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realdog입니다~^^
최근 많은 신규회원님들께서 왕성한 활동을 하시면서 물고기의 사육 및 수조꾸미기에
신경을 많이 쓰시는것 같습니다. 저 역시 항상 어떻게 하면 우리민물고기를 아름답게 키울까에 대해 고민이구요~
보통 우리민물고기 수조를 꾸미는데 있어서, 그 어종의 생활환경을 가장 많이 고려하지요~
자연과 최대로 흡사한 자연스러움 그리고 심미성을 두루갖춘 멋진 수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과
연구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나간다면 꿈에그리는 멋진 수조를 만드는 일도 불가능은 아닙니다~
소형납자루과 어종들이나, 송사리, 버들붕어등은 수초지대에 주로 서식하지요~
수초수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적절한 양의 빛과 양분이 필요하겠지요??
근사한 수초수조에 납자루들이 행복하게 유영하는 모습을 상상하면서, 오늘은 조명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명에 사용되는 용어로 와트(Watt), 루멘( lumen ), 럭스 (lux), 연색성 (Color Rendering Index), 캘빈 온도(Kelvin temperature) 그리고 스펙트럼(Spectrum)이 있으며 이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와트(Watt) :
전구는 일반적으로 몇 watt인가 하는 것으로 일단 구분됩니다.
이는 이 전구가 얼마나 많은 전력을 소모하느냐 즉 전기세가 얼마나 나올 것인가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물론 일반적으로
20 W 전구보다 40 W 전구에서 많은 광량을 발생해냅니다. 그러나 20 W 가 40 W 보다 항상 2배 빛을 많이 내는 것은 아닙니다.
조명기구마다 전기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효율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조명장치의 원리가 다를 때에는 더욱 큰 차이를 보이죠.
그러나 일반적인 형광등의 경우 효율은 어느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수초수조의 기본적인 조명세팅기준인 대략 어항물 1 리터당 0.5~1 watt 정도의 조명이 적당하다라는 말도 성립되기는 합니다.
그러나 같은 와트의 형광등을 사용하더라도 조명의 반사경, 어항구조 및 크기가 다를 경우 조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겠습니다.
루멘(lumen):
이것이 조명에서 나오는 총 광출력을 나타냅니다. 각각의 조명장치에 대한 데이터는 제작업체에서 제공하지요.
예를 들면 금호전기의 주광색 형광등 FL20SEX-D/18은 1,380 루멘의 광량을 출력합니다.
효율이 좋은 형광등은 단위 전력 와트 당 광출력 루멘이 많이 나옵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브랜드있는 형광등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지요.
브랜드에서 나오는 형광등은 대체적으로 루멘이 많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루멘이 높다고해서 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두가지 요소를 더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조명에서 나오는 조명에서 나오는 광출력이 전부 수초에 도달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 절반 정도는 반대편으로 반사된기때문에 적절한 반사경을 사용하면 최대 두배의 효율증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둘째 조명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에 수초의 광합성과 사람의 눈이 얼마나 잘 반응을 하느냐 하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럭스(Lux):
조도라고 번역되는 말로서 1제곱미터 당 1루멘의 빛이 도달하면 1 럭스입니다.
위에 예로 들은 형광등이 1제곱미터에 전부 도달하면 1380럭스의 밝기입니다. 일반 사무실의 조도는 500럭스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수초어항의 경우 ~5000 럭스로 사무실이나 가정의 조명에 비하면 상당히 밝은 편이지요.
연색성(CRI혹은 Ra):
영어로 Color Rendering Index라고 하는데 빛의 분광특성이 표준인 태양광에 얼마나 가깝냐를 나타내는 것으로 태양광을 100으로 합니다.
특히 형광등, 메탈할라이드등처럼 불연속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방전형 조명의 경우 특성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시판되는 수초용 형광등 중 연색성이 높다고 자랑하는 것들이 있는데 수초육성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는 검증은 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고압 수은등의 연색성은 투명형 25, 형광형 45, 메탈할라이드 등은 80∼90, 나트륨등은 보통 15-30으로 최근 60 이상의 것도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형광등은 50~95 정도로 제품의 목적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예를 들어 번개표 삼파장 등은 75 정도라고하네요.
가열식 조명인 백열등, 할로겐등의 경우는 태양광과 마찬가지로 연속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으니까 특별히 연색성에 관한 언급은 없습니다.
캘빈온도 (Kelvin Temperature):
조명장치가 방출하고 있는 빛의 스펙트럼이 흑체복사체의 표면온도 어디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냅니다.
백열전구의 경우 약간 붉은색이 나오는데 이는 2700K 정도의 색온도에 해당하고 흰색은 5500K 그리고 푸른 하늘색은 13000K 정도 입니다.
색온도에 따라서 정확하게 말하면 650nm 이상의 적색광 비율에 따라서 물속의 투과율에 차이가 납니다.
스펙트럼(Spectrum):
사람의 눈은 400 nm 보라색에서 450nm 청색, 500nm 녹색, 540nm 황색, 580 nm 주황색 그리고 600 nm 이상 적색까지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파장의 빛이 태양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x-ray 부터 자외선, 가시광선, 근 적외선, 원적외선 그리고 전파까지) 중
강하게 지표면 위에 도달하는 빛이므로 지구상의 모든 동식물이 이러한 파장의 빛에 감응하게끔 진화되었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열식 조명은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데 대하여 형광등, 메탈 할라이드등은 주입된 형광체의 종류,
개수나 희토류 원소(Na, Tl, In, Se, Th, Dy)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선 스펙트럼의 합으로 나타납니다.
첫댓글 아....머리가 복잡해집니다. 저는 사회학을 전공해서...공학 쪽 전문용어 나오면 머리에 쥐가 난답니다...^^ 그래도 잘 배워야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물생활도 깊이 들어가면 학문적으로 정리가 필요한것 같네요 이왕이면 검증된 데이타가 필요한데... 이쪽으로 많은 분들의 관심이 집중되면 좋겠는데 말입니다
연구하고 공부하려면 전문성을 가질정도가 돼야죠. 일본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어느공장의 과장이었다는데 너무 놀랐습니다. 우리 민물고기를 이끌어갈 인재가 이 까페를 통해서 꼭 나오기를 바랍니다.노고에 감사합니다.
수초기를때는 특히 캘빈값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10000k 이상의 형광등이 수초에 좋다고 하더군요~ 좋은정보입니다 자세한 정의에대해서는 자세히 알지못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