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모초(육모초)의 효능
익모초(육모초)
학명
Leonurus sibiricus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들, 빈터, 밭둑, 길가
번식
씨
약효 부위
온포기·씨
생약명
익모초(益母草)
키
50∼150cm
과
꿀풀과
생활사
두해살이풀
채취기간
6∼10월
취급요령
날것 또는 그늘에 말려 쓴다.
특징
약간 차며, 맵고 쓰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온포기 7∼8g, 씨 3∼5g
주의사항
적당량은 이로우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익모초(육모초)의 효능
1. 불임치료
불임이 되는 원인은 다양할 수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몸이 쇠약해져 불임이 된다면 육모초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불임인 분들이 육모초를 복용하시는 방법은 육모초 10g ~ 30g 정도를 물에 달여서
꾸준히 섭취하면 불임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2. 지혈작용
육모초효능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효능이 바로 피를 멎게해주는 지혈작용인데요.
여성분들의 자궁출혈이 있다거나 몸의 상처로 인해 피가 날때에도 좋다고 하는데요.
특히 출산후에 자궁수축 불량으로 생길 수 있는 출혈치료에도 그 효능이 탁월하다고
합니다.
3. 어혈제거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외부로부터 타박상을 입는다거나 넘어지면 피가 한곳에 맺히게
되는데요.
이러한 것을 어혈이라고 합니다.
우리 몸에 이러한 어혈이 많아지면 혈액순환이 나빠지기 때문에 각종 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데요.
육모초가 어혈을 없애주면서 혈액의 흐름을 좋게 만들어 준다고 합니다.
4. 이뇨작용
소변이 생각보다 잘 안나온다거나 소변양이 적을 때 육모초를 드시면 좋은데요.
육모초를 꾸준히 복용하면 신장기능을 강화시켜 이뇨작용을 촉진시켜 준다고
합니다.
특히, 이뇨작용이 활발해지면 우리 몸속에 쌓여 있는 노폐물 배출이나 몸이 자주
붓는 부종제거에도 육모초 효능을 볼 수 있습니다.
5. 시력 보호
스마트폰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눈건강이 나빠지는 분들이 많다고 하는데요.
육모초를 복용하면 각막을 깨끗하게 해주면서 안구를 보호하여 탁한 눈을 맑게
만들고 눈의 충혈을 풀어준다고 하는데요.
한번 떨어진 시력은 되돌리기가 쉽지 않은데요.
시야가 탁하게 보인다거나 갑자기 시력이 떨어진다고 느껴진다면 조기에 안과를
찾아가시거나 육모초와 같은 눈에 좋은 음식들을 챙겨 드시길 바랍니다.
6. 수족냉증
유독 손발이 차가운 여성분들이 많으신데요. 마눌님도 손발이 굉장히 차가운 편인
데요.
몸에서 혈액의 흐름이 나빠지면 손발이 차가워지고, 생리불순이나 호르몬이상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는데요.
평소 손발이 차가운 분이라면 혈액순환에 좋은 육모초를 햇볕에 말려 가루로 만들어
주세요.
이 가루를 따뜻한 물에 타서먹으면 좋습니다.
7. 습진과 가려움증 개선
마지막으로 소개해드릴 육모초 효능으로는 주부습진이나 습진 등의 피부질환이나,
이러한 피부질환으로 인한 가려움증을 해소시켜 준다는 것인데요.
주부습진에 걸리면 참을 수 없는 가려움증을 느낄 수 있는데요. 육모초를 복용하면
주부습진과 가려움증을 함께 해소해 준다고 합니다.
익모초(육모초)의 처방
1, 월경통
익모초, 19그램, 원호색(元胡索) 19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민동본초]
2, 무월경
익모초, 오두(烏頭), 홍당(紅糖), 노주(老酒) 각 37.5그램을 약한 불에 달여 복용한다.
1주간 연속 복용한다.
[민동본초]
3, 어혈 괴결(塊結)
익모초 37.5그램과 물, 술 각 19그램으로 달여 복용한다.
[민동본초]
4, 난산
익모초의 짓찧은 즙을 7큰 홉을 달여 절반되게 졸여 돈복(頓服: 약을 나누어 먹지 않고
한꺼번에 많은 양을 다 먹는것)한다.
신선한 것이 없을 때에는 마른 것 큰 한줌을 물 7홉으로 달여 복용한다.
[독행방]
5, 뱃속에 태아가 죽은데
익모초를 잘 짓찧어서 따뜻한 물 소량을 넣어 즙을 짜서 돈복(頓服)한다.
[독행방]
6, 산후 혈운(血運), 심기절(心氣絶)
익모초를 갈아서 즙을 짜내어 1컵씩 복용한다.
[자모비록]
7, 산후 오로가 내리지 않는 증상
익모초를 짓찧어 즙을 짜내어 1회 1작은잔씩 술 1홉에 넣고 따뜻하게 하여 잘 섞어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
8, 분만 후에 복용하여 자궁의 회복을 돕기 위한 처방
익모초 34그램, 당귀 12그램을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1일 3회에 나누어 복용한다.
[현대실용중약]
9, 혈뇨(피오줌)
익모초의 즙 1되를 복용한다.
[외대비요]
10, 신염에 의한 수종
익모초 37.5그램을 달여 복용한다.
[복건성중초약신의료법자료선편]
11, 소아 감이치(疳痢痔)
익모초 잎을 죽과 달여 복용한다. 그 즙을 마셔도 좋다.
[식의심경]
12, 골절 내손(內損)에 의한 어혈, 날씨가 흐리기만 하면
생기는 동통 및 산후 각종 질병의 치료
3월에 채취한 익모초 1지게를 신선한 물로 씻은 다음 햇볕에 말려 물기를 제거하고
길이가 5치 되게 손으로 틀어서 자른다. 이 때 칼로 자르지 말아야 한다.
큰 가마에 넣고 물 2섬을 붓되 익모초가 2~3치 잠기게 한 다음 달인다.
익모초가 물렁물렁해지고 물이 3분의 1이 된 다음 짜내어 가제로 장액(漿液)을
취한다.
작은 솥에 넣고 약한 불에 달여 묽은 물엿 같은 것을 1말 취한다.
매회 배(梨:배나무이) 정도의 크기를 취하여 알맞게 데운 술로 1일 여러차례 복용
한다.
걸쭉한 미음과 함께 먹어도 좋다. 멀리 외출할 경우에는 더 달여 굳게 해서 작은
환제로 만들어 복용한다.
또 산후 오로가 멎지 않고 혈운(血運)이 있는 사람은 37.5그램씩 복용하면 치료된다.
이 약은 또한 풍(風)도 치료하고 기력도 좋아지게 하며 금기는 없다.
[근효방]
13, 심한 종기
익모초의 줄기와 잎을 짓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또 짜낸 즙 5홉을 복용하면 내소
(內消)된다.
[태평성혜방]
14, 부인의 젖을 짠 후의 통증, 유결성옹(乳結成癰)의 치료
익모초 분말을 물로 개어서 유방에 바르고 문지른다. 신선한 것을 짓찧어서 쓴다.
[태평성혜방]
15, 종기가 이미 터진 증상의 치료
익모초를 짓찧어 환부에 바른다.
[두문방]
16, 후페종통(喉閉腫痛)의 치료
익모초를 짓찧어 신선한 물을 가하여 짜서 진한 즙을 돈복한다.
토하는 증세에는 겨울에 뿌리를 쓴다.
[위생이간방]
17, 말에 물린 상처의 치료
익모초를 잘게 썰어 식초로 볶아 환부에 붙인다.
[손사막]
18, 급성 사구체성 신염 [임상보고]
마른 익모초(전초) 150~200g 또는 신선한 것 300~400g에 물 700ml를 가하고
약한 불에 달여 300ml 되게 한 다음 2~3회에 나누어 따뜻할 때 복용한다.
소아는 적당히 감량한다.
동시에 상규 처치 즉 염분 제한, 단백질 섭취의 제한과 고혈압성 뇌증의 증상이
있는 사람은 50% glucose 용액을 정맥 주사로 보조하고 염증 감염자는 항생제를
병용한다.
관찰한 80례는 모두 치유되었다.
치유 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 5일이고 가장 긴 것은 36일이었다.
치유 후 6개월에서 5년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재발한 사람은 없었다.
다른 보고에 의하면 급성 신염 4례는 6~26일간 치료하여 완전히 치유되었고 만성
9례는 온보비신(溫補脾腎)의 중약(中藥) 치료를 병용한 결과 정도는 다르지만
효과를 얻었다.
이들 실제 임상 응용에 의해 익모초는 이뇨, 부종 제거 작용이 현저하여 급성
신염에 대한 치료 효과도 비교적 만족스러웠다.
[중약대사전]
19, 산욕기에 사용 [임상보고]
익모초 탕제 또는 익모초고에는 자궁 수축 작용이 있어 맥각(麥角)의 액체성 엑스
(liquid extract)와 산욕기 자궁저 하강 수준 및 산후 오로의 상태에서 그 작용은
기본적으로 같았다.
익모초 제제의 자궁 수축 작용은 천천히 나타나 복용 1시간 후에 자궁의 수축이
강해진 것이 16.4%이고 복용 2시간 후에는 25%였다.
탕제는 마른 익모초 500그램에 물을 가하고 달여 1000ml 되게 한다.
1일 3회 1회 20ml씩 산후 3일간 연속 복용한다.
익모초고(신선한 익모초 500g에 당 200g을 가하여 고(膏)로 한다)는 매일 약 65g씩
복용한다.
[중약대사전]
20, 중심성 망막 맥락염 [임상보고]
마른 익모초 전초 200그램에 물 1000ml를 가하여 무화(武火: 센불)로 30분간 달여
두즙(頭汁: 상부의 즙)을 취한다.
약 찌꺼기에 다시 물 500~700ml를 가하고 30분간 달인다. 2회의 탕액을 혼합하고
아침 저녁 2회로 나누어 공복에 복용한다.
일반적으로 15일쯤 되면 효과가 나타난다.
24례를 치료한 결과 모두 정도는 다르지만 효과를 보았다.
[중약대사전]
21, 자궁탈출증
익모초 열매 20그램, 지각(枳殼: 탱자나무의 익은 열매를 말함, 지실(枳實)은 덜익은
열매를 말함) 1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22, 익모초 열매를 다량 복용시 중독된 증상 [임상보고]
대량의 충위자를 복용하면 중독된다.
25례의 보고에 의하면 보통 20~30그램을 복용하면 4~10시간에 발병한다.
그러나 10일간 연속 복용하여 500그램에 이르러서 처음 발병하는 사람도 있었다.
중독의 임상증상은 갑자기 전신이 무력해지고 하지가 움직이지 못하고 마비증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정신상태나 언어는 분명하고 맥은 대개 정상이다.
한의학과 현대의학의 종합 치료로 모두 회복되고 사망한 예는 없다.
[중약대사전]
23, ≪ 측천대성후의 익모초로 얼굴이 늙지 않게 하는 방법 ≫
{참고: 천하를 호령한 측천무후, 즉 무측천(武則天: 기원 624~705)의 본명은 무조
(武照), 당(唐) 고종(高宗)의 황후였으나 고종이 죽은 후에 황제에 등극하였다.
황제로 16년간 재위하였지만 실제로는 50여년간 집권을 한 중국역사상 유일무이한
여성황제이다.}
육모초 복용시 주의사항
- 임신한 여성분들은 육모초를 복용하시면 안좋아요.
- 하루에 육모초를 한잔 이상으로 마시면 중독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고하니, 하루에
한잔 이상은 절대 마시지 마세요.
- 평소 비위가 약한 분들은 복용하기 힘들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