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여기에서, |
![]() | ||||||
여기서, 주) 펌프의 회전수 변화에 따라 기계손실의 비가 다르게 되지만, 근사적으로
|
![]() | ||||||
|
![]() | ||||
회전차 외경가공 (D → D’) |
|
![]() | ||||||||
|
![]() |
식(2.15)에 의하면 NPSHav은 hs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토출량이 증가하거나, 흡입측의 배관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작아져서 캐비테이션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진다. |
![]() |
|
![]() | ||||
흡상배관의 경우(액면에 대기압이 작용하고 있을 때)
가압되는 배관의 경우(액면에 대기압이 작용하고 있을 때)
|
![]() | |||||||||||||||||||||||||||||||||||||||||||
흡입수조가 밀폐되어 있는 경우
절대압력과 GAUGE 압력의 관계
|
![]() |
|
![]() | |||
단, Q는 최고 효율점의 토출량이며 양흡입 펌프인 경우에는 1/2을 잡는다. Q를 ㎥/min, Hsv를 m, n을rpm으로 나타냈을 때 일반설계를 한 펌프에서는 S의 값은 Ns에 무관하게 대략 1200∼1300으로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S=1300인 경우의 n과 Q에서 NPSHre를 구하는 선도를 그림 2.21에 나타내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