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sp complie시 다음과 같은 것이 log에 찍힙니다.
NOTE: DBConnectionMgr.java uses unchecked or unsafe operations. NOTE: Recompile with -Xlint:unchecked for details.
---------------------------------------------------------------------------
http://java.sun.com/j2se/1.5.0/docs/guide/language/generics.html
자바 1.5로 버전업을 하면서 기존에 Vector 클래스(해쉬테이블, 해쉬맵 etc..) 를 사용하는 방식이 달라졌습니다. (프레임워크 : 생성된 객체들을 보관하고 있는 클래스)
이전 버전에서 사용하던 방식이 일반적으로
Vector vec = new Vector();
이렇게 사용을 했죠?
1.5버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용을 하셔야 합니다.
Vector<자료형> vec = new Vector<자료형>();
"<자료형>" 여기에 들어가는 내용은 자바 기본자료형부터 시작해서 클래스 이름까지 들 어갑니다. 한마디로 Object를 상속 받는 모든 형을 집어 넣을 수 있습니다.
이런 업그레이드 된 기능을 자바에서 Generic 이라고 합니다.
Generic을 왜쓰느냐 하면은 이전 버전에서는 Vector 내에 여러 자료형을 한꺼 번에 집어 넣 을 수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서 명로성이 많이 떨어 졌지요.
그걸 개선 하고자 Sun사에서는 Generic 기술을 도입하였고 위와 같이 선언을 하게 되면 "< , >" 사이에 선언된 자료형만을 벡터에다가 집어 넣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른 형을 넣을 경우는 컴파일 에러가 나구요.^^;
1.4와 1.5의 차이는 이처럼 제네릭이나 컬렉션, NIO, Scanner, 렙퍼클래스를 기본 자료형으로 자동으로 해주는 오토박싱, 언박싱 기능 등이 추가 되었습니다.
이와같은 기능을 쓰시려면 Sun사의 j2se 1.5 api 를 참조 하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퍼옴:네이버 지식I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