당했으며 때로는 집강소 간부를 호위하고 또 때로는 성찰의 보조적 역할도 수행하였다.
이렇게 집강소는 지방의 행정과 군사. 민원처리 등을 관장했는데, 11월까지 7개월간 집강소에서 추진한 폐정개혁 12개조는 다음과 같다.
1. 도인(동학도)과 정부사이에는 서로 미워하지 말고 서정에 협력할 것.
1. 탐관오리는 그 죄목을 조사하여 엄하게 다스릴 것.
1. 횡포한 부호들은 그 죄목을 엄하게 다스릴 것.
1. 불량한 유림과 양반들을 엄하게 다스릴 것.
1. 노비문서를 소각할 것.
1. 칠반천인(신분은 양반이면서 천역에 종사하는 7가지 직업인)의 대우를 개선하고 백정의 머리에 쓰는 평양립을 없앨 것.
1. 청춘과부의 개가를 허가할 것.
1. 무명잡세는 일체 부과하지 말 것.
1. 관리채용에는 지벌을 타파하고 이재를 등용할 것.
1. 왜와 간통한자는 엄하게 다스릴 것.
1. 공사채를 막론하고 기왕의 빚을 모두 없앨 것.
1. 토지는 평균하게 경작할 것.
그리고 모든 것을 혁청 하기에 이른다. 그동안 농민들을 착취하고 옥죄였던 부호들을 응징한 것은 두말할 나위 없으며 이들의 재산몰수를 부분적으로 실시해 혁명군의 비용으로 썼으며 모든 부호들에 대해서도 재산의 일부를 헌납토록 했다. 그래서 부자와 빈자를 없애려고 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정, 군정, 환곡의 삼정을 개혁했다. 농민들의 가장 큰 고통으로 부담되었던 봉건적 수취제도와 무명잡세를 철폐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이고 가벼운 근대적 과세체제를 이뤄 나갔다.
이 밖에도 고리채(高利債)의 무효화와 국내의 쌀값을 앙등시키는 주요인인 일본유출을 정지시켰으며 또 한편으로는 지주제도를 개혁, 토지의 분작(分作)을 추진했다.
가장큰 성과로 양반, 상놈, 종놈, 적자, 서자 등 모든 차별적 명색을 그림자도 보지 못하게 하였다.
한편 민중의 억울한 일을 풀어주고 해결해 주는 일을 비롯, 관리의 문부(文簿)를 바로잡는 일까지 단행하였다.
•1894년(고종 31) 5월 26일 지방관제를 개편하고 칙령 98호로 전국을 23부로 나누고 종래의 부목, 군, 현의 명칭 및 부윤, 목사, 군수, 현령, 현감 등의 명칭을 모두 폐지하고 고을의 명칭을 군郡이라 하고 그의 장을 군수郡守라 했다. 장성은 전주부에 속하였다.
•1895년(고종 32) 1월에 제정한 홍범 14조에 지방 관제를 갑오경장 이후 종래의 행정구획을 모두 폐지하고 “지방관의 직권을 삭제한다”는 조항에 따라 개혁이 단행되어 같은 해 5월에 “도제 폐지 ‧ 지방제도개혁 및 지방관제”가 공포되어 다음달 1일부터 시행했다.
•1896년 5월 26일에 칙령 98호를 반포하여 지방 제도의 대개편을 단행하였다. 이로써 1413년이래 습용되어 오던 8도제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채택되고 종래 부 ‧ 목 ‧ 군 ‧ 현 등을 모두 군으로 고치고 군수를 두도록 하였다. 그리고 동년 9월에 칙령 제164호로 각 군을 그 관할 면과 결, 호수에 따라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장성군은 3등군이 되었다. 그러나 오랜 전통과 현실사이에 마찰이 일어 그 실시 1년 3개월만에 폐지되고 말았다.
•1906년 9월 24일 칙령 제49호(지방구역정리건)을 반포, 비입지와 두입지 정리에 따라 창평군의 갑향면이 장성군에 편입되었다.
•1906년 10월 27일자 대한 매일 신보에 의하면 장성군의 면은 읍서면, 읍동면, 내동면, 외동면, 남일면, 남이면, 남삼면, 서일면, 서이면,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역면, 북하면, 갑향면 등 16개면이었다.
•1907년 12월 중앙 ‧ 지방관제 개정에 따른 장성군의 인구현황은다음과같다.
1907년 장성군의 인구현황
현읍면 |
구읍면舊邑面 |
1925년 |
비고 |
장성읍 |
읍동邑東 |
9,735 |
2,064호 |
읍서邑西 | |||
북삼北三 |
3,827 |
748호 | |
진원면 |
내동內東 |
6,604 |
1,348 |
외동外東 | |||
남면 |
남일南一 |
6,651 |
1,308호 |
남이南二 | |||
동화면 |
外東 |
4,976 |
|
大化 |
|||
삼서면 |
森南 |
9,869 |
1,992호 |
外西 | |||
삼계면 |
縣內 |
10,084 |
2,63호 |
內東 | |||
森北 | |||
황룡면 |
西一 |
9,082 |
1,841호 |
西二 | |||
西三 | |||
서삼면 |
西三 |
4,855 |
|
북일면 |
北一 |
4,782 |
|
북이/북하면 |
北二 |
6,418 |
1,317호 |
北上 |
5,756 |
1,232호 | |
北下 |
5,948 |
||
합계 |
88,587 |
18,152호 |
9. 일제시대日帝時代
•1910년 5월 발행한 민적통계표에 따르면 1907년보다 약 2배로 인구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3년 사이에 인구가 증가한 것이 아니고 조사방법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1910년 장성군 읍면별 인구현황
<자료 : 민적통계표>
현읍면 |
구읍면 舊邑面 |
호수 |
인구 |
남 |
여 |
관공리 |
양반 |
유생 |
상업 |
농업 |
어업 |
공업 |
일가 |
기타 |
장성읍 |
읍동邑東 |
662 |
3,009 |
1,582 |
1,427 |
3 |
1 |
8 |
646 |
2 |
||||
읍서邑西 |
658 |
3,200 |
1,663 |
1,537 |
9 |
4 |
10 |
633 |
1 |
1 |
||||
북삼北三 |
632 |
2,624 |
1,515 |
1,109 |
1 |
1 |
10 |
620 |
||||||
진원면 |
내동內東 |
870 |
4,601 |
2,411 |
2,190 |
2 |
3 |
1 |
12 |
852 |
||||
외동外東 |
553 |
2,632 |
1,385 |
1,247 |
2 |
2 |
2 |
10 |
537 |
|||||
남면 |
남일南一 |
485 |
2,241 |
1,204 |
1,037 |
2 |
2 |
1 |
7 |
473 |
||||
남이南二 |
579 |
2,669 |
1,416 |
1,253 |
1 |
1 |
9 |
568 |
||||||
동화면 |
外東 |
1,076 |
4,058 |
2,449 |
1,609 |
2 |
1 |
12 |
1,061 |
|||||
大化 |
414 |
1,403 |
1,053 |
350 |
1 |
4 |
5 |
15 |
372 |
10 |
7 | |||
삼서면 |
森南 |
310 |
1,580 |
780 |
800 |
2 |
29 |
25 |
246 |
1 |
4 |
3 | ||
外西 |
769 |
3,505 |
1,970 |
1,535 |
3 |
5 |
75 |
628 |
37 |
21 | ||||
삼계면 |
縣內 |
542 |
2,348 |
1,305 |
1,043 |
4 |
100 |
419 |
8 |
11 | ||||
內東 |
334 |
1,607 |
881 |
726 |
1 |
6 |
6 |
43 |
249 |
12 |
17 | |||
森北 |
236 |
1,537 |
839 |
698 |
7 |
7 |
12 |
17 |
180 |
5 |
8 | |||
황룡면 |
西一 |
764 |
3,615 |
1,873 |
1,742 |
5 |
12 |
5 |
128 |
570 |
25 |
32 | ||
西二 |
293 |
1,443 |
780 |
663 |
2 |
3 |
3 |
5 |
280 |
|||||
西三 |
465 |
2,444 |
1,307 |
1,137 |
2 |
3 |
4 |
13 |
443 |
|||||
서삼면 |
西三 |
275 |
1,675 |
969 |
706 |
1 |
3 |
2 |
10 |
259 |
||||
북일면 |
北一 |
682 |
3,706 |
1,926 |
1,780 |
2 |
3 |
1 |
12 |
664 |
||||
북이/북하면 |
北二 |
778 |
3,951 |
2,070 |
1,881 |
2 |
2 |
1 |
14 |
759 |
||||
北上 |
1,091 |
4,971 |
2,658 |
2,313 |
2 |
2 |
15 |
1,072 |
||||||
北下 |
988 |
4,370 |
2,369 |
2,001 |
1 |
2 |
13 |
972 |
||||||
합계 |
13,456 |
63,189 |
34,405 |
28,784 |
57 |
64 |
77 |
563 |
12,503 |
3 |
2 |
101 |
99 |
•일제는 1910년 8월 29일 통감부를 폐지하고 9월 30일 조선총독부관제가 제정됨으로써 군에는 군수, 면에는 면장을 두되 군수의 지휘 감독을 받아 면내의 행정사무를 보조 집행하도록 하였다. 장성군은 23개 면이 되었다.
•1910년 9월 30일 칙령 제357호로 조선총독부 지방관제에 의하여 군에 면을 두고, 면에 면장을 두되 면장은 군수의 지휘 감독을 받아 면행정사무를 처리하도록 되어 면사무소가 설치되었다. 이때의 장성은 23개 면이었다.
•1913년 12월 29일 부령 제111호에 의하여 <행정구역 통폐합>이 이루어져 1914년 4월1일 영광군의 삼북, 내동, 현내면이 삼계면으로 삼남, 외서면이 삼서면으로, 외동면과 함평군 대화면이 통합되어 장성군으로 편입되었으며 갑향면은 담양으로 할양, 이때 읍동⦁읍서는 장성면에, 외동⦁내동은 진원면에, 남일⦁남이는 남면, 남서⦁서일⦁서이는 황룡면으로 통폐합되고 역면은 북삼면으로 개칭되어 장성군16면 421리, 영광군 6면 158리, 함평군 1면 23리가 장성군 관할이 되어 13개 면이되었다(1913.12.29 부령 제111호에의한 행정구역 통폐합).
1914년에 개편된 장성군의 각 면별 법정리와 마을의 개편사항은 다음과 같다.
1914. 4. 1현재 각 면별 행정구역 일람표
면별 |
계 |
장성 |
진원 |
남 |
동화 |
삼서 |
삼계 |
황룡 |
서삼 |
북일 |
북이 |
북삼 |
북상 |
북하 |
리수 |
123 |
8 |
9 |
9 |
9 |
14 |
15 |
13 |
7 |
7 |
9 |
7 |
8 |
8 |
마을수 |
571 |
35 |
47 |
42 |
42 |
77 |
62 |
42 |
33 |
46 |
48 |
24 |
40 |
33 |
법
정
리 |
유탕 |
용산 |
마령 |
송계 |
홍정 |
주산 |
장산 |
장산 |
신흥 |
원덕 |
부흥 |
신성 |
약수 | |
단광 |
상림 |
평산 |
구룡 |
두월 |
월연 |
신호 |
송현 |
성산 |
사가 |
백계 |
쌍웅 |
중평 | ||
영천 |
학림 |
덕성 |
월산 |
석마 |
사창 |
필암 |
모암 |
월계 |
신평 |
용강 |
오월 |
성암 | ||
기산 |
산동 |
녹진 |
남산 |
금산 |
발산 |
월평 |
대덕 |
박산 |
달성 |
봉덕 |
조양 |
대흥 | ||
장안 |
진원 |
행정 |
남평 |
보생 |
상도 |
와룡 |
취암 |
오산 |
백암 |
덕진 |
수성 |
용두 | ||
안평 |
학전 |
분향 |
구림 |
수앙 |
능성 |
옥정 |
금계 |
성덕 |
만무 |
상오 |
동현 |
단전 | ||
수산 |
선적 |
월정 |
용정 |
대곡 |
수옥 |
황룡 |
용흥 |
문암 |
죽청 |
야은 |
용곡 |
대악 | ||
성산 |
산정 |
삼태 |
동호 |
우치 |
내계 |
통안 |
모현 |
덕재 |
월성 | |||||
율곡 |
월곡 |
서양 |
수해 |
신기 |
와우 |
신월 |
||||||||
소룡 |
화산 |
관동 |
||||||||||||
삼계 |
부성 |
아곡 |
||||||||||||
유펑 |
덕산 |
금호 |
||||||||||||
대도 |
수산 |
백호 |
||||||||||||
학성 |
생촌 |
|||||||||||||
죽림 |
||||||||||||||
면소재지 |
성산 |
산정 |
평산 |
용정 |
우치 |
사창 |
장산 |
장산 |
성산 |
사가 |
백계 |
덕재 |
약수 |
⦁1915년 7월 1일 고창군 성송면 생촌리가 장성군으로 편입되고
⦁1921년 군소재지를 성산에서 영천리 현위치에 옮겼다.
⦁1925년 최초의 인구센서스는 현주現住조사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1930년 북삼면이 장성면(지금의 장성읍 ․ 부흥 ․ 백계 ․ 용강 ․ 봉덕 ․ 덕진 ․ 상오 ․ 야은리)에 합병하고, 북일면 공평이 서삼면 송현리로 편입되었다. 장성군은 12개면을 관할하게 되었다.
1930년 장성군의 인구현황
현읍면 |
구읍면舊邑面 |
1930년 |
일본인 |
장성읍 |
읍동邑東 |
11,877 |
685명포함 |
읍서邑西 | |||
북삼北三 |
3,973 |
||
진원면 |
내동內東 |
6,966 |
1 |
외동外東 | |||
남면 |
남일南一 |
7,121 |
|
남이南二 | |||
동화면 |
외동外東 |
5,422 |
|
대화大化 |
|||
삼서면 |
삼남森南 |
10,353 |
|
외서外西 | |||
삼계면 |
현내縣內 |
10,238 |
|
내동內東 | |||
삼북森北 | |||
황룡면 |
서일西一 |
9,525 |
|
서이西二 | |||
서삼西三 | |||
서삼면 |
서삼西三 |
5,047 |
|
북일면 |
북일北一 |
5,038 |
|
북이/북하면 |
북이北二 |
6,877 |
70명포함 |
북상北上 |
5,748 |
||
북하北下 |
5,918 |
||
합계 |
94,103 |
일본인1,068명포함 |
•1935년 국세조사 결과 장성군은 19,041호에 96,469명으로 증가했다.
•1936년에 장성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1읍 11면이 되었다.
•1939년부터 일제침략자들은 한국인을 그들의 침략전쟁에 간제 동원하면서 민족말살정책을 써서한국인을 일본인으로 만들려 했다. 이른바 내선일체內鮮一體,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을 내세워한민족 자체를 없애 버리려 했던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어의 사용을 금지하고 창씨개명創氏改名을 강요하여 성명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하였으며 황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 제창과 신사참배를 강요했다.
•1943년 10월 3일 읍소재지를 현재의 영천리 읍사무소로 옮겼다.
•1944년 광복전에는 장성군 인구가 10만명이 넘었다.
10. 미군정시대美軍政時代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36년간 일제의 가혹한 압제에서 벗어난 우리 민족의 해방과 더불어 미군정은 지방 제도에 관한 일제 법령의 효력을 대체로 지속시킴으로써 과도기적 통치를 행하였다.
•1946년 3월 14일 군정법령 제60호로써 도회 부회 읍회등의 지방의회가 해산되었다. 따라서 도지사 ‧ 부윤 ‧ 읍면장은 국가의 지방행정 기관으로서 지방 단체인 도 ‧ 부 ‧ 읍 ‧ 면의 의사 기관인 동시에 집행기관으로서군정이 명하는 바에 따라 사무를 처리했다.
또한 물가상승으로 지세의 과표인 임대가격을 10배로 인상하는 등 세제를 개혁하였다.
•1947년 광복후 암울했던 시기에 4 ― H운동(智 Head, 德 Heart, 勞 Hands, 體 Health)전개. 군정에서는 세율을 대폭 인상하고 석유제품에 대한 물품세를 신설했다. 따라서 군정 3년간의 세제개정은 대체로 부분적, 미봉적 조치에 불과했으며, 일방적 개정을 할 수 없었다.
⦁1948년에는 장성군 인구가 120,599명이 되었다.
11. 대한민국大韓民國
1) 제1공화국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정부수립하니 40년만에 주권을 되찾고 모든 행정을 국회를 통과한 법률에 따랐다.
⦁1949년 6월 21일에 농지개혁법이 선포되었다. 정부 수립 후 부재지주를 없애고 연세농민에게 농지를 적절히 분배함으로써 농업경영을 합리화 하기 위하여 실시한 농지의 재 분배와 관련된 개혁정책이다.
⦁1949년 7월 4일에 법률 제32호로 지방자치법이 공포되고, 이해 8월 15일부터 시행되었다. 이로써 지방행정에 관한 임시조치법은 효력을 상실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계층적 구조는 시 ․ 읍 ․ 면의 2개층으로 되었고, 도의 하부 조직으로 군을, 그리고 읍면에 동 ․ 리를 두게 되었다. 이장은 주민이 선출하였다.
⦁1949년 11월 3일 하헌종河憲鍾 군수가 취임하여 농지개혁업무를 추진하던 중 1950년 약간의 수정을 가해 대통령 령 제295호로 추진하던 중 6,25사변으로 인해 일시 중단되었다.
⦁1950년 7월 23일부터 동면 10월 22일까지 공산당 치하에 있었으며,
⦁1950년 10월 23일 이승만 정권으로 돌아왔다.
⦁1950년 12월 25일 김기창金基彰 군수가 취임하여 1951년 4월 28일 농림부령 18호로 농지개혁법 시행규정으로 남한 전역에 걸쳐 농지개혁을 실시 하니 군의 모든 행정력이 상환액을 받는 등 이 업무에 매달렸다.
⦁1952년 2월 21일 박두옥朴斗玉 군수가 취임하여 4월 17일 내각제 개헌안 제출, 4월 20일 장면 국무총리 사임, 4월 25일 지방의원 선거를 치루었고, 5월 6일 장택상 국무총리 되고, 5월25일 경남과 전남에 비상계엄령이 내려졌고, 6월 5일 폭풍우가 지나갔으며, 8월 7일 제2대 부,대통령 선거 결과 대통령 이승만 부대통령 함태영이 당선되는 격동의 핸정을 펼쳤다.
⦁1952년 4월 25일 시행된 대한민국 최초의지방자치선거가 중선거구제로 시행한바 읍 ‧ 면의원당선자는 다음과 같다.(공식자료가 없어 사실과 다를 수 있음)
ㅇ장성읍 15명(이영구 차중이 변진일 김병욱 김철회 김옥희 최용주 변은연 손창연 김재영 장홍기 김창현 공인수 문재옥 기우창)
ㅇ진원면 11명(선태식 김상덕 임재현 박중언 이문과 유재규 이재춘 홍종열 이항덕 배계오 차기호)
ㅇ남면 9명(선태식 심의현 주상석 박용환 김판용 김팔수 이덕만 서성화 김일호)
ㅇ동화면 9명(송병만 최천수 정영복 이항범 김형태 정기선 홍판길 고홍진 이왕수)
ㅇ삼서면 11명(오태선 최연봉 이영현 김갑청 나종희 정찬선 김장수 나금주 나상갑 정찬길 이기표)
ㅇ삼계면 12명(김봉현 최병학 나몽선 김후회 고재안 김영설 홍정표 이일호 이상남 김수득 정삼재 송학수)
ㅇ황룡면 10명(고광준 양대빈 박균풍 장홍규 강계수 김원득 박내성 김상훈 김봉수 김연수)
ㅇ서삼면 8명(고재만 김요덕 선종만 최익용 김종회 반지환 변동률 김석중)
ㅇ북일면 11명(백근기 김영수 변재국 변재준 김동환 변재오 정순용 이희철 변재철 차막동 변금산표)
ㅇ북이면 12명(김성옥 강귀동 김봉술 김형곤 유원희 정순익 변동필 신관우 전상술 신형식 공홍열 신기우)
ㅇ북하면 10명(고재용 전용필 김상현 김복수 이금동 김상덕 김용옥 김홍열 김종균 안재운)
⦁1952년 5월 1일 전라남도의원 초대 당선자는 박내춘, 김태종이다.
⦁1953년 12월 28일 유수현劉守鉉 군수가 취임하여 1952년 ‘유엔한국재건단’(UNKRA)이 한국 경제의 재건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네이산에게 연구용역을 맡긴 결과 1953년 3월에 나온 ‘한국경제재건 5개년계획’(일명 네이산 보고서)을 수행하였다. 내용은 한국이 농업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하여 농업생산성을 높이고 증산된 쌀을 수출해서 얻은 외화로 공업화 기반을 구축하자는 것이었다. 재건계획의 중심에는 농업이 있었다.
1954년 5월 30일 제3대 민의원 선거를 실시했다. 6월 28일 변영태 국무총리됨, 7월 24일 폭우로 피해가 큼, 11월 29일 그 유명한 사사오입사건이 있었다.
⦁1955년 8월 4일 한창호韓昌鎬 군수가 취임하야 9월 1일 전국이구조사 실시하였다.
⦁1955년 동란으로 남자 51,765명 여자 56,064명으로 1948년 보다 13,000여명이 줄었다가 59,257명 여자 59,145명으로 118,402명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1956년 8월 8일 임기 3년씩의 읍 ‧ 면의원, 도의원, 읍 ‧ 면장을 뽑는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ㅇ장성읍 12명(이영구 김영현 차순홍 박상규 조달원 나백순 김창윤 기노열 정선태 김재영 김장섭 변진일), 읍장 변복기
ㅇ진원면 11명(김동호 김태규 임재현 김종석 김대호 박수채 이재춘 김상표 조병안 이항덕 정경만), 면장 박호연
ㅇ남면 9명(신동근 심의현 주상석 박용환 김천우 황금주 임종성 심상무 김팔수), 면장 공영진
ㅇ동화면 9명(송병만 최천수 정영복 이항범 김갑동 김영생 백용안 김형식 이왕수), 면장
ㅇ삼서면 12명(오태선 임찬수 이봉우 이철암 한석보 임갑수 이점동 정인채 김갑청 정병무 이강연 이영현), 면장 오승수
ㅇ삼계면 12명(고남주 최병학 송윤식 이봉형 김재철 김수득 노희수 송병주 김영대 최 식 고재곤 박희순), 면장
ㅇ황룡면 13명(김성중 기노훈 박광채 박인구 박균열 김원득 박내설 김요당 김봉수 김강수 신동우 나영균 임응택), 면장
ㅇ서삼면 11명 (고재만 김요덕 김상중 이희춘 김진웅 반만환 김달중 김경수 김노수 반재현), 면장 기노근
ㅇ북일면 11명(임호빈 김수봉 박봉규 김영목 변재준 변갑봉 공명종 정순용 유순용 이우규 김귀현), 면장 변
ㅇ북이면 10명(김성옥 강귀동 김봉술 기노창 정개순 신형식 변동필 신관우 전상술 강권수), 면장 이삼범
ㅇ북하면 10명(기봉일 전기주 강대엽 김복수 김종운 김상덕 장영수 김재완 김홍열 이강우 김경열), 면장 송재근
•1956년 8월 13일 제2대 도의원 득표 상황(전남일보 보도 내용 인용)
ㅇ 제1선거구(장성읍,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상면, 북하면)
자유당 변을봉 9,400(당선)
조종화 4,464(차점)
ㅇ 제2선거구(진원면, 남면,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황룡면)
자유당 나몽성 11,969(당선)
김녹영 6,390(차점)
•1957년 4월 2일 박종환朴鍾煥 군수가 취임하여 8월 4일 수재 크게 발생함에 복구에 행정의 총력을 기울였다.
•1958년 11월 7일 박기옥朴基玉 군수가 취임하여 순조로운 행정을 펼쳤으나 59년 8월에 찾아온 태풍으로 피해복구에 애를 먹었다.
2) 제2공화국
•1960년 2월 8일 이해영李海榮 군수가 취임하여 경제개발 3개년계획이 하달되어 역점사업으로 추진하였다.
•1960년 3월 15일 부정선거 결과 이승만과 이기붕이 당선시키는데 일조를 하였다.
•1960년 4월 19일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 하야하고 7월 29일 총선에서 윤보선이 대통령에 당선되고 장면 내각이 출범 민주자치시대가 열렸다. 기초단체장인 면장과 면의원, 군의원, 도참의원 등이 민선으로 뽑혔다.
⦁1960년 5월 28일 이시형李時炯 군수가 취임하여 5월 29일 이대통령 부부 하와이로 망명하는 불운을 겪었으며, 8월 12일 윤보선 대통령에 당선 시키는 선거를 치루었고, 23일에 장면 내각 출범하에 행정을 펼쳤다.
⦁1960년 12월 8일 김남권金南權 군수가 취임하여 반쪽의 주민자치 선거를 치루었다. 민주당 정권의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1962~1966)을 소비지향도 아니고 석유에 의존치도 않는 자급자족적인 산업구조를 건설하려는데 주안접을 둔 계획을 수립 추진하려 하였는데 5,16혁명으로 중단되었던 것을 군사정권에서 수정을 가하여 강력히 추진하였다.
⦁1960년 12월 12일 제3대 도의원 선거 득표 상황(전남일보 보도 내용 인용)
ㅇ 제1선거구(장성읍,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상면, 북하면)
신민당 정하택 5,559(당선)
민주당 은준표 4,777(차점)
ㅇ 제2선거구(진원면, 남면,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황룡면)
신민당 김녹영 8,555(당선)
민주당 기세길 4,674(차점)
⦁1960년 12월 19일 읍,면의원 선거가 소선고구제로 실시한바 당선자는 다음과 같다.(사실과 다를 수 있음)
ㅇ장성읍 12명(차순홍 박상규 기노열 김장섭 변진일외 7명 미상)
ㅇ진원면 11명(신상운 박용주 김서규 박준선 조석종 김창현 김홍태 김상표 이상면 김문섭 정경만)
ㅇ남면 9명(신동근 박용환 선태식 김판용 주상석 이현구 심상무 이덕만 서성화)
ㅇ동화면 9명(송병만 이만천 고재철 김태수 남창윤 전계칠 백남도 봉상구 신용희)
ㅇ삼서면 11명(임봉근 이계봉 심상묵 나관주 송광식 정봉규 이만순 나유권 신흥하 이강범 이철암)
ㅇ삼계면 12명(고남주 최병학 송윤식 이봉형 김재철 김수득 노희수 송병주 김영대 고한주 고재곤 홍정표)
ㅇ황룡면 7명(고봉주 김병석 고광준 김봉진 김원득 장홍규 양대빈)
ㅇ서삼면 5명 (반재이 반성모 김달중 이중석 김진호)
ㅇ북일면 5명 (김수봉 박봉규 변재준 공명종 정순용)
ㅇ북이면 10명(김성옥 강귀동 이전규 기노창 류중진 공태진 공재조 조기 현 강권수 신동호)
ㅇ북하면 11명(기봉일 전기주 장영수 김복수 이남원 양기환 최용석 차상 준 김재완 김홍열 이강우)
⦁1960년 12월 26일 읍,면장 선거 당선자는 다음과 같다.(점남일보 보도내용을 인용 게재함)
장성읍 : 조종화, 진원면 : 박정구, 남면 : 심의현, 동화면 : 김공수, 삼서면 : 김갑청, 삼계면 : 김영술, 황룡면 : 이희찬, 서삼면 : 김호중, 북일면 : 변금산표, 북이면 : 김병기, 북하면 : 김상협
상기의 읍면의원, 면장 당선자들은 5 ‧ 16군사혁명으로 말미암아 중도에 해산할 수밖에 없었다.
3)제3공화국
•1961년 5 ‧ 16 직후 행정이 군사독제로 전환 되면서 군사정권의 감시를 받아야 했다. 1961년까지 리장은 주민이 임기 2년으로 선출하였으나, 군사혁명 이후 임명제로 개정되었다. 모든 선거가 동향파악이라는 미명 아래 공무원이 개입하게 되니 관권 선거나 다름없었다.
⦁1961년 10월 31일 김성열金成烈 군수가 취임하여 장성군 직제를 1실(공보실), 3과(내무과, 산업과, 건설과), 2소(지도소, 보건소)로 행정을 수행하였다.
•1962년 퇴비증산에 의한 공무원 애피소드 등이 많았다.
⦁1962년 11월 7일 김재호金在鎬 군수가 취임하여 12월 17일 개헌안 국민투표를 실시하였고, 63년 2월 18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민정 불참 선언, 정국 수습 9개방안 제시로 분주한 행정을 수행하였다. 10월 15일 제5대 대통령에 박정희 당선 시키는 선거를 치루었다.
⦁1964년 6월 23일 김남섭金南燮 군수가 취임하여 8월 13일 폭풍우 피해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경주하였다.
•1965년 12월 31일 현재 장성군산하 공무원 수
총계 |
국가공무원 |
지장공무원 |
고용원 | ||||||||||||||
105 |
총 수 |
3급 |
4급 |
5급 |
총 수 |
3급 |
4급 |
5급 |
3 | ||||||||
계 |
남 |
여 |
을 |
갑 |
을 |
갑 |
을 |
계 |
남 |
여 |
을 |
갑 |
을 |
갑 |
을 | ||
60 |
59 |
1 |
2 |
12 |
22 |
3 |
21 |
45 |
43 |
2 |
1 |
12 |
10 |
5 |
14 |
읍 : 21명, 면 : 137명.
장성군 기구표
65년 12월 31현재
군 수 | |||||||||||||||||||||||||
사 무 소 | |||||||||||||||||||||||||
공 보 실 |
내 무 과 |
제 무 과 |
산 업 과 |
건 설 과 |
농촌지도소 |
보건소 | |||||||||||||||||||
행 정 계 |
감 사 계 |
예 산 계 |
병 사 계 |
사 회 계 |
세 정 계 |
회 계 계 |
지 적 계 |
관 제 계 |
농 정 계 |
양 정 계 |
농 사 계 |
전 작 계 |
잠 업 계 |
축 산 계 |
관 리 계 |
토 목 계 |
보 호 계 |
조 림 계 |
지 도 계 |
기 술 계 |
관 제 계 |
보 건 행 정 계 |
위 생 계 |
예 방 계 | |
읍 장 면 장 | |||||||||||||||||||||||||
총 무 계 |
호 병 계 |
사 회 계 |
제 무 계 |
산 업 계 |
건 설 계 |
총 무 계 |
호 병 계 |
제 무 계 |
산 업 계 |
⦁1965년 10월 1일 현재 장성군의 인구가 132,133명으로 장성군 역사상 최대였다.
읍면별 가구 및 인구현황
1965년 10월 1일현재
구분 읍면별 |
가 구 |
인 구 | ||||
계 |
농가 |
비농가 |
계 |
남 |
여 | |
1964 |
21,450 |
16,377 |
5,073 |
129,641 |
65,647 |
63,994 |
1965 |
21603 |
16,711 |
4,892 |
132,133 |
66,86 |
65,272 |
장성 |
4,309 |
2,468 |
1,841 |
26,851 |
113,594 |
13,257 |
진원 |
1,559 |
1,291 |
268 |
9,868 |
5,026 |
4,842 |
남 |
1,822 |
1,439 |
383 |
11,700 |
5,948 |
5,752 |
동화 |
1,318 |
1,128 |
190 |
8,174 |
4,190 |
3,984 |
삼서 |
2,404 |
2,079 |
325 |
14,192 |
7,061 |
7,131 |
삼계 |
2,225 |
1,990 |
235 |
13,521 |
6,859 |
6,662 |
황룡 |
2,183 |
1,618 |
565 |
13,626 |
6,982 |
6,644 |
서삼 |
946 |
813 |
133 |
5,867 |
2,956 |
2,911 |
북일 |
1,115 |
941 |
174 |
6,668 |
3,357 |
3,311 |
북이 |
1,658 |
1,273 |
385 |
9,485 |
4,741 |
4,744 |
북상 |
996 |
795 |
201 |
5,866 |
2,962 |
2,904 |
북하 |
1,068 |
876 |
192 |
6,315 |
3,185 |
3,130 |
•1967년에 제2차 경제개발5개년계획(1967~1971)은 산업구조의 현대화와 철강, 기계, 화학산업을 포함하는 수입대체산업의 신속한 건설이 강조되었다.
•1967년에 군수산하에 군행정자문위원회를 두고 읍면에는 개발자문위원회를 두었고, 내무과에 통계계를 신설 하고, 농촌지도소 관제계를 작물계와 주산지계로 나누었다.
⦁1968년 1월 5일 양재범梁在氾군수가 부임하여 군정목표와 시책을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세우고 적극 추진하였다.
<국민소득증대>
1. 잠업주산단지 ㅡ 식 상 치잠공동사육장설치
특28사업완수 ㅡ 치잠전용상전설치 잠구 센타 설치
만석 돌파 ㅡ 우량종자 보급 농민지도자 훈련
증 대 ㅡ 병충해 방제 영농자금 방출
3. 잠업과 산지 ㅡ 신규상전조성 경 제 림 조 성
개발 조성 ㅡ 식 상
4. 축산단지조성 ㅡ 한우증식 특우단지조성
5. 내수면개발 ㅡ 초어분양양식 양어장 설치
6. 농가부업과 ㅡ 고공품생산 한지가내공업센타설치
기 술 개발 ㅡ 개량잠구재조 한 지 생 산
ㅡ 죽세공예품생산 생 약 재 배
ㅡ 농가부업장려
7. 농업용수개발 ㅡ 관 정 도 수 로
ㅡ 집 수 암 거 보
ㅡ 양 수 장 저 수 지
8. 천수답의 전전환 ㅡ 전 전 환
전천후농토 9. 조림사방과 치수 ㅡ 식 재 조 림 가뭄없는장성
조 성 ㅡ 산 지 사 방 하 천 개 수
10. 한해민 구호 ㅡ 자조근로구호 양 곡 살 포
11. 관광지 개발 ㅡ 관광도로개설 공동변소설치
ㅡ 양어장시설
12.가 로 포 장 ㅡ 가 로 포 장
지역개발 13. 하수도시설 ㅡ. 하수도시설
14. 교량가설 ㅡ 교 량 가 설
15. 재사공장설치 ㅡ 재 사 기 생 사 생 산
16. 향토방위태세강화 ㅡ 예비군조직편성재정비 취약지보호대책강화
17. 공무원 복무 ㅡ 인화단결 친절봉사
향토방위와 자세의 확립 ㅡ 청렴결백 솔선수범 살기좋은장성
사회의명랑화 18. 건전사회육성 ㅡ 가족계획
ㅡ 전염병예방 부량아선도
ㅡ 결핵예방
ㅡ 구료환자치료
ㅡ 가출여성방지
<양잠으로 부흥하자>
•1968년 12월 5일 정부에서는 민족중흥의 대과업을 수행해 나가는데 절실히 요구되는 국민정신의 바른 자세와 국민도덕의 바른 방향을 밝혀 놓음으로써 민족중흥을 이루려는 국민의 교육 지표를 제시한 국민교육헌장을 제정하여 모든 행사시 낭독함은 물론 모든국민이 외우고 마음에 세기도록 하였다.
국민교육헌장
우리는 민족 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조상의 빛난 얼을 오늘에 되살려, 안으로 자주 독립의 자세를 확립하고, 밖으로 인류 공영에 이바지할 때다. 이에, 우리의 나아갈 바를 밝혀 교육의 지표로 삼는다. 성실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학문과 기술을 배우고 익히며, 타고난 저마다의 소질을 계발하고, 우리의 처지를 약진의 발판으로 삼아, 창조의 힘과 개척의 정싱을 기른다.공익과 질서를 앞세우며 능률과 실질을 숭상하고, 경애와 신의에 뿌리박은 상부상조의 전통을 이어받아, 명랑하고 따뜻한 협동 정신을 북돋운다. 우리의 창의와 협력을 바탕으로 나라가 발전하며, 나라의 융성이 나의 발전의 근본임을 깨달아, 자유와 권리에 따르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스스로 국가 건설에 참여하고 봉사하는 국민 정신을 드높인다. 반공 민주 정신에 투철한 애국 애족이 우리의 삶의 길이며, 자유 세계의 이상을 실현하는 기반이다. 길이 후손에 물려줄 영광된 통일 조국의 앞날을 내다보며, 신념과 긍지를 지닌 근면한 국민으로서, 민족의 슬기를 모아 줄기찬 노력으로 새 역사를 창조하자.
1968년 12월 5일 |
•1968년 12월 31일 현재 장성군 인구는 131,486명(장성 27,225 진원 9,567 남면 11,033 동화 8,206 삼서 14,525 삼계 13,636 황룡 13,233서삼 5,870 북일 6,442 북이 9,323 북상 5,882 북하 6,554)이었다.
•1968년에 내무과 감사계를 감사과로 분리하였다.
•1970년 1월 3일자로 산업과를 농림과와 식산과로 나누고 건설과 조림계와 보호계를 농림과로, 산업과 농시계를 농토계로 바꾸어 건설과로 하였다.
장성군 기구표
1970년 1월 3일현재
군 수 (군행정자문위원회) | |||||||||||||||||||||||||||||
사 무 소 | |||||||||||||||||||||||||||||
공 보 실 |
내 무 과 |
제 무 과 |
농 식 림 산 과 과 |
건 설 과 |
농촌지도소 |
보건소 | |||||||||||||||||||||||
행 정 계 |
감 사 계 |
예 산 계 |
병 사 계 |
사 회 계 |
세 정 계 |
회 계 계 |
지 적 계 |
관 제 계 |
농 정 계 |
농 산 계 |
특 작 계 |
조 림 계 |
보호 호 계 |
식 산 계 |
양 정 계 |
잠 정 계 |
축 정 계 |
관 리 계 |
토 목 계 |
농 토 계 |
지 도 계 |
개 발 계 |
작 물 계 |
주 산 지 계 |
보 건 행 정 계 |
위 생 계 |
예 방 계 | ||
읍 장 면 장 (읍면개발자문위원회) | |||||||||||||||||||||||||||||
총 무 계 |
호 병 계 |
사 회 계 |
제 무 계 |
산 업 계 |
건 설 계 |
총 무 계 |
호 병 계 |
제 무 계 |
산 업 계 |
⦁1970년 3월 3일 송언종宋彦鍾군수가 부임하여 군정목표와 시책을 다음과 같이 정하고 추진하였다
서로뭉처 일하고 앞서가는 새 장성
1. 군민소득증대 1. 농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2. 식 량 증 산
4. 내 수 면 개 발
2. 지 역 개 발 1. 농업용수 개발
3. 경지정리와 농로개설
4. 제사공장 설치와 수출증대
3. 향토방위와 1. 향토 방위태세의 강화
사회의 명랑화 2. 공무원 복무자세의 확립
3. 주민복지 행정 강화
군민 보건향상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 제창으로 새마을운동이 출범되어 중단없이 지속되어온 운동이다. 공무원들은 특히 내무공무원들이 앞장서 초가지붕을 개량하고, 마을 안길 확장, 농로 개설 등 획기적인 지역발전과 근대화에 큰공을 세웠다. 새마을운동의 단계화 : 요소변화기준
단계 |
특 색 |
기간 |
제1단계 |
기반조성 |
1970~1973 |
제2단계 |
사업확산 |
1974~1976 |
제3단계 |
효과심화 |
1977~1979 |
제4단계 |
체제정비 |
1980~1989 |
제5단계 |
자율확대 |
1990~현재 |
•1971년 녹색혁명 기치 아래 통일벼 품종 보급.
공직자들은 일요일도 없이 새벽에 출근하여 피뽑고, 논갈고, 보리갈고, 모심고, 퇴비증산하고, 동향보고 등 하느라 밤중에 퇴근하는 그야말로 근대화의 역군이 되었다.
•1971년 8월 31일 송인섭군수가 부임하여 군정구호를 새마을 새장성으로 정하고 군정목표를
ㅇ 총 화 안 보 체 제 구 축
ㅇ 새마을운동의 토착화
ㅇ 소 득 증 대
ㅇ 관 광 중 흥
ㅇ 주민본위봉사자세확립으로 삼고 추진하였다.
•1971년 군청 공무원수는 본청이 48명 보건소 10명이었고, 읍면은 198명(장성읍 28, 진원 14, 남 15, 동화 15, 삼서 17, 삼계 18, 황룡 19, 서삼 14, 북일 13, 북이 18, 북상 13, 북하 14)이었다.
4) 제4공화국
•1972년에는 제3차 경제개발5개년계획(1972~1976)을 수립하여 지속적인 공업화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질적 충실화에 치중하였다.
⦁1972년들어 송인섭 군수는 군정목표와 시책을 다음과 세우고 추진하였다
<뭉치자, 더일하자, 잘살아보자>
1. 안보태세의 확립 가. 안보행정 체제의 확립
나. 향토방위 및 승공사상 고취
다. 군민총화의 기풍조성
2. 주민소득 증대 가. 식량 증산
나.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추진
다. 곡수촌 조성과 야산개발
3. 생산기반 조성 가. 농로확충
나. 농업용수 개발
다. 경지정리
4. 지 역 개 발 가. 새마을 가꾸기 사업
나. 농가지붕개량의 촉진
다. 건설사업의 적극 추진
5. 건전사회 조성 가. 근면 검소의 생활화
나. 군민보건과 복지시설의 지원
다. 명랑사회 조성
<땀과 지혜를 모아 알찬장성 건설>
⦁1972년 10월 17일 제 4공화국은 유신을 단행하고 국회를 해산하는 등 독제체제를 이어 나갔다. 공무원들에게는 공무원의 신조를 조회시나 각종회의시에 낭독하도록 하였다.
공 무 원 의 신 조
1. 우리 공무원은 민족중흥에 앞장선 영광스러운
길잡이 임을 자부한다.
1. 우리 공무원은 창의와 근면, 친절과 공정으로
국민의 신임을 얻는다.
1. 우리 공무원은 청렴 결백하여 겨레의
공복으로 국가에 봉사한다.
⦁1973년 2월 7일 김연수金鍊洙군수가 부임하여 군정 목표를 <근면 ‧ 협동 ‧ 새마을건설>로 정하고 군정 시책을
1. 정 신 개 발
가. 근면기풍 조성
나. 부조리 일소
다. 체위 향상
2. 농 촌 환 경 개 선
가. 새마을 가꾸기
나. 지붕개량 농로개량
다. 도로 및 소하천 정비
3. 주 민 소 득 증 대
가. 식량 증산
나. 곡수촌 조성
다. 퇴비 증산으로 삼고 추진하였다.
장성군 공무원 수
년도 구분 |
법정 인원 |
총 수 |
국 가 공 무 원 | |||||||||||
총 수 |
별정직 |
3 급 |
4 급 |
5 급 |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갑 |
을 |
갑 |
을 |
갑 |
을 | |||
1968 |
112 |
109 |
3 |
62 |
60 |
2 |
1 |
1 |
16 |
26 |
8 |
10 | ||
1969 |
130 |
126 |
4 |
72 |
70 |
2 |
1 |
1 |
17 |
27 |
11 |
15 | ||
1970 |
153 |
137 |
16 |
70 |
68 |
2 |
1 |
1 |
15 |
27 |
9 |
15 | ||
1971 |
140 |
135 |
131 |
4 |
77 |
75 |
2 |
1 |
15 |
29 |
12 |
20 | ||
1972 |
134 |
133 |
130 |
3 |
78 |
78 |
|
2 |
1 |
1 |
15 |
27 |
13 |
19 |
본청 |
79 |
78 |
77 |
1 |
33 |
33 |
6 |
10 |
7 |
9 | ||||
보건소 |
10 |
10 |
8 |
2 |
1 |
|||||||||
지도소 |
47 |
45 |
45 |
45 |
45 |
2 |
1 |
9 |
17 |
6 |
10 |
년도 구분 |
지 방 공 무 원 | |||||||||
총 수 |
3급 |
4 급 |
5 급 |
기능직 |
고용원 | |||||
계 |
남 |
여 |
을 |
갑 |
을 |
갑 |
을 | |||
1968 |
50 |
49 |
1 |
1 |
12 |
8 |
5 |
21 |
4 |
3 |
1969 |
58 |
56 |
2 |
1 |
17 |
10 |
10 |
17 |
3 | |
1970 |
83 |
69 |
14 |
1 |
18 |
8 |
8 |
14 |
3 | |
1971 |
58 |
56 |
2 |
5 |
18 |
7 |
9 |
16 |
3 | |
1972 |
55 |
52 |
3 |
6 |
14 |
8 |
9 |
14 |
4 | |
본청 |
45 |
44 |
1 |
5 |
11 |
7 |
8 |
10 |
4 | |
보건소 |
10 |
8 |
2 |
1 |
3 |
1 |
1 |
4 |
읍 ‧ 면 공무원수
연도및읍면별 |
법정 인원 |
총 수 |
읍 면장 |
4 급 |
5 급 |
고용원 | ||||
계 |
남 |
여 |
갑 |
을 |
갑 |
을 | ||||
1968 |
50 |
49 |
1 |
12 |
12 |
49 |
29 |
54 |
12 | |
1969 |
58 |
56 |
2 |
12 |
12 |
50 |
42 |
60 |
12 | |
1970 |
83 |
69 |
14 |
12 |
12 |
49 |
24 |
88 |
12 | |
1971 |
58 |
56 |
2 |
12 |
10 |
53 |
16 |
95 |
12 | |
1972 |
198 |
194 |
190 |
4 |
12 |
10 |
46 |
17 |
97 |
12 |
장성 |
27 |
29 |
28 |
1 |
1 |
1 |
5 |
2 |
19 |
1 |
진원 |
15 |
15 |
15 |
1 |
1 |
3 |
1 |
8 |
1 | |
남 |
16 |
16 |
16 |
1 |
4 |
10 |
1 | |||
동화 |
15 |
14 |
13 |
1 |
1 |
1 |
3 |
1 |
7 |
1 |
삼서 |
18 |
17 |
17 |
1 |
1 |
3 |
4 |
7 |
1 | |
삼계 |
17 |
17 |
17 |
1 |
1 |
5 |
2 |
7 |
1 | |
황룡 |
18 |
17 |
16 |
1 |
1 |
1 |
4 |
3 |
7 |
1 |
서삼 |
14 |
14 |
13 |
1 |
1 |
1 |
4 |
1 |
5 |
1 |
북일 |
14 |
12 |
12 |
1 |
1 |
4 |
6 |
1 | ||
북이 |
15 |
14 |
14 |
1 |
1 |
3 |
2 |
6 |
1 | |
북상 |
14 |
14 |
14 |
1 |
1 |
4 |
1 |
6 |
1 | |
북하 |
15 |
15 |
15 |
1 |
1 |
4 |
8 |
1 |
⦁1973년 10월 제1차 석유파동으로 많은 기업들이 도산되었다.
⦁1974년 1월 25일 김세장金世章군수가 부임하여 군정구호를 <증산과 치산으로 약진>으로 삼고, 목표를 1. 총화 기풍 조성 2. 소득 증대 3. 복지 개발 4.치산치수로 삼고 군정을 추진하였다.
⦁1975년 9월 3일 오경석吳京錫군수가 부임하여 새마을 새장성 구호아래 군정목표를 ㅇ 군민 총화
ㅇ 성실 봉사
ㅇ 소득 증대
ㅇ 복지 확충
ㅇ 자연 보호로 잡고 강력 추진 하였다.
•1975년 10월1일 장성댐 건설로 북삼면이 폐면 되고 용곡리가 장성읍에, 수성⦁오월⦁조양리는 북이면에, 신성⦁쌍웅⦁동현⦁덕재리는 북하면에 편입되어 1읍 10면이 됨.
이때 장성군의 인구는 115,732명(장성읍 26,181, 진원면7,814, 남면 9,829, 동화면 6,567, 삼서면 12,154, 삼계면 12,158, 황룡면 11,550, 서삼면 5,117, 북일면 5,680, 북이면 9,921, 북하면 8,761)이었다.
•1977년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1977~1981)이 수출주도의 성장위주 경제 전략과 세계 산업 수출 시장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산업부문을 중점 육성하였다.
•1977년 2월 18일 백주원白柱元군수가 부임하여 군정구호를 <새마을 새장성>으로 정하고 군정목표를 다음과 같이 정하고 총력적으로 추진하였다.
군정방침 0 총화 유신 이념과 안보태세 확립 0 서정쇄신 갈력추진 0 식량증산 및 소득증대 0 영산강 유역 새마을 대권 개발사업 추진 0 의료시혜 확대와 주민복지 증진 |
•1977년 12월 31일 현재 군기구는 2실, 7과, 2사업소, 1읍, 10면에 군청 99명, 보건소 44명, 지도소 7명, 읍면 225명 이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은 김재규金載圭 중앙정보부장이 쏜 총탄에 숨지니 전두환이 이끄는 신군부가 12 ‧ 12 군사반란으로 전두환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1979년 10월 27일 강영기姜英奇 군수가 부임하여 군정 구호를 <선비의 고장 새장성 건설>로 내걸고, 군정방침을
1. 소득사업의 강력추진
2. 관광권역의 종합개발
3. 서민생활의 편익증진
< 근면. 협동. 총화 >
로 세우고 새마을 운동을 추진하는 과정에 광주민주화운동을 겪었다.
•1979년 12월 31일 현재새마을운동추진현황은 다음과 같다.
연도 읍면별 |
농로 및 마을안길 |
소 하 천 |
하수구개보수 |
농 업 용 수 | |||||||
계 |
농로 |
마을안길화장 |
계 |
소하천 |
소교량시설 |
계 |
보설치 (개소) |
소류지 (개소) |
도수로 개소 | ||
1974 |
10,964 |
10,000 |
964 |
5,331 |
4,842 |
489 |
25,606 |
64 |
|
|
64 |
1975 |
67,530 |
64,711 |
2,779 |
9,763 |
9,536 |
228 |
30,445 |
146 |
105 |
2 |
36 |
1976 |
73,722 |
71,391 |
2,331 |
6,227 |
5,955 |
272 |
18,043 |
162 |
129 |
|
31 |
1977 |
3,665 |
3,265 |
400 |
5,722 |
5,569 |
153 |
18,931 |
95 |
67 |
28 | |
1978 |
527 |
407 |
120 |
3,696 |
3,608 |
88 |
62,300 |
106 |
63 |
|
43 |
장성 |
|
1,750 |
1,730 |
20 |
61,440 |
38 |
31 |
7 |
800 | ||
진원 |
242 |
220 |
22 |
8 |
2 |
6 |
420 | ||||
남 |
150 |
150 |
1,203 |
1,203 |
860 |
1 |
1 |
60 | |||
동화 |
12 |
12 |
3 |
2 |
1 |
250 | |||||
삼서 |
13 |
13 |
1 |
1 |
250 | ||||||
삼계 |
15 |
2 |
13 |
1,600 | |||||||
황룡 |
5 |
5 |
2 |
2 |
|||||||
서삼 |
13 |
12 |
1 |
120 | |||||||
북일 |
7 |
5 |
2 |
200 | |||||||
북이 |
206 |
206 |
365 |
340 |
16 |
9 |
3 |
6 |
632 | ||
북하 |
171 |
51 |
120 |
115 |
115 |
8 |
4 |
4 |
875 |
5) 제5공화국
•1980년 5월 18일 광주민주화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고 군사 구테타를 정당화했다. 8월 16일 최규하 제 10대 대통령은 대통령직을 내놓았다. 전두환이 8월 27일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뽑혀 9월 1일 제 11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당시 장성군수는 강영기姜英奇씨였다. 79년 10월에 부임한 강군수는 80년 9월 내무부로 전출되었다
1961년까지 리장은 주민이 임기 2년으로 선출하였으나, 군사혁명 이후 임명제로 개정되었다.
•1980년 5월 18일 전라남도 기획관 안재호安在祜씨가 부임하여 군정구호를 <날로 새로운 장성>으로 삼고 군정방침을
1. 깨끗한 행정
2. 겸손한 행정
3. 근면한 행정 정하고 1년 7개월 동안 재임했다.
•1980년 12월 29일 대통령훈령 제44호로 선포된 공무원의 윤리헌장은 이전의 ‘공무원의 신조’를 확대 ‧ 발전시킨 것으로, 국가에 대한 헌신과 충성, 국민에 대한 정직과 봉사, 직무에 대한 창의와 책임, 직장에서의 경애와 신의, 생활에서의 청렴과 질서 등을 덕목으로 채택하였다.
公務員倫理憲章 우리는 영광스러운 大韓民國의 공무원이다.오늘도 民族中興의 최일선에 서서 겨레와 함께 일하며 산다. 이 생명은 오직 나라를 위하여 있고, 이 몸은 영원히 겨레 위해 봉사한다. 忠誠과 誠實은 삶의 보람이요, 公明과 正大는 우리의 길이다. 이에 우리는 국민 앞에 다 하여야 할 숭고한 사명을 民族의 良心으로 다지며, 우리가 나가야 할 바 指標를 밝힌다.
• 우리는 民族史的 正統性 앞에 온 신명을 바침으로써 統一 세 시대를 창조하는 역사의 主體가 된다. • 우리는 겨레의 엄숙한 召命앞에 솔선 헌신함으로써 조국의 번영을 이 룩하는 민족의 先鋒이 된다. • 우리는 創意的 노력으로 최대의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민주 한국을 건 설하는 국가의 역군이 된다. • 우리는 불의를 물리치고 언제나 바른 길만을 걸음으로써 정의사회를 구현하는 국민의 귀감이 된다. • 우리는 公益優先의 정신으로 국리민복을 추구함으로써 복지국가를 실 현하는 겨레의 기수가 된다.
公務員의 信條
1. 國家에는 獻身과 忠誠을 1. 國民에겐 正直과 奉仕를 1. 職務에는 創意와 責任을 1. 職場에선 敬愛와 信義를 1. 生活에는 淸廉과 秩序를 |
1980년 6월 이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는 대규모적인 공무원 숙청을 단행하였는데 4개면의 면장과 산업계장을 비롯한 사상 최대로 희생 되었는데 이 헌장 선포와 더불어 사면辭免되었다.
•1980년 12월 31일현재 장성군의 인구 및 가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1980년 12월 31일현재 장성군의 인구 및 가구 현황
(단위 면적:㎢,가구:세대,인구:명)
년도 읍면별 |
면 적 |
인 구 |
가 구 | ||||
계 |
남 |
여 |
계 |
농 가 |
비농가 | ||
1976 |
512.25 |
111,225 |
55,600 |
55,625 |
20,095 |
15,846 |
4,249 |
1977 |
512.25 |
108,634 |
54,376 |
54,376 |
19,851 |
15,527 |
4,324 |
1978 |
512.68 |
106,204 |
52,457 |
53,747 |
19,558 |
15,333 |
4,225 |
1979 |
513.40 |
103,164 |
50,901 |
57,263 |
19,038 |
14,799 |
4,239 |
1980 |
513.40 |
94,918 |
47,350 |
47,350 |
19,360 |
13,731 |
5,629 |
장성 |
69.27 |
24,150 |
12,166 |
11,984 |
4,955 |
2,168 |
2,787 |
진원 |
28.64 |
6,258 |
3,085 |
3,173 |
1,333 |
1,143 |
190 |
남 |
28.85 |
7,963 |
4,027 |
3,936 |
1,653 |
1,455 |
198 |
동화 |
28.60 |
5,092 |
2,535 |
2,557 |
1,072 |
916 |
156 |
삼서 |
46.38 |
9,270 |
4,566 |
4,705 |
1,920 |
1,635 |
285 |
삼계 |
65.39 |
9,423 |
4,630 |
4,793 |
1,864 |
1,462 |
402 |
황룡 |
43.64 |
9,950 |
5,008 |
4,942 |
2,005 |
1,317 |
688 |
서삼 |
34.10 |
4,026 |
2,024 |
2,002 |
806 |
725 |
81 |
북일 |
30.43 |
4,832 |
2,355 |
2,477 |
924 |
771 |
153 |
북이 |
55.32 |
7,933 |
3,914 |
4,019 |
1,631 |
1,335 |
296 |
북하 |
82.78 |
6,021 |
3,041 |
2,980 |
1,197 |
804 |
393 |
•1981년 2월 25일 대통령선거인단 간접선거에 의해 다시 제 12대 대통령에 당선돼 임기 7년의 제 5공화국을 출범시켰다.
•1982년에 전두환 정부는 제5차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1982~1986)을 경제안정화에 최우선을 부여하고 경제회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플레이션의 통제에 투자하여 ‘3저 현상’을 이루어 냈다.
•1983년 12월 15일 남면 삼태리 치촌이 광주시에 편입.
•1983년 4월 13일 김옥현金沃炫군수가 부임하여 군정 구호를 <활기찬 새마을 선진 새장성>으로 내걸고, 군정방침을 다음과 같이 세워 추진하였다.
군정방침 1. 봉사 행정 구현 2. 생활 행정 강화 3. 새마을 활성화 4. 소득 증대 촉진 |
⦁1985년 5월 6일 조영택趙泳澤군수가 부임하여 군정 구호를 <화합과 발전 활기찬 선진장성>으로 내걸고, 군정방침을 다음과 같이 세워 추진하였다.
군정방침 1. 위민 봉사 철저 2. 군민 소득 배가 3. 지역 개발 촉진 4. 문예 관광 진흥 |
•1987년에 제6차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1987~1991)이 수립되어 능률과 형평을 토대로 한 경제선진화와 국민복지의 증진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우선 고용한정을 위한 필요성장률을 7% 이상으로 책정하고, 공급측면에서의 성장잠재력을 8%수준으로 하며, 수요측면에서의 성장기능성을 6~8%로 책정하고 그밖에도 성장의 수출의존도 완화, 소득분배의 개선, 지역 계층 간 균형발전을 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계회의 목표달성을 위해 행정에서는 수입자유화조치를 가속시켰고 다양한 양태의 규제를 해지하고 수입품에 대한 관세장벽을허물어 버렸다.
•1985년 12월 31일 현재 장성군의 인구는 81,631명으로 1984년 말 87,998명보다 1년 사이에 무려 16,367명이 줄었다.
•1985년 12월 31일 현재 군기구는 1실(문화공보실), 9과(내무과, 새마을과, 재무과, 재무과, 사회과, 농산과, 산림과, 식산과, 건설과, 민방위과), 2사업소(보건소, 농촌지도소), 1읍(장성), 10면(진원, 남, 동화, 삼서, 삼계, 황룡, 서삼, 북일, 북이, 북하)이었다.
⦁1986년 11월 2일 문덕형文德炯 군수가 부임하여 군정 구호를 <문향의 터전위에 농공병진 새장성>이라 내걸고 군정 방침을 다음과 같이 정하고 추진하였다.
군정방침 1. 위민 봉사 2. 복지 증진 3. 균형 개발 4. 문예 진흥 |
⦁1988년 2월12일 조항규趙恒奎 군수가 부임하여 군정 구호를 <군민 화합으로 선진장성 건설>이라 내걸고 군정 방침을 다음과 같이 정하고 추진하였다.
군정방침 1. 화합풍토 조성 2. 민주행정 구현 3. 군민복지 증진 4. 향토문화 창달 |
⦁1988년 5월부터 시행된 <지방자치법>에는 이에 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지역의 편의에 따라 임명 또는 선거제로 할 수 있게 되었다.
•1988년 12월 16일 제 13대 대통령에 노태우씨가 당선되어 제 6공화국이 출범했다.
•1988년 12월 31일 현재 군기구는 2실(문화공보실 2계, 민원실), 9과(내무과 4계, 새마을과 3계, 재무과 4계, 사회과 4계, 농산과 3계, 산림과 2계, 식산과 4계, 건설과 5계, 민방위과 3계), 3사업소(보건소, 농촌지도소, 위민실), 1읍(장성), 10면(진원, 남, 동화, 삼서, 삼계, 황룡, 서삼, 북일, 북이, 북하)이었다.
⦁1989년 12월 27일 고경주高京柱 군수가 부임하여 군정 구호를 <화합과 새의지로 선진장성 건설>이라 내걸고 군정 방침을 다음과 같이 정하고 추진하였다.
군정방침 1. 민 주 행 정 2. 소 득 향 상 3. 복 지 증 진 4. 지 역 개 발 5. 문 예 진 흥 |
6) 제6공화국
•1990년 1월 16일 군규칙제609호로 건설과 보상계를 신설하였고, 군규칙제612호로 농촌지도소 사회지도과, 기술보급과를 신설하였다.
사회지도과 : 지도기획계, 교육훈련계, 기술공보계, 지원개발계, 청소년계, 생활개선계
기술보급과 : 식량작물계, 작물환경계, 원예계, 축산계, 잠특계, 농업경영계
•1990년 2월 13일 군규칙제617호로 재무과 평가계와 세무조사계를 폐지하고, 재무과에 조사평가계를 신설하고, 건설과에 토지관리계를 신설하였다.
•1990년 4월 12일 군규칙제620호로 기획실 기획계 체육업무를 새마을과 건전생활계로 기능을 이관하였다.
•1990년 7월 20일 군규칙제625호로 사회과 환경보호계의 자연보호업무를 새마을과 새마을계로 이관하고, 재무과 지적계의 토지거래업무를 건설과 토지관리계로 이관하였다.
•1990년 8월 30일 군규칙제630호로 새마을과 건전생활계를 폐지하고 체육청소년계를 신설하였다.
•1990년 9월 19일 군규칙제632호로 지적과에 지정계, 지적계를 신설하고, 도시과에 도시계, 주택계, 토지관리계, 보상계를 신설하였다.
•1990년 10월 26일 군규칙제637호로 내무과에 통신전산계를 신설하고, 사회과에 청소년계를 신설하였다.
•1990년 12월 3일 군규칙제642호로 농산과를 산업과로, 식산과를 지역경제과로 과명칭을 변경하였다.
•1990년 12월 31일현재 군기구는 2실, 11과, 2사업소, 1읍, 10면이다.
•1990년 12월 31일현재 장성군 인구는 이농현상으로 61,816명으로 급격하게 줄었다.
•1991년 1월 24일 군규칙제655호로 총무과애 총무계, 새마을계, 재무계, 사회계, 호병계를 신설하고, 개발과에 산업계, 건설계를 신설하였다.
•1991년 3월 26일 시 군 구(기초)의회 의원과 도의원 선거가 중단된지 30여 년만에 부활되어 임기 4년의 군의원을 선출하고, 6월 20일 시 도(광역)의회 의원을 선출하니 지방자치제가 부활되었으나 단체장은 제위되어 반쪽의 지방자치였다.
군의원 당선자 명단
장성읍 : 김판근, 임재호, 진원면 : 정희권, 남면 : 심동섭, 동화면 : 임택만, 삼서면 : 이성립, 삼계면 : 조영수, 황룡면 : 조복래, 서삼면 : 기관서, 북일면 : 김병호, 북이면 : 이만수, 북하면 : 김병관
⦁1991년 6월 20일 제4대 도의원 선거 당선자는 모두 신민당 후보로 다음과 같다.
제1선거구(장성읍, 진원, 남) 김국태, 제2선거구(동화, 삼서,삼계, 황룡) 김수용, 제3선거구(서삼, 북일, 북이, 북하) 공창덕.
•1991년 4월 4일 군조례제1242호로 의회사무기구로 의사계를 신설하고, 군규칙제664호로 의사계, 전문위원을 두었다.
•1991년 4월 11일 군규칙제666호로 가정복지과를 신설하고 가정복지계와 부녀복지계(사회과에서 이관)를 두었다.
•1991년 4월 14일 제1대 장성군 의회 전반기 의장 기관서, 부의장 이만수가 맡았다.
•1991년 6월 28일 군규칙제672호로 기획실에 법무계를 신설하였다.
•1991년 11월 11일 군규칙제686호와 687호로 환경보호과를 신설하고, 사회과의 환경보호계와 청소계를 흡수하여 환경관리계, 환경지도계, 폐기물관리계를 두었다.
•1992년제7차 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1992~1996)이 김영삼 정부 출범과 함께 수립 추진하였는데 이전까지의 경제개발계획과는 내용과 성격이 다르다. 자율과 경쟁에 바탕을 두어 경영혁신, 근로정신, 시민윤리 확립을 통해 21세기 경제사회의 선진화와 민족통일을 지향한다는 기본 목표아래 기업의 경잴력 강화, 사회적 형평 제고와 균형발전, 개방국제화의 추진과 통일기반 조성 등을 3대 전략으로 삼았다. 그결과 OECD에 가입하게 되었고, 국제화를 위한 금리자유화, 농산물 서비스 시장개방을 하였으며, 불행하게도 국가가 위기에 처한 IMF를 겪었다.
•1992년 1월 5일 이광수李光洙 군수가 부임하여 군정 구호를 <미래의 전남 명예로운 장성>이라 내걸고 군정 방침을 다음과 같이 세워 추진하였다.
군정방침 1. 공들여 봉사 2. 사랑으로 화합 3. 힘 모 아 개발 4. 긍 지 로 애향 5. 활력찾는 농촌 |
•1992년 3월 5일 군조례제1266호로 의회사무기구를 의회사무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간사를 사무과장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2년 5월 25일 군규칙제698호로 건설과에 방재계를 신설하였다.
•1992년 7월 21일 군규칙제704호로 도시과에 단속계를 신설하였다.
•1992년 8월 7일 군규칙제706호로 보건의료원에 간호계를 신설하였다.
•1992년 9월 9일 군규칙제708호로 농촌지도소의 2과 12계를 2과 8계(사회지조과 : 지도기획계, 교육공보계, 사회개발계, 생활개선계와 기술보급과 : 식량작물계, 경제작물계, 축산계, 농업경영계)로 변경하고, 읍면에 농민상담소를 설치하였다.
•1992년 12월 31일 현재 군기구는 2실(문화공보실 2계, 기획실 4계), 13과(내무과 4계, 새마을과 3계, 재무과 3계, 지적과 2계, 사회과 3계, 환경보호과 3계, 가정복지관 2계, 산업과 5계, 산림과 2계, 지역경재과 2계, 건설과 3계, 도시과 4계, 민방위과 3계), 2사업소(보건의료원 1과 4계 진료부, 농촌지도소 사회지도과 4계 기술보급과 4계), 1읍(장성), 10면(진원, 남, 동화, 삼서, 삼계, 황룡, 서삼, 북일, 북이, 북하)이었다.
•1993년 2월 24일 군규칙제716호로 건설과 농지계를 기반조성계로 명칭을 변경하고, 산업과의 농어촌정주생활권 개발업무를 건설과로 이관하였다.
•1993년 2월 25일 김영삼 대통령의 문민정부가 출범했다.
•1993년 3월 29일 박래관朴來寬 군수가 부임하여 군정 구호를 <밝고 풍요로운 자랑스런 새장성>이라 삼고 군정 방침을 다음과 같이 세워 추진하였다.
군정방침 1. 신뢰받는 군정 2. 자랑스런 군정 3. 살기좋은 고을 |
⦁1993년 4월 30일 군의원 심동섭(남면 선거구)이 임기중 사망함에 따라 보궐선거를 시행하여 최남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1993년 5월 4일 군규칙제726호로 내무과에 민원처리계를 신설하고, 행정계 호적및주민등록관리와 행정서사업무를 민원처리계로 이관하였다.
•1993년 7월 1일 장성군 의회 후반기 의장 조복래 부의장 김판근이 맡았다.
•1993년 8월 10일 군규칙제735호로 새마을과를 사회진흥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새마을계, 진흥계, 체육청소년계를 건전 생활계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농촌지도소직제를 장성군직제에 통합하였다. 군규칙제736호로 장성읍 새마을계를 진흥계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3년 12월 30일 군규칙제743호로 도시과 보상계를 폐지하였다.
•1994년 2월 26일 김정환金正煥 군수가 부임하여 군정 구호를 <한마음 한뜻으로 살기좋은 장성건설>이라 내걸고 군정 방침을 다음과 같이 세워 추진하였다.
군정방침 1. 화합으로 사회안정 2. 앞서가는 자치행정 3. 지혜모아 농촌부흥 4. 협동으로 지역개발 5. 긍 지 로 문예진흥 |
•1994년 5월 14일 군규칙제750호로 도시과에 수도계를 신설하였다
•1994년 7월 1일 제5대 도의원에 김수용, 정창옥이 당선되었다.
•1994년 9월 29일 군규칙제762호로 지적과의 지정계, 지적계를 토지관리계, 지적계, 지적정보계로 변경하고, 도시과 토지관리계를 폐지하였다.
•1994년 9월 29일 군규칙제764호로 건설과의 토지관리업무를 재무과로 이관하고, 군규칙제765호로 읍면에 토지관리업무를 추가하였다.
•1994년 12월 26일 군규칙제770호로 농촌지도소의 교육공보계와 사회개발계를 인력육성계로 통합하고, 농업경영계를 기술개발계로 명칭변경하고, 경영상담제를 신설하였다.
7) 문민정부
제14대 대통령에 김영삼이 당선되자 문민정부가 출범했다.
•1995년 4월 3일 군조례제1334호로 군청기구를 2실 13과(기획실, 문화공보실, 내무과, 사회진흥과, 재무과, 지적과, 사회과, 환경보호과, 가정복지과, 산업과, 산림과, 지역경제과, 건설과, 도시과, 민방위과)로 하였고, 군규칙제782호로 농촌지도소에 사회지도과와 기술보급과를 두고, 읍면에 농민상담소를 설치하였다.
•1995년 5월 17일 군규칙제786호로 재무과의 세정계, 경리계, 조사평가계를 부과계, 징수계, 경리계로 변경하였다.
⦁1995년 6월 27일 기초 및 광역의원, 단체장 선거가 전국에서 동시에 시행됨에 따라 명실상부한 지방자치시대를 열게 되었다. 당선자는
군수 : 김흥식,
도의원 : 제1선거구(장성, 서삼, 북일, 북이, 북하) 김수용
제2선거구(진원, 남, 동화, 삼서, 삼계, 황룡) 정창옥
군의원 : 장성읍 : 김판근, 진원면 : 김종권, 남면 : 최남호,
동화면 : 정진형, 삼서면 : 이성립, 삼계면 : 조영수
황룡면 : 조복래, 서삼면 : 반성진, 북일면 : 이우규
북이면 : 김기철, 북하면 : 김병관
•1995년 7월 1일 김흥식金興植씨가 임기 3년의 제32대 장성군 민선군수로 당선되어 군정 구호를 <21세기 미래의 장성건설>이라 내걸고 군정 방침을 다음과 같이 세워 출범하였다.
군정방침 1. 군정의 경 영 화 1. 군정의 서비스화 1. 농업의 일 류 화 1. 지역의 균 형 화 |
제2대 장성군 의회 전반기 의장 최남호 부의장 이우규가 맡았다.
•1995년 12월 31일현재 장성군 세대는 17,706가구이고, 인구는 57,384명(남자 28,687, 여자 28,697)이다.
•1996년 1월 23일 군조례1350호로 보건의료원을 장성군보건의료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6년 1월 30일 군조례제1352호로 군청 2실 13과의 기구를 4실 10과 1담당관제(기획실, 경영관리실, 문화공보실, 종합민원실, 내무과, 재무과, 사회복지과, 환경보호과, 산업과, 산림과, 지역경제과, 건설과, 도시개발과, 민방위재난관리과, 여성담당관)로 하여 경영관리실, 종합민원실, 여성담당관을 신설하고, 사회과, 가정복지과를 사회복지과로 통합하였으며, 사회진흥과를 폐지하였다.
군규칙제803호로 보건의료원에 보건사업과(보건행정계, 방문보건계, 예방의약계, 진료간호계)와 진료부(진료과, 진료실)를 설치하였다.
군규칙제804호로 장성읍 총무과에 4계(총무계, 세무계, 사회계, 민원계)를 설치하고, 개발과에 3계(산업계, 건설계, 수도계)를 설치하였다.
군규칙제805호로 각면에 4계(총무계, 민원계, 산업계, 개발계)를 설치하였다.
•1996년 2월 7일 부군수를 단장으로 조직진단팀을 구성하여 만들어진 1차 행정조직을 개편하였다.
제1차 행정조직 개편 현황
구분 |
본청 |
직속기관 |
정원(명) | |||
실 ‧ 과 |
과 ‧ 담당관 |
계 |
실 ‧ 과 |
계 | ||
개편전 |
2 |
13 |
50 |
3 |
14 |
668 |
개편후 |
4 |
11 |
50 |
3 |
13 |
668 |
증감 |
2 |
감2 |
감1 |
•1996년 9월 5일 장성군의회 서삼면 당선자가 당선이 무효되어 재선거를 실시한 바, 반강진 후보가 당성되었다.
•1996년 12월 24일 군규칙제824호로 종합민원실 토지관리계를 부동산관리계로 명칭변경하고, 내무과 정보통신계를 전산계 ‧ 통신계로 명칭변경.
•1997년 7월 1일 제2대 장성군 의회 후반기 의장 조복래 부의장 김병관이 맡았다.
•1998년 2월 25일 김대중 대통령의 수평적 정권교체로 인한 국민의 정부가 출범했다.
•1998년 6월 4일 기초 및 광역의원, 단체장 선거가 전국에서 동시에 시행 되었다. 당선자는
군수 : 김흥식,
도의원 : 제1선거구(장성, 서삼, 북일, 북이, 북하) 변선의(무소속)
제2선거구(진원, 남, 동화, 삼서, 삼계, 황룡) 이태신(무투표)
군의원 : 장성읍 : 장홍기, 진원면 : 김종권, 남면 : 최남호,
동화면 : 정진형, 삼서면 : 김상복, 삼계면 : 고광준
황룡면 : 이일현, 서삼면 : 반강진, 북일면 : 변 원
북이면 : 박인구, 북하면 : 서권수
•1998년 7월 1일 김흥식씨가 민선 2대군수 시대를 열면서 군정구호를 <미래로! 세계로! 장성>으로 바꿨다
제3대 장성군 의회 전반기 의장 김종권 부의장 변 원이 맡았다.
•1998년 7월 2일 민선1기 3년을 거쳐오면서 얻어진 행정결과를 바탕으로 저효율, 고비용으로 운영되는 지방행정조직을 고효율 저비용체제로 개편하기 위하여 대학교수와 민간인 그리고 공무원으로 조직개편위원회를발족하여 2차 행정조직을 개편하였다.
제2차 행정조직 개편 현황
구분 |
본청 실과 |
보건 의료원 |
농촌 지도소 |
환경 사업소 |
읍 |
삼계면 |
9개면 |
정원(명) |
개편 전 |
4실‧11과‧51계 |
1부1과4계 |
2과 8계 |
1사업소 |
부읍장 2과7계 |
부면장 4계 |
부면장 4계 |
674 |
개편 후 |
3실‧9과 52담당 |
1과4담당 |
2과 7담당 |
1사업소 2담당 |
7담당 |
5담당 |
4담당 |
588 |
개편 내용 |
4실과감축1담당증 |
1부 폐지 |
1계 통합 |
2담당 신설 |
부읍장 2과폐지 |
부면장폐지1담당신설 |
부면장 폐지 |
감86 |
•1998년 9월 21일 군조례제1494호로 군청 4실 10과 1담당관을 2실 9과(경영기획실, 민원봉사실, 내무과, 재무과, 문화관광과, 사회복지과, 환경보호과, 농림과, 상공운수과, 건설과, 지역개발과)로 하고, 계를 담당으로 명칭 변경함.
•1998년 9월 21일 군조례제1498호로 위생환경사업소를 환경사업소로 명칭을 변경하고, 군규칙제871호로 기획실과 경영관리실을 경영기획실로 통폐합하고, 산업과와 산림과를 농림과로 통폐합, 50계를 52담당으로 함. 문화공보실 홍보업무를 경영기획실로 이관하고, 민방위재난관리과를 폐지하고 민방위 ‧ 병무업무를 내무과로 이관하였으며, 종합민원실을 민원봉시실로, 문화공보실을 문화관광과로, 지역경제과를 상공운수과로, 도시개발과를 지역개발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여성담당관을 폐지하였다. 군규칙제873호로 의회사무과 의사계를 의사담당으로 명칭을 변경함. 군규칙제874호로 보건의료원에 보건사업과(보건행정담당, 예방의약담당, 진료간호담당, 가정간호담당)와 진료과(내과, 외과, 산부인과, 신경과, 치과, 소아과)를 설치하였다. 군규칙제875호로 농촌지도소에 농촌지원과와 기술보급과를 설치하고, 읍면 농민상담소를 유지 시켰다. 군규칙제876호로 환경사업소에 하수처리담당과 분뇨처리담당을 설치함. 군규칙제877호로 장성읍 7개(총무, 세무, 사회복지, 민원, 산업, 토목, 건축)담당제 실설하고, 삼계면에 5개(총무, 개발, 건축, 산업, 민원)담당제 신설하고, 그 외면은 4개(총무, 개발, 산업, 민원)담당제로 하였다.
•1998년 9월 24일 군조례제1501호로 3개(장성, 삼계, 서삼)보건지소를 폐지하였다.
8) 국민의 정부
제15대 대선에서 김대중을 당선시켜 헌정사상 처음으로 여 ‧ 야간 수평적 정
권교체를 이루었다.
•1999년 8월 13일 군조례제1543호로 내무과를 총무과로, 민원봉사실을 민원봉사과로 명칭 변경하고, 군규칙제904호로 자치행정담당을 행정담당, 창구처리담당을 민원행정담당, 관광진흥담당을 관광체육담당, 사회보장담당을 사회복지담당, 여성지원담당을 여성정책담당, 재난방재담당을 방재담당, 도시담당을 도시계획담당, 가정간호담당을 방문보건담당, 하수처리담당을 시설운영담당, 분뇨처리담당을 기술담당으로 변경하고, 재무과 세외수입담당, 문화관광과 체육청소년담당, 건설과 하천관리담당을 폐지하고, 체육청소년담당의 체육업무를 관광체육담당, 청소년업무를 가정복지담당, 하천관리담당을 방제담당으로 이관하였다.
•2000년 7월 1일 제3대 장성군 의회 후반기 의장 최남호 부의장 김상복이 맡았다.
•2000년 10월 20일 군규칙제938호로 민원봉사과 지적전산 담당을 폐지하고, 복합민원 담당을 신설하였다.
•2000년 12월 31일현재 장성군 인구는 56,647(남자 28,540, 여자 28,107)명이다.
•2001년 12월 제3차 행정조직 개편한 결과 1실 10과 2직속기관 2사업소 1읍 10개면으로 하였다.
개편 후 장성군 공무원 현황
실과소 읍면별 |
합계 |
지 방 공 무 원 | ||||||||||||
정무직 |
별정직 |
일 반 직 |
기능직 |
고용직 | ||||||||||
계 |
4급 |
5급 |
6급 |
7급 |
8급 |
9급 |
지도관 |
지도사 | ||||||
계 |
568 |
1 |
22 |
443 |
3 |
24 |
104 |
117 |
97 |
64 |
3 |
33 |
97 |
5 |
본 청 |
205 |
1 |
3 |
163 |
2 |
10 |
50 |
54 |
34 |
13 |
38 |
|||
의회사무과 |
10 |
5 |
2 |
1 |
2 |
5 |
||||||||
직속기관 |
124 |
12 |
99 |
1 |
1 |
5 |
11 |
30 |
17 |
3 |
33 |
13 |
||
사업소 |
16 |
11 |
2 |
4 |
4 |
1 |
5 |
|||||||
읍 면 |
213 |
7 |
165 |
11 |
46 |
46 |
29 |
33 |
36 |
5 |
•2001년 12월 10일 군규칙제 959호로 문화센터 관리사업소를 신설하고 운영담당과 시설담당을 싱설하였다.
•2002년 7월 1일 김흥식金興植씨가 민선 3기 제34대 장성군 민선군수로 당선되었다. 제7대 도의원에 김한종, 이병직이 당선되고, 제4대 장성군 의회 의원은 최남호, 김병관, 반성진, 고광준, 윤시석, 박광진, 박덕수, 김동영, 김재남, 변안섭, 김재완이 당선되었다.
제4대 전반기 장성군 의회 의장 김병관 부의장 윤시석이 맡았다.
•2002년 8월 1일 군규칙제968호로 민방위 병무담당을 민방위담당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02년 11월 22일 창업지원담당을 투자유치담당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03년 2월 6일 군규칙제979호로 주민자치 추진기획단을 신설하고 주민자치담당을 두었다.
9) 참여 정부
•2004년 7월 1일 제4대 장성군 의회 후반기 의장 김재남 부의장 반성진이 맡았다.
•2004년 7월 30일 군규칙제998호로 경영기획실에 혁신분권담당을 신설하였다.
•2005년 1월 15일 군조례제1725호로 산림과를 신설하면서 도시녹지담당을 신설하였고, 문화관광과 관광개발담당을 신설하였다. 주민자치기획단을 총무과로 이관하고, 농림과 육림, 산림보호업무를 산림과로 이관함. 또한 농림과를 친환경농정과로, 상공운수과를 지역경제과로, 지역개발과를 도시과로, 수출지원담당을 기업지원담당으로,도시과 단속담당을 도시개발담당으로, 농업기술센터 작물환경담당을 친환경기술담당으로명칭을 변경함.
또한 면의 담당을 총무, 민원, 사회환경, 산업 담당으로 조정하였다.
•2005년 6월 18일 군조례제1740호로 재난안전관리과를 신설하고 복구설계담당을 두었다. 환경사업소에 삼계하수처리팀을 신설하고, 총무과 민방위업무를 재난안전관리과로, 건설과 방재업무를 재난안전관리과 재난관리담당으로, 환경보호과 하수도업무를 환경사업소로 각각 이관하였다.
•2006년 7월 1일 유두석兪斗錫씨가 민선 4기 제35대 장성군 민선4대군수로 당선되어 군정 구호를 <친환경 신도시! 주식회사 장성재창조>로 걸고 군정방침을 다음과 같이 삼고 출범 추진 하였다.
군정방침 1. 군민화합 참여행정 1. 혁신농정 부자농촌 1. 문화창달 관광진흥 1. 지역개발 경제번영 1. 나눔후생 생활복지 |
제8대 도의원에 윤시석, 정창옥이 당선되고, 제5대 장성군 의회 의원은 김상복, 이일현, 박광진, 김병권, 강성주, 임동섭, 박상곤이 당선되고 강화자는 정당 비례대표로 의원이 되었다.
제5대 장성군 의회 전반기 의장 김상복 부의장 이일현이 맡았다.
•2006년 9월 28일 군규칙제1026호로 친환경농정과에 농산물유통팀을 신설하고 기공담당과 유통담당을 두었다.
•2006년 12월 31일 현재 장성군 기구는 다음과 같다.
2006년 12월 31일 현재 장성군 기구
기 구 |
실 과 |
의 회 |
직속기관 |
사 업 소 |
읍 면 | |
1실 12과 1팀 55담당 |
1과 1담당 |
2과 11담당 |
2사업소 6담당 |
1읍 10면 46담당 | ||
정 원 |
계 |
본 청 |
의 회 |
직속기관 |
사업소 |
읍면 |
589 |
250 |
10 |
115 |
34 |
180 |
•2007년 11월 30일 군조례제1807호로 주민생활지원과에 서비스연계담당과 통합조사담당을 신설하고, 사회복지과를 주민생활지원과로, 사회복지담당을 주민생활지원담당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경영기획실 국제협력담당, 민원봉사과 기동처리담당, 재무과 복식부기담당을 폐지하고 그 업무를 홍보담당, 민원행정담당, 경리담당에 이관하였다.
•2007년 12월 20일 이 청李 淸씨가 민선 4기 제36대 장성군 민선군수로 당선되어 군정 구호와 군정 방침을 중단 없는 군정 발전을 위하여 유두석 군수의 구호와 방침을 그대로 추진하였다.
9) 열린 정부(이명박 정부)
•2008년 7월 1일 제5대 잔성군 의회 후반기 의장김상복 부의장 박광진이 맡았다.
•2008년 9월 29일 군조례제1834호로경영기획실을 기획감사실로, 복합민원담당을 개발민원담당으로, 문화육성담당을 문화예술담당으로, 문화개발담당을 관광진흥담당으로, 관광체육담당을 체육지원담당으로, 환경관리담당을 환경정책담당으로, 축산담당을 축산팀장으로, 산림과를 산림자원과로, 도시녹지담당을 녹지담당으로, 상공진흥담당을 경제정책담당으로, 운수지원담당을 교통행정담당으로, 건설과를 건설방제과로, 기반조성담당을 지역개발담당으로, 재난관리담당을 방제담당으로, 도시과를 경관도시과로, 도시계획담당을 경관도시담당으로, 농촌개발담당을 도시개발담당으로, 보건의료원 진료간호담당을 진료담당으로, 문화센터관리사업소를 문화시설관리사업소로, 사서담당을 지식정보담당으로, 환경관리사업소 시설운영담당을 관리담당으로, 기술담당을 오염저감담당으로 각각 명칭을 변경하였고, 기회감사실 혁신분권담당을 폐지하고, 민방위담당업무를 총무과로 이관하고, 도시과 건축담당을 민원봉사과로 이관하고, 민원봉사과 새주소담당을 신설하였으며, 재무과 과표담당을 폐지하고, 환경보호과 생태관리담당을 신설하였으며, 지연경제과 기업지원담당을 폐지하고, 재난안전관리과를 폐지하면서 방제담당업무를 건설방제과로, 환경보호과 상수도담당을 경관도시과로, 각각 이관하고, 미래전략사업단을 신설하고,개발촉진팀과 전략기획팀을 두었다. 문화시설관리사업소 테마파크관리담당을 신설하였고, 환경관리사업소 삼계하수처리팀을 폐지하였다.
•2009년 6월 23일 군조례제1852호로 삼계면보건지소를 신설하고, 삼계덕산보건진료소를 삼계생촌보건진료소로 변경하였다.
•2009년 12월 31일 현재 세대 및 인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09. 12. 31 현재 세대 및 인구
연도 읍면 |
세 대 |
인 구 |
외 국 인 |
65세이상고령자 | ||||
계 |
남 |
여 |
계 |
남 |
여 | |||
2003 |
19,869 |
51,877 |
26,150 |
25,727 |
384 |
251 |
133 |
9,499 |
2004 |
20,050 |
50,755 |
25,722 |
25,033 |
555 |
402 |
153 |
9,752 |
2005 |
20,228 |
49,710 |
25,271 |
24,439 |
545 |
393 |
152 |
10,018 |
2006 |
20,119 |
48,507 |
24,687 |
23,820 |
637 |
422 |
215 |
10,307 |
2007 |
20,257 |
48,072 |
24,534 |
23,538 |
662 |
423 |
239 |
10,778 |
2008 |
20,289 |
47,399 |
24,251 |
23,148 |
797 |
491 |
306 |
10,913 |
2009 |
20,491 |
47,047 |
24,100 |
22,947 |
833 |
523 |
310 |
11,124 |
장성 |
5,476 |
13,048 |
6,534 |
6,514 |
2,548 | |||
진원 |
1,401 |
3,195 |
1,626 |
1,569 |
864 | |||
남 |
1,742 |
3,814 |
1,957 |
1,857 |
1,031 | |||
동화 |
975 |
2,301 |
1,235 |
1,066 |
662 | |||
삼서 |
1,478 |
3,107 |
1,593 |
1,514 |
1,040 | |||
섬계 |
2,857 |
7,307 |
3,828 |
3,479 |
1,000 | |||
황룡 |
2,103 |
4,979 |
2,603 |
2,376 |
1,000 | |||
서삼 |
747 |
1,725 |
892 |
833 |
465 | |||
북일 |
762 |
1,645 |
809 |
836 |
554 | |||
북이 |
1,562 |
3,345 |
1,723 |
1,622 |
1,084 | |||
북하 |
1,388 |
2,581 |
1,300 |
1,281 |
786 |
•2010년 7월 1일 김양수金兩洙씨가 민선 5기 제37대 장성군 민선군수로 당선되었다. 제9대 도의원에 윤시석, 김한종이 당선되고, 제6대 장성군 의회 의원은 김상복, 박광진, 김재완, 임동섭, 김행운, 차상현, 이태신이 당선되었고 조의순은 정당 비례대표로 의원이 되었다.
제6대 장성군 의회 전반기 의장 김상복 부의장 김행운이 맡았다.
•2010년 7월 1일 군조례제1907호로 기획감사실, 주민생활지원과, 총무과, 민원봉사과, 재무과, 문화관광과의 직제순을 기획감사실, 문화관광과, 총무과, 주민생활지원과, 민원봉사과, 재무과 순으로 변경함. 기획감사실에 대외협력담당을 신설하고, 정책기획담당과 예산담당을 기획예산담당으로, 감사담당과 법무통계담당을 감사법무담당으로 각 통폐합하고, 미래전략사업단문화콘텐츠팀을 문화관광과로, 문화시설관리사업소 테마파크담당 업무를 문화관광과로 각 이관하고, 총무과 인사담당을 신설하였으며, 행정담당과 서무담당을 행정담당으로, 교육담당과 민방위담당을 교육민방위담당에 통폐합하고, 주민생활지원과 다문화가정담당을 신설하였으며, 위생담당 업무를 환경보호과로 이관하고, 서비스연계담당과 통합조사담당을 서민복지담당으로, 민원봉사과 지적담당과 새주소담당을 지적담당으로, 토목담당과 지역개발담당을 토목담당으로 통폐합하였다. 환경보호과 생태담당을 폐지하고, 주민생활지원과 위생담당을 환경보호과로 이관하고, 친환경농정과 내수면어업담당을 신설하였으며, 농산물유통팀과 PTA대응팀을폐지하고, 산림자원과 잔디사업담당을 신설하고, 축산팀을 축산담당으로, 가공담당을 식품사업담당으로, 투자유치담당을 기업유치담당으로, 전략기획팀을 전략기획담당으로, 종합기술지원팀을 종합기술지원담당으로, 오염저감담당을 환경시설담당으로 각 명칭을 변경하고, 지역경제과 상가활성화담당을, 산단조성담당을, 행복마을담당, 나노바이오담당, 연구개발특구담당을 각 신설하고,
•2011년 5월 13일 군조례제1944호로 농업기술센터에 농업인 상담소(중부, 남부, 서부, 북부)를 신설하였다.
•2011년 10월 26일 재 보궐선거에서 도의원에 이준호(김한종 도의원) 군의원에 김회식(박광진 의원)이 당선되었다.
•2011년 12월 15일 군조례제1962호로 산림자원과를 산림축산과로, 보건의료원을 보건소로, 교육민방위담당을 민방위안전담당으로, 육림담당을 편백육림으로, 건강증진담당을 건강생활담당으로, 진료담당을 진료재활담당으로 각 명칭을 변경하고, 문화콘텐츠담당을 폐지하였으며, 축산,내수면어업담당을 산림축산과로, 건설방제과 산단조성담당을 지역경제과로, 행복마을담당을 미래전략사업단에 각 이관하였다.
•2011년 12월 31일 현재 공무원 수는 본청이 246명, 사업소가 31명, 직속기관 106명, 읍면 172명으로 총 555명이다.
•2012년 4월 18일 군규칙제1129호로 주민생활지원과에 희망복지지원담당을 신설하고, 시민복지담당을 통합조사관리담당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다문화가정담당과 여성아동담당을 여성가족담당으로 통폐합하였다.
•2012년 7월 1일 제6대 장성군 의회 후반기 의장 김행운 부의장 차상현이 맡았다.
10) 박근혜 정부
장성군 현감縣監 부사府使 군수郡守명단
(1600년 진원 오산 양현 합병후부터)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1 박종현 1600년 1월 3일 부임 朴宗賢 1601년 10월 10일 체귀 2 권경호 1601년 11월 3일 부임 權景虎 1604년 1월 20일 파귀 3 홍 희 1604년 3월 3일 부임 洪 熹 1605년 1월 22일 체귀 4 이 소 1605년 2월 13일 부임 李 瀟 체귀 미상 5 김여추 부임 미상 金汝秋 체귀 미상 6 기 협 1609년 12월 일 미상 奇 協 1610년 월 일 체귀 7 이 담 1611년 춘원 일 부임 李 談 1614년 추월 일 체귀 8 남두첨 1614년 월 일 부임 南斗瞻 1616년 12월 일 체귀 9 양 경우 1617년 4월 6일 부임 梁慶遇 1620년 1월 5일 체귀 10 정운서 1620년 4월 일 부임 鄭雲瑞 1623년 3월 반정후 체귀 11 이 천 1623년 5월 17일 부임 李 蕆 1624년 1월 14일 체귀 12 홍진문 1624년 3월 6일 부임 洪振文 1629년 2월 6일 파귀 13 이유준 1629년 3월 1일 부임 李庾俊 1630년 2월 11일 게파 14 원이길 1630년 4월 18일 부임 元履吉 1630년 7월 15일 체귀 15 장 환 1630년 8월 24일 부임 張 喚 1635년 7월 2일 파귀 16 유시영 1635년 9월 24일 부임 柳時英 1638년 5월 20일 나거 17 이여항 1638년 6월 24일 부임 李汝恒 1640년 11월 17일 파귀 18 한진명 1640년 12월 17일 부임 韓振溟 1643년 12월 13일 기귀 19 정 진 1644년 2월 6일 부임 鄭 鉁 1648년 12월 19일 파귀 20 이문웅 1649년 1월 18일 부임 李文雄 1652년 10월 14일 파귀 |
21 이유형 1652년 12월 6일 부임 李惟馨 1653년 8월 6일 게파 22 정 사 1653년 9월 16일 부임 鄭 伺 1655년 2월 21일 게파 23 심서견 1655년 3월 16일 부임 沈瑞肩 1655년 7월 22일 체귀 부사府使(1655년 7월 부府로 승격됨) 24 김익훈 1655년 8월 15일 부임 金益勳 1657년 3월 28일 기귀 25 이송령 1657년 6월 5일 부임 李松齡 1658년 6월 11일 파귀 26 이상진 1658년 7월 28일 부임 李尙眞 1658년 11월 28일 이임 27 이원정 1658년 12월 25일 부임 李元楨 1659년 12월 8일 이임 28 박증휘 1660년 2월 3일 부임 朴增輝 1660년 8월 15일 계파 29 최 일 1660년 9월 20일 부임 崔 逸 1661년 6월 6일 나파 30 이하악 1661년 7월 26일 부임 李河岳 1663년 8월 26일 체귀 31 이 증 1663년 11월 2일 부임 李 撜 1664년 10월 6일 기귀 32 이 정 1664년 12월 17일 부임 李 晶 1667년 5월 20일 파귀 33 소두산 1667년 7월 27일 부임 蘇斗山 1669년 6월 25일 이배 34 김세정 1669년 9월 6일 부임 金世鼎 1671년 11월 18일 파귀 35 송시도 1671년 12월 15일 부임 宋時燾 1674년 10월 1일 기귀 36 홍석구 1674년 12월 1일 부임 洪錫龜 1677년 3월 3일 계파 37 채시구 1677년 4월 8일 부임 蔡時龜 1679년 12월 21일 발정 38 송 창 1680년 1월 29일 부임 宋 昌 1680년 9월 30일 파귀 39 정재후 1680년 11월 20일 부임 鄭載厚 1682년 8월 8일 계귀 |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40 박진규 1682년 8월 23일 부임 朴鎭圭 1685년 7월 2일 계파 41 심 추 1685년 8월 19일 부임 沈 樞 1688년 1월 12일 파귀 42 이징구 1688년 4월 5일 부임 李徵龜 1688년 10월 30일 파귀 43 정제태 1688년 12월 27일 부임 鄭齊泰 1692년 5월 15일 계파 44 여필용 1692년 7월 4일 부임 呂必容 1692년 11월 17일 계파 45 이동근 1693년 1월 9일 부임 李東根 1694년 1월 4일 사귀 46 성대경 1694년 2월 20일 부임 成大經 1694년 5월 10일 계파 47 박시경 1694년 6월 15일 부임 朴時璟 1696년 10월 13일 이배 48 김여남 1696년 11월 27일 부임 金汝南 1698년 5월 7일 봉파 49 홍만기 1698년 7월 6일 부임 洪萬紀 1701년 2월 일 체차 50 신서화 1701년 4월 25일 부임 申瑞華 1701년 12월 12일 발정 51 이만동 1702년 1월 27일 부임 李萬東 1703년 9월 4일 사체 52 서경조 1703년 11월 6일 부임 徐敬祖 1704년 12월 2일 폄체 53 임세량 1705년 2월 16일 부임 林世良 1708년 3월 9일 졸관 54 윤 홍 1708년 5월 11일 부임 尹 泓 1710년 6월 12일 폄귀 55 이시징 1712년 8월 16일 부임 李蓍徵 1712년 6월 2일 폄귀 56 이신룡 1712년 9월 6일 부임 李臣龍 1715년 4월 10일 사체 57 정면선 1715년 6월 9일 부임 鄭면先 1716년 7월 30일 사체 58 신성하 1716년 9월 22일 부임 申聖夏 1717년 4월 12일 계체 59 홍처주 1717년 8월 29일 부임 洪處宙 1719년 6월 10일 폄귀 |
60 최종주 1719년 9월 15일 부임 崔宗周 1722년 8월 19일 사체 61 이의저 1722년 10월 9일 부임 李宜著 1723년 6월 3일 이배 62 신의집 1723년 6월 3일 부임 申義集 1725년 3월 15일 사체 63 박수의 1725년 5월 6일 부임 朴守義 1726년 6월 9일 폄귀 64 이의록 1726년 8월 28일 부임 李宜祿 1727년 6월 7일 이배 65 윤동로 1727년 9월 18일 부임 尹東魯 1728년 9월 28일 사체 66 윤동설 1728년 10월 25일 부임 尹東卨 1733년 8월 19일 파체 67 조명종 1733년 9월 29일 부임 曺命宗 1735년 9월 16일 사체 68 이기항 1735년 11월 15일 부임 李箕恒 1737년 7월 7일 폄귀 69 김도흡 1737년 10월 1일 부임 金道洽 1739년 6월 5일 사체 70 이시정 1739년 7월 21일 부임 李 時鼎 1739년 12월 18일 발정 71 송문상 1740년 1월 21일 부임 宋文相 1740년 6월 24일 폄귀 72 이현윤 1740년 8월 9일 부임 李顯允 1743년 4월 6일 계파 73 이언소 1743년 5월 20일 부임 李彦熽 1744년 11월 23일 사체 74 어유황 1745년 1월 22일 부임 魚有璜 1746년 8월 2일 계체 75 이 우 1746년 9월 6일 부임 李 堣 1751년 7월 26일 파체 76 정지익 1751년 9월 26일 부임 鄭志翼 1754년 2월 25일 이배 77 김상우 1754년 4월 3일 부임 金常遇 1755년 7월 11일 계파 78 김상양 1755년 9월 17일 부임 金相良 1757년 6월 6일 사체 |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79 김시교 1757년 7월 16일 부임 金時敎 1759년 5월 28일 이배 80 김이원 1759년 6월 18일 부임 金履遠 1760년 7월 2일 발정 81 최보흥 1760년 7월 3일 부임 崔普興 1760년 11월 26일 졸관 82 최홍보 1760년 12월 29일 부임 崔弘輔 1763년 1월 22일 계파 83 홍응진 1763년 2월 6일 부임 洪應辰 1763년 12월 2일 나거 84 정경순 1763년 12월 18일 부임 鄭景淳 1763년 4월 13일 이배 85 홍익대 1765년 11월 10일 부임 洪益大 1767년 8월 4일 폄체 86 홍익필 1767년 8월 29일 부임 洪益弼 1768년 11월 3일 이배 87 서무수 1768년 12월 6일 부임 徐懋修 1772년 6월 26일 사체 88 송익언 1772년 7월 22일 부임 宋翼彦 1774년 6월 2일 사체 89 신광면 1774년 7월 28일 부임 申光勉 1775년 5월 1일 사체 90 김항주 1775년 6월 18일 부임 金恒柱 1776년 6월 15일 폄귀 91 홍술조 1776년 7월 19일 부임 洪述祖 1780년 5월 29일 이배 92 심 준 1780년 6월 28일 부임 沈 俊 1781년 6월 1일 폄체 93 정국인 1781년 7월 13일 부임 鄭國仁 1786년 5월 10일 파귀 94 유증양 1786년 7월 26일 부임 柳曾養 1787년 6월 4일 졸관 95 임준호 1787년 7월 1일 부임 林浚浩 1790년 2월 21일 폄귀 96 한문홍 1790년 3월 17일 부임 韓文洪 1790년 12월 5일 폄귀 97 박좌원 1791년 1월 13일 부임 朴左源 1793년 6월 일 이배 98 김이호 1793년 7월 15일 부임 金履鎬 1794년 2월 10일 사체 |
99 이학영 1794년 4월 17일 부임 李學永 1795년 윤 2월 6일 졸관 100 홍경후 1795년 윤2월 26일 부임 洪景厚 1796년 9월 19일 나파 101 이영교 1796년 9월 19일 부임 李英敎 1801년 3월 29일 이배 102 이면휘 1801년 4월 10일 부임 李勉輝 1802년 6월 17일 이배 103 김기풍 1802년 7월 16일 부임 金基豊 1804년 12월 21일 이배 104 김 유 1805년 1월 15일 부임 金 鍒 1805년 윤6월 27일 이귀 105 이낙수 1805년 7월 2일 부임 李洛秀 1806년 11월 1일 이배 106 서유승 1806년 11월 5일 부임 徐有升 1810년 6월 10일 이배 107 엄사면 1810년 6월 29일 부임 嚴思勉 1812년 10월 24일 이배 108 송운재 1812년 11월 9일 부임 宋雲載 1815년 6월 1일 이배 109 김명연 1815년 6월 1일 부임 金命淵 1816년 2월 14일 이배 110 홍집규 1816년 2월 26일 부임 洪集圭 1817년 8월 1일 이배 111 윤치혁 1817년 8월 10일 부임 尹致赫 1817년 12월 20일 승배 112 권 익 1817년 12월 20일 부임 權 益 1822년 6월 4일 봉파 113 홍희경 1822년 6월 10일 부임 洪羲敬 1824년 윤7월 14일 사체 114 홍철영 1824년 윤 7월 14일 부임 洪澈榮 1825년 6월 2일 계파 115 김이정 1825년 7월 7일 부임 金履禎 1829년 12월 2일 계파 116 김조연 1829년 12월 20일 부임 金祖淵 1832년 5월 10일 이배 117 서유민 1832년 5월 20일 부임 徐有民 1834년 6월 2일 이배 |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118 심의복 1834년 6월 26일 부임 沈宜復 1835년 10월 17일 사체 119 조종순 1835년 12월 4일 부임 趙鍾淳 1836년 12월 15일 폄귀 120 홍장섭 1836년 12월 25일 부임 洪章燮 1839년 4월 21일 사체 121 이규수 1839년 5월 29일 부임 李奎秀 1839년 9월 12일 졸관 122 송종수 1839년 10월 6일 부임 宋宗洙 1840년 8월 25일 사체 123 김진교 1840년 9월 12일 부임 金晉敎 1842년 8월 1일 이배 124 정선교 1842년 9월 29일 부임 鄭善敎 1844년 2월 3일 폄귀 125 이장우 1844년 4월 3일 부임 李章愚 1847년 6월 5일 이배 126 이병례 1847년 7월 24일 부임 李秉禮 1849년 9월 2일 파귀 127 김석연 1849년 10월 18일 부임 金昔淵 1851년 6월 1일 폄귀 128 정우용 1851년 7월 18일 부임 鄭愚容 1854년 7월 2일 체귀 129 이원필 1854년 8월 15일 부임 李源弼 1856년 2월 3일 파귀 130 한필교 1856년 3월 25일 부임 韓弼敎 1858년 8월 1일 사체 131 장 조 1858년 9월 7일 부임 張 照 1859년 12월 17일 폄귀 132 김재홍 1860년 1월 29일 부임 金在弘 1862년 4월 27일 사체 133 조응화 1862년 5월 29일 부임 趙應和 1864년 6월 12일 폄귀 134 정대식 1864년 7월 30일 부임 丁大植 1865년 12월 16일 이배 135 민세호 1866년 1월 28일 부임 閔世鎬 1868년 5월 12일 봉파 136 성정호 1868년 6월 26일 부임 成鼎鎬 1870년 6월 8일 이배 137 심동근 1870년 7월 22일 부임 沈東瑾 1871년 4월 24일 이배 |
138 홍병위 1871년 5월 13일 부임 洪秉瑋 1872년 12월 15일 폄귀 139 정선시 1873년 2월 28일 부임 鄭善始 1875년 11월 24일 이배 140 정운소 1875년 12월 27일 부임 鄭雲韶 1876년 7월 16일 이배 141 서중보 1876년 8월 8일 부임 徐中輔 1881년 5월 2일 파귀 142 김윤현 1881년 윤7월 15일 부임 金胤鉉 1883년 1월 29일 이배 143 이 희 1883년 1월 30일 부임 李 僖 1886년 2월 10일 이배 144 김오현 1886년 4월 15일 부임 金五鉉 1886년 10월 10일 이배 145 김승집 1886년 11월 21일 부임 金升集 1888년 7월 10일 이배 146 윤태원 1888년 7월 10일 부임 尹泰元 1890년 6월 15일 승배 147 김헌수 1890년 7월 27일 부임 金瀗秀 1892년 4월 24일 이배 148 김오현 1892년 4월 24일 부임 金五鉉 1894년 3월 23일 이배 149 민상호 1894년 3월 19일 부임 閔尙鎬 1894년 9월 일 체귀 150 이병훈 1894년 12월 12일 부임 李秉勳 1896년 2월 12일 승배 151 신승균 1896년 2월 27일 부임 申昇均 1897년 4월 25일 이배 152 김성규 1897년 5월 20일 부임 金星圭 1899년 12월 26일 면귀 153 이석규 1900년 1월 29일 부임 李錫珪 1901년 1월 15일 이배 154 유기준 1901년 1월 15일 부임 兪起濬 1902년 5월 10일 이배 155 민영복 1902년 5월 29일 부임 閔泳復 1905년 11월 3일 체귀 156 신헌균 1906년 1월 14일 부임 申憲均 1907년 9월 23일 사체 |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157 김윤창 1908년 2월 8일 부임 金潤昌 1909년 월 일 면관 158 김연하 1910년 8월 25일 부임 金演夏 1920년 8월 7일 이배 159 민상현 1920년 8월 7일 부임 閔象鉉 1923년 3월 7일 사체 |
160 남정학 1923년 3월 30일 부임 南廷學 1925년 11월 일 이배 161 김병숙 1925년 11월 일 부임 金秉璹 이하 1949년까지 기록이 없음 |
역대군수 독립 이후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대수 성 명 부 임 이 임 |
1 하헌종 1949년 11월 3일 부임 河憲鍾 1950년 9월 28일 사망 2 김기창 1950년 12월 25일 부임 金基彰 1952년 2월 20일 퇴임 3 박두옥 1952년 2월 21일 부임 朴斗玉 1953년 12월 27일 이임 4 유수현 1953년 12월 28일 부임 劉守鉉 1955년 8월 3일 이임 5 한창석 1955년 8월 4일 부임 韓昌錫 1957년 4월 1일 이임 6 박종환 1957년 4월 2일 부임 朴種煥 1958년 11월 3일 퇴임 7 박기옥 1958년 11월 7일 부임 朴基玉 1960년 2월 7일 이임 8 이해영 1960년 2월 8일 부임 李海榮 1960년 5월 22일 이임 9 이시형 1960년 5월 23일 부임 李時炯 1960년 10월 31일 퇴임 10 김남권 1960년 12월 8일 부임 金南權 1961년 10월 30일 이임 11 김성열 1961년 10월 31일 부임 金成烈 1962년 11월 6일 이임 12 김재호 1962년 11월 7일 부임 金在鎬 1964년 10월 22일 이임 13 김남섭 1964년 10월 23일 부임 金南燮 1968년 1월 1일 이임 14 양재범 1968년 1월 5일 부임 梁在氾 1970년 3월 2일 이임 15 송언종 1970년 3월 3일 부임 宋彦鍾 1971년 8월 20일 이임 16 송인섭 1971년 8월 21일 부임 宋仁燮 1973년 2월 6일 이임 17 김연수 1973년 2월 7일 부임 金鍊洙 1974년 1월 24일 이임 18 김세장 1974년 1월 25일 부임 金世章 1975년 9월 2일 이임 |
19 오경석 1975년 9월 3일 부임 오경석 1977년 2월 17일 이임 20 백주원 1977년 2월 17일 부임 白柱元 1979년 10월 26일 이임 21 강영기 1979년 10월 26일 부임 姜英奇 1980년 9월 1일 이임 22 안재호 1980년 9월 1일 부임 安在祜 1982년 4월 13일 이임 23 김재웅 1982년 4월 14일 부임 金在雄 1983년 4월 12일 이임 24 김옥현 1983년 4월 13일 부임 金沃炫 1985년 5월 4일 이임 25 조영택 1985년 5월 6일 부임 趙泳澤 1986년 11월 1일 이임 26 문덕형 1986년 11월 2일 부임 文德炯 1988년 2월 11일 이임 27 조항규 1988년 2월 12일 부임 趙恒奎 1989년 12월 26일 이임 28 고경주 1989년 12월 27일 부임 高京株 1992년 1월 4일 이임 29 이광수 1992년 1월 5일 부임 李光洙 1993년 3월 28일 이임 30 박래관 1993년 3월 29일 부임 朴來寬 1994년 2월 25일 이임 31 김정환 1994년 2월 26일 부임 金正煥 1995년 6월 30일 이임 32 김흥식 1995년 7월 1일 부임 金興植 1998년 6월 30일 재선 33 김흥식 1998년 7월 1일 부임 金興植 2002년 6월 30일 삼선 34 김흥식 2002년 7월 1일 부임 金興植 2006년 6월 30일 퇴임 35 유두석 2006년 7월 1일 부임 유두석 2007년 10월 25일 퇴임 36 이 청 2007년 12월 20일 부임 李 淸 2010년 6월 30일 임기만료 37 김양수 2010년 7월 1일 부임 金兩洙 민선5대 현재 |
역대 부군수 명단
역대 |
성 명 |
취 임 |
이 임 |
재직 기간 | ||
년월일 |
전 직 |
년월일 |
전 출 지 | |||
1 |
김동환金東桓 |
75.1.6 |
전라남도세정과장 |
75.9.3 |
전라남도세정과장 |
8월 |
2 |
양현조梁現兆 |
75.9.4 |
농촌진흥원서무과장 |
77.3.8 |
농촌진흥원서무가장 |
1년8월 |
3 |
김은석金殷錫 |
77.3.22 |
장흥부군수 |
78.8.16 |
영암부군수 |
1년5월 |
4 |
나무석羅武錫 |
78.8.17 |
전남도민방위과장 |
79.9.1 |
전라남도주택과장 |
1년1월 |
5 |
이덕원李德元 |
79.9.2 |
전라남도주택과장 |
80.12.29 |
나주부군수 |
1년4월 |
6 |
신평영申平泳 |
80.12.30 |
전남도환경위생과장 |
83.9.26 |
광산부군수 |
2년9월 |
7 |
장영규張永奎 |
83.9.27 |
광양부군수 |
86.11.3 |
전라남도농지과장 |
2년1월 |
8 |
이운형李雲珩 |
86.11.4 |
승주부군수 |
87.12.31 |
의원면직 |
1년2월 |
9 |
김영남金永男 |
88.1.1 |
여천부군수 |
89.6.30 |
정년퇴직 |
1년6월 |
10 |
문병주文秉周 |
89.7.1 |
승주부군수 |
91.1.17 |
나주부군수 |
1년7월 |
11 |
전윤식全潤植 |
91.1.18 |
여천부군수 |
91.12.28 |
정년퇴직 |
11월 |
12 |
김이경金李京 |
92.1.11 |
전남도민원담당관 |
93.8.16 |
화순부군수 |
1년7월 |
13 |
송귀근宋貴根 |
93.8.17 |
전남도법무담당관 |
94.7.7 |
전남도경제정책과장 |
11월 |
14 |
지종채池鍾彩 |
94.7.7 |
완도부군수 |
94.12.31 |
전남도민방위과장 |
1년6월 |
15 |
김용준金容俊 |
95.1.1 |
보성부군수 |
97.9.23 |
전라남도농정국장 |
2년9월 |
16 |
임광락林光洛 |
97.9.24 |
전라남도농산과장 |
99.1.10 |
전라남도 |
1년4월 |
17 |
백도선白道善 |
99.1.11 |
무안부군수 |
02.8.13 |
공무원교육원장 |
3년7월 |
18 |
이병문李炳文 |
02.8.14 |
해남부군수 |
03.1.21 |
전남도공무원교육원 |
6월 |
19 |
박병훈朴柄勳 |
03.1.22 |
전남도사회복지과장 |
04.2.6 |
전라남도 |
1년2월 |
20 |
최승식崔承植 |
04.2.6 |
전남도의회사무처의사담당관 |
06.1.11 |
전라남도 |
1년11월 |
21 |
김용우金容祐 |
06.1.12 |
전남도공무원교육원교육지원과장 |
08.7.27 |
전라남도 |
2년6월 |
22 |
박양종朴洋鐘 |
08.7.28 |
전남도행복마을과장 |
11.1.10 |
전라남도 |
2년5월 |
23 |
박기열朴基烈 |
11.1.10 |
전라남도여수박람회지원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