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가훈(朱子家訓)
(朱子大全遺集 卷二)
君之所貴者 仁也(군지소귀자 인야) 임금에게 귀한 것은 仁愛이며
臣之所貴者 忠也(신지소귀자 충야) 신하에게 귀한 것은 忠誠이다.
父之所貴者 慈也(부지소귀자 자야) 아버지에게 귀한 것은 慈愛이며
子之所貴者 孝也(자지소귀자 효야) 자식에게 귀한 것은 孝道이다.
兄之所貴者 友也(형지소귀자 우야) 형에게 귀한 것은 友愛이며
弟之所貴者 恭也(제지소귀자 공야) 동생에게 귀한 것은 恭敬이다.
夫之所貴者 和也(부지소귀자 화야) 지아비에게 귀한 것은 和合이며
婦之所貴者 柔也(부지소귀자 유야) 지어미에게 귀한 것은柔順이다.
事師長貴乎 禮也(사사장귀호 예야) 스승과 어른을 섬김은 禮義이며
交朋友貴乎 信也(교봉우귀호 신야) 벗을 사귐에 귀한 것은 信義이다.
見老者 敬之(견노자 경지) 노인을 보면 공경(恭敬)하고
見幼者 愛之(견유자 애지) 어린아이를 보면 사랑하라.
有德者 年雖下於我 我必尊之(유덕자 년수하어야 아필존지)
덕망이 있는 사람은 나보다 나이가 아래일 지라도 존경하고
不肖者 年雖高於我 我必遠之(불초자 년수고어아 아필원지)
나보다 부족한 사람은 나보다 나이가 많을 지라도 가까이 하지 말라.
愼勿談人之短 切勿矜己之長(심물담인지단 절물긍기지단)
남의 단점(短點)을 말 하지 말고 내 자랑을 하지 말라.
讐者 以義解之 怨者 以直報之(수자 이의해지 원자 이직보지)
원수라도 의로서 풀고 원한은 올바르게 보답하라.
隊所遇而安之(대소우이안지)
어떤 곳에서 만나더라도 상대를 편안히 하여주고
人有大過 以理而責之(인유대과 이리이책지)
큰 잘못이 있거든 理致로 타일러 꾸짖어야한다.
勿以善小而不爲 勿以惡小而爲之(물이선소이불위 물이악소이위지)
착한 일은 작아도 실행하여야 하고 악한일은 작아도 하지 말아야 한다.
人有惡則掩之 人有善則揚之(인유악즉엄지 인유선즉양지)
남의 나쁜 것은 감추어 주고 남의 좋은 점은 찬양해 주어야 한다.
處世 無私讐(처세 무사수)
공사를 처리함에 있어 사사로운 怨恨(원한)을 생각하지 말며
治家 無私法(치가 무사법)
집안을 다스림에 있어서는 사사로운 法(법)은 있을 수 없다.
勿損人 而利己(물손인 이리기)
남에게 손해를 주면서 나의 이익을 구하지 말 것이며
勿妬賢 而嫉能(물투현 이질능)
어진사람을 시기 하거나 능력 있는 사람을 질투하지 말라.
勿逞忿 而報橫逆(물령분 이보횡역)
분을 핑계 삼아 횡포와 보복하지 말며
勿非理 而害物命(물비리 이해물명)
쓸데없이 물건이나 생물을 해치지 말라.
見不義 之財(견불의 지재) 勿取(물취)
의롭지 못한 재물을 보거든 이를 취하지 말고
遇合義之 事則從(우합의지 사즉종)
의로운 일도 뜻이 맞거든 이를 쫓아 함께 하여라.
詩書(시서) 不可不學(불가불학)
시전과 서전은 반드시 배워야 하고
禮義(예의) 不可不知(불가불지)
예의와 의리는 알아야 한다.
子孫(자손) 不可不敎(불가불교)
자식은 반드시 가르쳐야 하고
婢僕(비복) 不可不恤(불가불휼)
집안에 부리는 사람은 불쌍히 여겨 아껴야 한다.
斯文不可不敬(사문불가불경) 患難不可不扶(환난불가불부)
글을 존경 하여야 하며 어려울 때 서로 도와야하느니라.
守我之分者(수아지분자) 理也(리야)
내 본분을 지킴이 道理요.
聽我之命者(청아지명자) 天也(천야)
내 心命을 들음이 하늘이다.
人能如是(인능지시) 天必相之(천필상지)
위와 같이 지켜 나가면 하늘이 반드시 나와 같이 할 것이니
此乃日用常行之道(차내일용상행지도)
이는 곳 일상생활의 道이다.
若衣服之於身體(약의복지어신체) 飮食之於口腹(음식지어구복)
옷 입는 것과 음식을 먹는 것과 같아서
不可一日無也(불가일일무야) 不可謹哉(불가근재)
단 하루라도 빼 놓을 수 없는 것이니 삼가 조심해야 하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