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아이러브사커
 
 
 
카페 게시글
…… 국내토크 리그내 빅마켓 팀들과 도시민구단의 상생..
Nsync Guys 추천 1 조회 870 13.01.02 23:14 댓글 1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3.01.02 23:24

    첫댓글 프로축구의 인기가 아직은 부족한 상황에서... 자본이 부족한 시도민구단은 어쩔수 없이 유소년 혹은 해외선수 영입 경로를 뚫어 셀링클럽으로 거듭나야만... 지금 상황에서 살아남을 수 밖에 없는것이 현실인가 봅니다... 안종복단장이 강원토론회에서 말한것 처럼.. 투자를 적절하게 해가며 유소년 혹은 다른 인프라를 키우기 위해서라도 시도민구단은 우선 셀링클럽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 하더군요..

  • 작성자 13.01.02 23:28

    싫은 현실이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볼때 필요하다고봐요.
    당장 우리가 아는 유명 선수들,예를 들어 마타,애슐리콜,램파드,크루스,람,하트 같은 선수들은 빅클럽 유스였는데 중소규모클럽에서 임대로 경험을 쌓아 대스타가 되었거나,중소규모팀에서 빅클럽으로 이동한 대표적 케이스죠.우리나라에도 세비야,리옹,포르투,벤피카 같은 소위 거상으로 불리는 셀링클럽들이 더 생겨야된다고봐요.그런측면에서 조광래의 경남이나 안단장시절의 인천은 국내상황에 가장 적합한 도시민구단의 모델이었죠.

  • 13.01.02 23:33

    셀링클럽도 안종복단장시절의 인천처럼 장기적 비전을갖고 투자와 흑자를 동시에 내야하는데.. 현재의 우리 시민구단들은 방만 경영과 구단주들의 무관심속에... 흑자를 내더라도 예산만들기에 급급하다면 결국 점점 후퇴할수밖에 없다고 봐요...해외 스카우터 혹은 유소년에 지속적이고 합리적 투자가 계속되어야할텐데 말이죠..

  • 작성자 13.01.02 23:38

    그런면에서 도시민구단에 전문ceo와 cfo의 도입이 시급해보입니다.지금 대부분 도시민구단이 경영인이 지자체장 낙하산인데,안단장이나 김재하단장 같은 케이스는 정말 손꼽을 만큼 특이 케이스고 대부분 나눠먹기식으로 주는 자리로 인식되어있죠.이부분은 팬들이 구단과 공청회 등을 통해 설득해나가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요.전문경영인이 와서 재정을 보수적으로 관리하고 수익모델을 극대화해서 안정적으로 꾸릴수 있어야죠.유럽의 유명 클럽들이 전문경영인들을 재정이사로 두고 운영하는것처럼 반드시 ceo들을 두고 운영하도록 강제할수있는 장치가 필요해보여요.afc가 독립법인구단화를 강조하는 이유로 생각되기도하구요.

  • 13.01.02 23:41

    맞아요. 지자체에서도 구단을 운영하는 목적과 방향성을 다잡고 하루라도 빨리 전문경영인으로 꾸려나가야된다고 생각해요. 항상 문제로 이름이 오르내리는 단장들을보면 전문 경영인이라기보단 지역유지 혹은 정치계인사가 태반이죠... 그냥 공기관 자리하나쯤으로 생각(아니 어쩌면 명예직 쯤으로 생각할수도)하지말고 좀 멀리보고 기업 경영하듯이 했으면 좋겠네요..

  • 작성자 13.01.02 23:47

    그래도 축구가 좋은 상황인것은,국내의 빅클럽들 외에도 중동이나 j리그,c리그가 있어서 판로가 다양하다는거죠.중소규모 구단들이 셀링클럽으로서 안정적인 수익창출을 하는데에는 굉장히 유리한 상황인게 다행이라면 다행..
    대구가 김기희 임대를 보낸거나 강원이 오재석을 이적시킨것..이런식으로 자본을 확충하고 다시 어린 선수를 키워내는거죠.전북이 모기업의 지원도 있지만 현재의 빅클럽에 오를수있던 원동력은 꾸준한 감독에 대한지지와 상대적으로 저렴한 한물간 선수들을 재기시켜 활용하면서 적은돈으로도 성적을 내며 이적시장에서도 적절히 사고팔면서 흑자를 낸것에서 나온것이니까요.

  • 13.01.02 23:54

    시장이 커지고 있는건 그 어느 다른 스포츠보다 긍정적인 점이죠.. 하지만 내수기업과 국내에서는 정작 주목을 받지 못하니 안타깝습니다.. 철통야구언론이 언제쯤이면 자정화될지.. 야구중심의 스포츠언론의 행태만 좋아지면 그나마 괜찮아 지지않겠나보는데... 이 푸념도 정말 너무 많이 하다보니... 이제 진짜 신세한탄이 되어버렸네요...
    우선 정말 언론도 무시 못할 센세이션을 일으키는 시도민구단이 나타나주는것이 가장 중요할것같아요.. 경영도 중요하지만 결국은 축구가..

  • 작성자 13.01.03 00:01

    신문사 스포츠부에서 한화전담기자로 계시는 형과 술먹으면서 한이야기인데, 형이 그러더군요.프로축구구단이 언론기자들을 상대할때 너무 사무적이라고..
    인간적인 친분이나 적절한 로비가 중요하다는 이야기였어요.그런 측면에서 수원, 서울이나 성남은 상당히 잘해가고 있는편인데 아직 다른구단은 그런마인드가 부족하다는걸 지적하더군요.그냥 자기들이 낸 자료그대로 내라는식으로 나오니 기자들이 별의욕없이 거쳐가는자리로만 인식하고 기삿거리를 찾으려 노력하지 않게되어 악순환이라고..
    프레스담당관이 너무 고압적으로 나오는경우가 많은편이라 정나미가 떨어져서 악의적인 기사쓰는경우도 종종있다고해요.

  • 13.01.03 00:09

    그런부분도 일부분 작용하겠지만.. 일단 전문성을가진 기자가 극심하게 부족하다보니... 서로 쌓인 오해와 갈등이 크고 또 한편으로는 팔이 안으로 굽다보니 자연스레 유착하게 되는 경우도 있겠죠... 기자입장에서야 축구프론트가 잘못한건이지만 어쩌면 아무리 스포츠기자라도 편향된 기사를 써내는건 잘못은 잘못이니..제가 스포츠언론쪽 입사에 어느정도 관심이 있어 선배에게 이것저것 물은적이 있는데 그쪽에서는 축구매니아는 윗선에서 조금 꺼려한단 이야기를 들었어요. 약간 편협하게 생각하는것인지 뚜렷한 이유는 못들었지만 축구팬이나 축구프론트나 앞으로 이미지개선을 위해 힘써야하지않나란 생각이 들더군요..

  • 작성자 13.01.03 00:12

    그런면에서 수원,서울,전북,제주,울산,성남 등 모기업의 파워가 크면서 역사도 있는 클럽들이 성적이 잘나와줘야됩니다.언론들을 보면 전북이나 수원,서울 등의 경우 긍정적인 소스만 내보내고 지면에서도 높은 비중으로 보여주는데,08년도 수원이 우승했을때 언론기사들을 봐도 명확하죠.
    일단 광고주로서의 파워가 큰 빅클럽들이 확실히 자리를 잡고 언론을 움직여줘야합니다.tv조선이 k리그 중계하면서 논조가 친축구적으로 바뀌고 비중도 높아진 스조나 조선일보 스포츠면만봐도 이러한 전략이 얼마나 큰효과인지 알수있죠.종편을 다 끌어들여서 스조,스포츠동아,일간스포츠,스포츠월드 등 스포츠일간지를 우리편으로만들필요가 있죠.

  • 작성자 13.01.03 00:16

    선수단 운영에 있어서도 해외 빅스타를 데려오거나 국가대표 선수들을 모으는 등의 노력,또 적극적인 방송출연이 필요해요.트로이카가 뜰수있었던건 구단차원에서의 집중적인 마케팅도 주요했던것이니까요.이동국,이근호가 1박2일에 나오면서 축구에 대한관심이 커지고,전북이 이동국,조재진을 영입하며 빅클럽의 토대를 쌓았듯이 그러한 과감한 투자도 병행되어야죠.이런건 빅클럽의 책무라고봐요.

  • 13.01.03 00:21

    말씀하신 리딩클럽도 중요하지만 저는 무엇보다 케이리그의 뿌리가 될 시도민구단이 튼튼해지는것이 더 급선무라고봐요. 저도 한때는 기업구단의 선전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리그를 오래봐올수록 상위구단보다는 중하위권의 구단의 중요성에 더 관심이 기레요.. 이미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빅클럽은 유소년 및 홍보 등의 중요성을 알고 적절한투자를하고 있는 반면 시도민구단중에서는 아직 부족한 구단이 많은것 같아요...

    늦은밤 좋은 이야기 감사했습니다ㅜ 제가 내일 일찍일어나야해서 이야기를 줄여야겠네요.. 다음에도 좋은 토론 부탁드릴게요^^~

  • 작성자 13.01.03 00:33

    아직 임대가 좀 활성화가 아쉽긴한데,최근들어 달라지는분위기이니,기대해보고는 있습니다.일단은 로컬 보이들이 많이 늘어나야되는거같아요.상대적으로 수도권구단 선호현상도 덜영향받고 이적시에도 도시민구단에 대한 애정이 커서 좀더 협상에서 유리한 부분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데다 관중들을 불러들이는 요인으로서도 크게 작용하니까요.로컬 유스가 늘어날수록 지역사회에 깊게 뿌리내려 구단에 대한 시민들의 애정과 관중수익도 향상되는 선순환이 일어날수있죠.

  • 작성자 13.01.03 00:34

    victim님도 좋은 밤 되시길..
    좋은 토론시간이었어요.

  • 13.01.02 23:56

    우와.... 이 건전한 토론을 보라!
    글들이 다 좋아요ㅎㅎㅎ

  • 작성자 13.01.03 00:02

    감사합니다:)

  • 13.01.03 00:03

    이런 수준있는 글을 보는 제가 더 고맙죠ㅎㅎ

  • 작성자 13.01.03 00:17

    요즘들어 든 생각들을 그냥풀어본건데 감사해요ㅋ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