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식물 3590번 전호! 산형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다년생 초본)
식물명: 전호 (前胡)
분류: 속씨식물門(피자식물문 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쌍떡잎식물綱(목련강 木蓮綱, Magnoliopsida) 산형화目(繖形花目, Umbellales 미나리목 Apiales) 산형科(繖形科 Umbelliferae, 미나리과 Apiaceae, セリ科) 전호屬(Anthriscus, シャク属) 산형화목=미나리목, 산형과=미나리과
학명: Anthriscus sylvestris (L.) Hoffm. 학명 해설: 안트리스쿠스 실베스트리스 (L.) 호프만[Anthriscus sylvestris (L.) Hoffm.]이다. 속명(屬名, generic name) '안트리스쿠스(Anthriscus)'는 허브의 일종인 'chervil(처빌)'을 뜻하는 그리스어 '안트리스코스(anthriskos)'와 라틴어 '안트리스쿠스(Anthriscus)'에서 유래했다. 속명은 아마도 '곡물의 수염(beard of grain)'을 뜻하는 그리스어 '아테르(athēr)'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처빌(chervil)은 파슬리(parsley)와 흡사해 보이는 한해살이 허브의 일종이다.
종소명(種小名, specific name, species epithet) '실베스트리스(sylvestris)'는 '숲 또는 나무의, 숲 또는 나무와 관련된(Of or pertaining to a forest or wood), 숲 또는 나무가 우거진(forested, wooded, overgrown with trees), 시골의(rural), 야생의(wild), 숲에 사는(living in forests)'의 뜻을 가진 라틴어 형용사 '실베스트리스(silvestris)'의 대체 형태다. 'silvestris'는 '실바(silva, wood, forest) + -에스트리스(-estris)'의 형태다. '-에스트리스(-estris)'의 유래는 알 수 없다.
'L.'은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다. 린네는 생물 분류학의 기초를 놓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여 현대 식물학의 시조로 불린다. 'Hoffm.'은 독일의 식물학자이자 지의류학자 게오르크 프란츠 호프만(Georg Franz Hoffmann, 1760~1826)이다. 그는 전호를 1814년 그의 저서 'Genera Plantarum Umbelliferarum'에서 최초로 출판했다. 이명: -,
영명, 일명, 중명- 와일드 처빌(Wild chervil), 카우 파슬리(cow parsley)-카우 파슬리는 아주 작은 흰 꽃이 많이 피는 유럽산 야생화다. '소(가 잘 먹는) 파슬리'라는 뜻, 레이디스 레이스(lady's lace)-'숙녀의 레이스'라는 뜻, 와일드 비크트 파슬리(wild beaked parsley), 퀸 앤스 레이스(Queen Anne's lace), 켁(keck) 등의 영문명도 있다(Wikipedia). 퀸 앤스 레이스(Queen Anne's lace)는 앤 여왕(Queen Anne)과 관련이 있는 이름이다. 그녀가 5월에 UK 전국을 여행할 때 길가에 무성하게 자란 전호를 보고 그녀를 위해 특별히 장식된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앤 여왕이 천식 때문에 종종 신선한 공기를 마시기 위해 시골로 산책을 가곤 했는데, 그녀가 전호 꽃을 지나갈 때 시녀들이 가지고 다니던 레이스 베개가 생각나서 퀸 앤스 레이스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설도 있다. 켁(keck)의 사전적 정의는 토하거나 구역질이 날 것 같은 느낌을 뜻한다. 어떤 사람들은 전호에서 나는 향이 파슬리와 아니스의 씨(aniseed)의 향과 비슷해서 매우 기분 좋은 냄새를 느끼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 냄새가 지나치게 심하고 끔찍해서 토할 것 같다고 말하며 싫어한다. 그래서 전호에 '켁(keck)'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머더-다이(mother-die), 독스 플러리쉬(dog's flourish)라는 이름도 있다. 'mother-die'는 '엄마가 죽는다'라는 뜻이다. UK 민간 전설에 따르면 전호를 실내로 가져가면 엄마가 죽을 것이라고 한다. 전호가 독미나리(hemlock )와 비슷해 보인다는 사실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보인다. 'dog's flourish'는 '개 번성'이라는 뜻이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전호가 개들이 있던 가장자리에서 잘 자란다고 알려져 있다. 한 포기의 전호는 800~10,000개의 씨앗을 맺을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조건이 맞으면 빠르게 군집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dog's flourish'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일명, 샤쿠(シャク, 杓). 샤쿠(杓)라는 이름은 일본 도우호쿠(東北) 지방의 방언(方言)이라는 설도 있고, 열매의 형태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샤쿠(杓)의 별명(別名)은 코쟈쿠(コジャク)인데, 이름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다. 일설에는 사쿠(サク)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신에게 올리는 제사(神事)에 사용하는 사쿠마이(さくまい, 赤米)와 샤쿠(シャク, 杓)의 열매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한다(素人植物図鑑). FOM에는 야마닌진(ヤマニンジン, 처빌, 기름나물), 코쟈쿠(コジャク), 와이루도챠-비루(ワイルドチャービル, Wild chervil) 등의 별명(別名, Synonym) -일명, 어찬(峨参), 투톈치(土田七), 진샨톈치(金山田七), 랴오보치(蓼卜七) 등 별명 -漢名,
기타 이름, 異名- 동지, 사양채, 반들전호, 큰전호, 생치나물. 사약채, 북한명(北韓名, North Korean name 문화어)-생치나물(추천명), 물생치,
이름 기원, 유래- 전호(前胡), 아삼(峨蔘).
전설, 설화, 성경,
꽃말: 고백
노래, 시화 소재 -
특징: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녹색으로 듬성듬성하게 가지를 친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삼각형이며 2-3회 3출하며 열편은 달걀모양으로 다시 우상 중렬하고 길이 20-50cm로서 중렬편은 긴타원모양으로 예두 또는 예첨두이며 톱니가 있고 뒷면 맥위에 퍼진 털이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점점 작아져서 엽초만으로 된다. 꽃은 백색이고 5~6월에 피며 겹우산모양꽃차례로 가장자리의 것이 가장 크고 소산화서는 5-12개이며 털이 없고 길이 3-4cm로서 끝에 10여개의 꽃이 달리며 총포가 없다. 소총포는 5-12개이고 길이 3-8mm로서 뒤로 젖혀지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꽃자루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다. 꽃부리는 소형이고 꽃잎은 5개이며 거꿀달걀모양이고 바깥 것 1개가 특히 크며 수술은 5개이고 짧으며 암술대가 2개로 갈라져서 밖으로 굽는다. 열매는 분과로 피침형이며 녹색이 도는 흑색이고 길이 5-8mm로서 밋밋하거나 돌기가 약간 있다. 뿌리는 굵고, 전호(前胡)라 한다. 약용식물로 인식되고 있으나 이른 봄에 눈 녹은 검은 대지를 뚫고 눈부시도록 선명한 녹색의 새싹이 움터오는 것은 참으로 볼만한데, 미나리과의 식물답게 독특한 향이 있다.
분포- 우리나라 남쪽의 섬들과 깊은 산, 산기슭, 구릉지대, 들판, 강기슭등 습한 곳에 군락을 이루어 자생한다. 숲 가장자리와 같이 약간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일본과 중국, 사할린,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동부 유럽에도 분포한다.
원산지
이용(도)- 어린 잎은 식용한다. 根(근)을 峨蔘(아삼)이라 하며 약용한다. 峨蔘(아삼, 전호뿌리)-약효 : 補中益氣(보중익기), 脾虛食脹(비허식창), 사지무력, 肺虛咳喘(폐허해천), 노인의 야뇨, 水腫(수종), 胃病(위병), 타박상, 토혈을 치료하며 通氣(통기)하는 효능이 있다. 기침, 가래, 해열효과. 칼슘, 칼륨, 비타민C 다량 함유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피를 맑게 한다.
참고문헌-한국 식물명의 유래(이우철 지음-2005, 일조각)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