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용생명화학은 21세기 첨단 핵심과학 분야로 주목받고 있는 생명공학(BT)과 생명환경과학(ET)을 선도하는 학문이다. 즉, 생물 자체를 생산 또는 제어하거나 생물이 산출하는 물질이 생성되는 원리와 그 산업적 응용성을 생물 및 화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교육, 연구하는 첨단응용학문이며, 최근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유전체학, 분자생물학, 생화학, 그리고 관련 첨단 분석 이론과 기술이 무엇보다 요구되는 분야이다.
본 전공은 생명공학의 핵심 원리가 되는 동·식물의 생리,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식물유전체학 및 영양학, 생물활성 물질을 탐색 규명하는 천연물학과, 아울러 산업화에 따른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그 학문적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는 토양환경화학, 농약을 위시한 화학 물질의 환경 및 생태화학 등 폭넓은 생물과 화학 이론의 기초 위에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두뇌한국 21(BK 21) 사업단인 ‘농생명공학사업단’의 핵심 구성체로서 생명공학 원천기술 창출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아울러 이에 필요한 우수 두뇌를 양성할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런티어 사업인 '작물유전체기능연구사업‘과 같은 정부 주도의 초대형 연구 사업에도 핵심적 역할을 담당함으로서 그 위상을 빛내고 있다.
전공분야는 크게 응용생화학과 생명환경과학으로 나눌 수 있다.
응용생화학에서는 생리·생화학과 분자생물학, 식물유전체학 및 영양학, 천연물화학, 미생물공학, 구조 생물학을 다루고 있고, 생명환경과학에서는 토양화학·물리, 환경 및 생태화학, 농약화학·독성학을 다루고 있다. 이와 같이 생명현상과 환경 전반에 대한 심층 지식과 아울러 이를 산업에 응용하기 위한 기초 및 응용 지식을 폭넓게 제공하고 있는 응용생명화학은 유관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학문일 뿐만 아니라 생명공학과 환경과학의 핵심학문으로 그 위상을 높이고 있다. 이는 본 전공 교수진에 의해 발표되는 세계적 수준의 학술 연구 논문과, 아울러 농업생명과학대학 내의 많은 생명공학과 환경과학 관련 교과목들이 본 전공 교수진에 의해 강의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다시금 알 수가 있다.
본 전공은 1946년 시작하여 뿌리 깊은 전통 속에서 발전해 왔고, 1967년에는 식품공학과를 분리, 태동시킨 바 있다. 그간 본 전공에서 배출시킨 2,000 명이 넘는 수 많은 졸업생들은 오랜 전통과 선후배간의 돈독한 유대, 그리고 학문적인 역동성을 바탕으로 사회 각 분야에 폭넓게 진출해 왔으며, 특히 국내외 유수한 생명공학 및 환경과학 연구소, 기업체, 정부기관, 대학 등에 다수 진출하여 중추적 역할을 활발하게 담당함으로써 국가와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응용생물학 전공에서는 농업생산의 안정성 및 농업생물과 관련된 생물학의 기초분야와 응용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한다. 최근까지 생물자원의 효율적 보호라는 전제 아래 식물병과 해충의 방제에 중점을 두어 농업분야에서 기본적이고 실제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실용학문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근래 분자생물학 및 이에 관련된 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농업생물 분야에서 첨단기법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농업환경 및 분자생물학 등이 강조된 연구실이 대학원에 신설되어 있다.
식물미생물학 분야에서는 진균, 세균, 바이러스, 선충에 의한 병의진단, 분자유전학적·생리형태학적 발생메카니즘과 식물병역학, 미생물독소 및 토양환경관련 미생물과 자원식물보호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현재 전세계적으로 첨단 생명과학분야를 이끌고 있는 식물미생물분야의 누전체 기능 연구 및 단백질 발현 연구 그리고 식물병 예찰 시스템 개발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식물미생물학 분야는 각 세부 전공별로 곰팡이독소학, 식물병역학, 환경미생물학, 식물균병학, 임상식물병리학, 식물세균병학, 식물바이러스학의 총 7개 전문 연구실로 이루어져 있다.
곤충학 분야에서는 곤충 분류, 생태, 생리 연구와 곤충과 해충을 제어하기 위하여 곤충병리학, 생리활성천연물, 생물농약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고 각 세부 전공별로 곤충생태학, 곤충계통분류학, 곤충생리학, 곤충분자생물학, 생리활성 천연물, 곤충미생물공학 이상 총 6개 분야의 전문 연구실과 우수한 교수님들이 있다. 특히 응용곤충학 분야에서 중요한 해충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는 유익하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다른 곤충 종들에 비해서 훨씬 더 많이 되어 있다. 앞으로 농업, 임업, 보건 등 우리 인간의 식량과 보건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해충들을 방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해충에 대학 생물학적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질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각 연구 분야는 상호 유기적인 연관을 가지면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
설대/시립문/설대니까
서울대/명지문과/장난해?
연전전/충남이과/ 그냥 연대 찍는다 ㅇㅇ
서울대/단법/서울대포스
연전전/연전전/서울대라고 찍는 새퀴들은 꿈과희망은 없고 오로지 서서럿럿ㄹ설설이라는 글자에 설레이는 놈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기배우면 꿈이 넘치는거고 생물이랑 화학배우면 병신이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런 똘아이새끼 ㅋㅋㅋ
그러니까ㅋㅋㅋㅋㅋㅋㅋㅋ애들이 조난 특이하게 전기배우면 뭐 있는줄 알아ㅋㅋㅋㅋㅋㅋㅋㅋㅋ그냥 전기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요가 가장 많은 공돌이일 뿐이야;; 서울대레벨까지 올라가면 그딴거 필요도 없지
서울대/시립/샤대 화생이면 의전까지 노릴수ㅠ 있는거?샤대는 전학과가 고시에 플러스 요인이 있다 ㅋ
연전전//한양문과//연전전 좋다
서울대/동국문/뭔 말이 필요하냐
서울대//서강경제//설대 포스
서울대//고대문과//연전전 아무나 가더라.
아무나가는건 아니고;;
최강공대 이 개병신새끼는 연공이라면 침질질싸네 니 몇학번이냐?
서울대/ 고대문과/ 연대 전전애들과 과미팅했을 때, 우리보다 공부 잘한다는 생각이 안 들었음.. 설대 농대는 우리보다 좀 더 점수가 높음. 고로 설농> 연전전
서울대/안산한양공대/일단 설대
서울대//설산공//우리나라는서울대공화국.ㅋ
서울대/고대문과/ 설대 쫌 짱아님?
마감
결과 언제 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