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캄보디아 관광산업, 길고 먼 발전 여정 | ||||
작성일 | 2012-12-14 | 작성자 | 김웅기 ( 712234@kotra.or.kr ) | ||
국가 | 캄보디아 | 무역관 | 프놈펜무역관 | ||
-->
-->
캄보디아 관광산업, 길고 먼 발전 여정 -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 관광개발 전략계획 수립 시행 중 - - 열악한 기반시설이 관광산업 발전 저해 요인 - □ 캄보디아 관광산업 현황 O 현재 관광 부문은 캄보디아 경제에서 농업과 봉제 다음으로 3번째로 큰 분야임. 또한 봉제 수출산업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외화 수익 창출분야임. 관광산업의 발전으로 노동의 창출, 관광수입의 증가, 빈곤의 완화, 환경 보전이 가능할 것이라는 희망이 있음. 연도 및 월별 캄보디아 외국인 관광객 추이 자료원: 캄보디아 관광부 관광 통계 보고서 O 1990년 초부터 캄보디아 관광산업은 빠르게 발전했으며, 관광업은 캄보디아의 가장 중요한 외화 획득수단이며 고용창출수단임. - 관광통계는 1993년부터 기록됐으며, 그 해에 11만8000명 이상의 외국인 관광객을 맞이했음. - 2005년에는 140만 명의 관광객이 캄보디아를 찾았으며 8억3200만 달러의 수익을 얻었음. 이는 전체 GDP의 13% 수준임. 또한, 직접적으로 연관된 20만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했음. - 2011년 외국인 관광객은 230만 명으로 집계됐으며, 19억1000만 달러로 GDP의 12%의 수익을 만들었고 약 35만 개의 직접적인 일자리와 100만 개에 가까운 간접적 일자리가 창출됐음. 국가별 캄보디아 관광객 자료원: 캄보디아 관광부 관광 통계 보고서 O 캄보디아 관광부 장관은 2012년 33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할 것으로 예상하며, 2015년에는 450만 명까지 도달할 것으로 봄. 캄보디아 방문객의 대부분은 인근 ASEAN과 동아시아 여행자들이며 전체 캄보디아 여행자의 75%가량을 차지함. 유럽 여행자들이 16.5%를 차지하고 있으며, 북아메리카 여행자들은 6.8% 수준임. 국가별로 보면 베트남인들이 전체 여행자의 22.5%를 차지, 가장 많은 방문을 하고, 그 다음을 한국 여행자들이 차지하고 전체 여행자의 12% 정도임. □ 관광산업 발전 계획 O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 관광개발 전략 계획 2012-2020이 만들어졌으며, 이에 따르면 정부는 2020년까지 700만 명의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고, 관광수익 50억 달러 창출을 기대하고 있음. O 관광개발의 주된 지역은 캄보디아의 수도인 프놈펜, 앙코르와트가 있는 시엠립과 해변에 인접해 있은 시아누크 주 지역이며, 2011년 160만 명의 외국인이 앙코르와트를 방문, 이는 2010년보다 23% 증가한 수치임. 또한 시아누크빌 해변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해변 중 한 곳으로 선정돼 앞으로 관광객의 증가가 기대됨. O 주요 관광지 외에도 캄보디아 관광개발 계획은 생태관광과 지역사회관광에 집중하고 있음. 지난 수년간 외국인 관광객들은 생태관광과 지역사회관광에 큰 관심을 보여왔으며, 문화를 배우고 지역 주민의 삶을 경험하는 여행을 원하는 여행객이 증가해왔음. O 메콩 강의 생태관광지역이나 멸종위기 동물인 이라와디 돌고래를 보려는 관광객들도 늘어나고 있음. 또한 꼬꽁 주의 촌락 같은 소규모 지역사회 관광도 인기를 얻고 있음. 관광부는 지역사회 및 기관, 관련 부처와 협조하에 48곳의 생태 자연관광 지역을 조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광지 개발이 지역사회 수익증대 및 발전에 기여함과 동시에 자연보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보고 있음. □ 관광산업 발전 저해 요인 O 세계경제포럼에서 발간한 2012 아세안 여행 관광 경쟁력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여행 관광 경쟁력 지수 순위에서 109위로 아세안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함. 정책 법규, 건강 위생, 여행 기반시설, 인적자원의 세부평가에서 전체 139개국 중 100위를 넘는 순위를 기록했음. 아세안 국가 TTCI(Travel & Tourism Competitive Index) 지수 평가표 자료원: 세계경제포럼 아세안 여행 관광 경쟁력 보고서 O 관광산업 발전에도 캄보디아 지역 생산품의 열악함과 숙박산업 관련 제품 공급이 원인으로 2011년 관광수입 2억 달러에서 약 25%가량이 다시 해외로 유출됐음. 지역생산 채소, 과일 등은 저품질이라는 문제로 호텔이나 레스토랑에서 취급하지 않으려 하며, 이와 함께 캄보디아 내에서 생산되는 신선한 야채나 과일 등 생산이 수요에 미치지 못해 태국과 베트남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음. 관광부 관계자는 외국인 관광객의 수요에 맞추려면 식재료의 수입은 어쩔 수 없다고 말함. O 인적자원의 부족도 캄보디아 관광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음. 관광산업에 종사하는 캄보디아인 수는 매우 낮으며, 관련 업계 대부분 외국 인력을 고용하고 있음. 캄보디아 관광 에이전트 협회의 대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관광산업에 종사하고 싶어 하지 않고 있으며, 관광 관련 지식의 정보 제공 및 촉진 역시 매우 제한적이라고 함. O 기반시설의 부족 또한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관광지 접근성이 여전히 낮음. 국제 공항은 단 두 곳밖에 없고 규모도 작아 대형 항공기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공항의 크기 확장과 개선은 아직 논의 중임. 육로 연결 역시 기반시설이 열악해 관광지로의 자유로운 접근이 어려우며, 노상에서 시간을 많이 소모하고 이동 시 불편을 토로하는 관광객이 많음. □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O 캄보디아의 2020년 관광 개발 계획 목표를 달성하려면 기반시설 확충이 가장 먼저 수반돼야 함. 현재 인적자원 문제 해소를 위해 관광개발계획을 통해 국립관광기관을 설립하고, 정부를 통해 학생에게 보조금을 제공할 계획이 있음. 기반시설에 대한 공사는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으나 관리 부족 등을 원인으로 많은 지방도로가 방치되고 있음. O 풍부한 문화유산이 있으나 관광객 유치를 위한 효과적인 홍보가 되고 있지 않음. 캄보디아 관광 촉진을 위한 기관이 해외에는 존재하지 않아 이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의 설립이 관광개발 계획 하에서 논의됨. O 음식, 지역 생산품 분야와 관련해서도 관광산업 발전을 돕기 위해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 수익의 유출을 막으려면 캄보디아 내 생산설비 및 외국인 관광객의 요구에 맞는 제품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변화가 캄보디아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임. 자료원: 코트라 프놈펜 무역관 자체 조사, The Economics Today, Ministry of Tourism, World Economic For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