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재요화(幸災樂禍)
남이 재난과 화를 입는 것을 보고 기뻐한다는 말이다.
幸 : 다행 행(干/5)
災 : 재앙 재(火/3)
樂 : 좋아할 요(木/11)
禍 : 재앙 화(示/9)
(유의어)
요화행재(樂禍幸災)
행인지불행(幸人之不幸)
출전 : 안씨가훈(顔氏家訓)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말대로 남이 잘 되는 것에 시기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이웃사촌이란 말이 퇴색되어 가는 요즘에는 인격이 성숙한 사람이라도 흥미로운 일에 더 관심이 갈수밖에 없다고 ‘남의 집 불구경 않는 군자 없다’란 속담이 생겼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남의 불행을 자기의 행복으로 여기고 즐거워 한다면 참으로 고약한 이웃이 아닐 수 없다.
자신이 아닌 남의 재앙을 다행으로 여기고(幸災) 재앙을 즐거워하는(樂禍) 이 성어는 樂자가 즐길 락, 노래 악, 좋아할 요로 읽혀 행재낙화(幸災樂禍)로 쓰기도 한다. 노(魯)나라 좌구명(左丘明)이 쓴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나오는데 행재(幸災)는 희공(僖公)조에, 요화(樂禍)는 장공(莊公)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진(晉)나라 혜공(惠公)은 왕에 오르기 전 망명했던 이웃 진(秦)나라에 성 5개를 준다고 약속하고 도움을 받았다. 왕이 되자 약속을 저버린 혜공은 어느 해 나라에 큰 흉년이 들자 이번엔 이웃에 식량을 청했다. 진(秦)나라로서는 괘씸했지만 천재는 도와야 한다는 대부 백리해(百里奚)의 권유로 식량을 줬다.
이번엔 진(秦)나라가 흉년이 들어 진(晉) 혜공에 도움을 청하자 거절당했다. 이 때 경정(慶鄭)이란 대부가 ‘베풂에 등 돌린다면 외롭게 될 것이고 남의 재앙을 다행으로 여기면 어질지 못한 일(背施無親 幸災不仁/ 배시무친 행재불인)’이라 간언했다. 하지만 못난 혜공이 듣지 않아 침략을 받고 포로 신세가 되고 말았다.
주(周)나라 장왕(莊王)이 죽은 뒤 대신들에 의해 왕위에 오른 꼭두각시 자퇴(子頹)는 아무 것도 모르고 주색과 가무에 도취되어 있었다. 이에 사람들은 ‘지금 왕자 퇴는 가무에 취해 지칠 줄 모르면서 화를 즐기고 있다(今王子頹歌舞不倦 樂禍也/ 금왕자퇴가무불권 요화야)’고 손가락질 했다.
행인지불행(幸人之不幸)
다른 사람의 불행을 다행으로 여긴다
우리나라 속담에 '좋은 소문은 대문 밖을 안 나가지만, 나쁜 소문은 천리를 간다'라는 말이 있다. 남에게 좋은 일이 있으면 선전을 안 해 주면서, 좋지 못한 일이 있으면 사방에 이야기하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는 뜻이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생존을 위해서 남과 경쟁하려는 마음이 있다. 이 경쟁 심리를 좋은 쪽으로 개발해 나가면 자기 발전의 원동력(原動力)이 되지만, 잘못된 쪽으로 키우면 남을 질투하고 시기하고 훼방하는 마음으로 되고 만다. 이렇게 되지 않으려고 의도적으로 노력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수양(修養)이다.
이미 작고했지만 서울의 명문대학 국문과 교수로 많은 연구 업적도 있고, 학계에 이름도 있는 교수가 있었다. 풍채도 아주 좋아 겉으로 보기에는 관대한 어른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 분은 마음이 배배 꼬여 남이 잘 되는 것을 보고는 참지 못하였다. 예를 들면 동료 교수가 책을 한 권 새로 내면 수업 시간에 들어가서 ‘그 책 엉터리다’라고 학생들에게 이야기할 정도였다.
돌아서면 남 욕을 하고, 남 안 보는 데서 남의 일을 방해하는 짓을 하였다. 그러면서 학생들한테는 다른 교수들보다 유달리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말을 많이 했다. 텔레비전 방송에 나가 그럴듯한 이야기를 하고. 신문에 글도 자주 써서 사회적으로는 명사(名士)가 되어 있지만, 자기 학교에서는 원수가 되어 만나도 인사도 안 하는 교수가 한둘이 아니었다. 자기 스스로 “나는 남 잘 되는 것은 못 보는 사람이다”라고 말을 하고 다녔다. 학생들이 말은 안 했지만, 속으로 다 경멸하고 있었다.
그의 성장 배경을 알아봤더니,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일본으로 건너가 대학을 다닐 때는 부두에서 짐을 날라 돈을 벌었다. 월급은 얼마 못 받으면서 사람 취급을 받지 못했던 것이다. 그때 사회를 보는 눈이 완전히 뒤틀린 것이었다. 그래서 그 뒤 대학교수가 되어서도 다른 사람은 다 잘사는 집에서 호화롭게 자라고 자기 혼자만 고생한 것으로 생각하여 우리나라에서 자기보다 나은 사람은 다 시기하고 질투하는 성격이 되어 버린 것이었다.
자기가 노력하지 않으면 나중에 출세하여 지위가 올라간다고 하여 인격도 따라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자기를 희생한다는 것은 보통 사람으로서는 하기도 어렵고, 남에게 강요할 일도 아니다. 그러나 자기도 잘 되고 남도 잘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는 것이 정상적인 생각이다.
사회 구성원 대다수가 이런 사람이 되어야만 건전한 정상적인 사회가 될 수 있다. 자기만 잘 되어야 하고 다른 사람은 잘 되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은 정신적으로 정상이 아니다.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이 혹 있다면. 하루 빨리 고치도록 노력해야 한다. 남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사람이 많으면. 사람들이 늘 불안하고 불쾌하여 살 맛이 나지 않는다. 경제적 성장에 맞추어 삶의 질도 높여야겠다.
과거에 한나라당 대표가 불의의 피습을 당해 얼굴에 큰 상처를 입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한나라당을 지지하든 안 하든 상관 없이 얼굴에 큰 상처를 입게 된 사건을 보고 마음 아파하고 안쓰러워 하는 것이 정상적인 사람의 정상적인 감정이다. 그런데 노사모 소속의 어떤 사람이 비웃는 듯하면서 고소하다는 듯한 표현의 글을 인터넷에 올렸다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매서운 질타(叱咤)를 받았고, 열린우리당 의원 가운데서도 그 비슷한 발언을 했다가 당 동지들로부터 매서운 공격을 받았다.
그래도 우리나라 국민들 대다수는 남의 불행을 나의 불행처럼 생각하고 남의 아픔을 나의 아픔으로 생각하는 아름다운 마음씨를 가졌음이 증명되었으니. 우리나라는 희망이 있는 나라다.
▶️ 幸(다행 행)은 ❶회의문자로 夭(요; 일찍 죽다)와 屰(역; 거역하다)의 합자(合字)이다. 일찍 죽는 것을 면함을 좋은 일로 생각하여 다행하다의 뜻으로 쓰인다. ❷상형문자로 幸자는 '다행'이나 '행복'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幸자는 干(방패 간)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방패'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갑골문에 나온 幸자를 보면 양손을 묶는 수갑과 벽에 고정하는 쇠사슬이 그려져 있었다. 수갑은 죄를 지은 사람의 신체를 구속하기 위한 도구이다. 그런데 왜 수갑을 그린 글자가 '다행'이나 '행복'을 뜻하게 된 것일까? 한자는 지배계층이 만든 문자다. 그들로서는 죄를 지은 사람을 잡은 것이 천만다행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幸(행)은 ①다행(多幸), 행복(幸福), 좋은 운(運) ②요행(僥倖), 뜻하지 않은 좋은 운(運) ③거둥(擧動: 임금의 나들이) ④은총(恩寵), 베풀어 준 은혜(恩惠) ⑤오래 사는 일 ⑥다행히, 운좋게 ⑦다행하다, 운이 좋다 ⑧기뻐하다 ⑨임금이 사랑하다, 임금의 사랑을 받다 ⑩바라다, 희망하다 ⑪행복하게 하다 ⑫행복을 주다, 은혜를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⑬좋아하다, 즐기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복된 좋은 운수로 생활의 만족과 삶의 보람을 느끼는 흐뭇한 상태를 행복(幸福), 행복한 운수나 좋은 운수를 행운(幸運), 사회가 어지럽게 되기를 바람을 행란(幸亂), 재앙이 일어나기를 바람을 행화(幸禍), 서로 사이가 벌어져서 틈이 생기기를 바람을 행흔(幸釁), 행복한 사람을 행인(幸人), 다행을 바람이나 행여나 하여 바람을 행기(幸冀), 운수가 좋음 또는 일이 좋게 됨이나 뜻밖에 잘 됨을 다행(多幸), 행복하지 못함을 불행(不幸), 하늘이 준 다행을 천행(天幸), 기쁘고 다행함을 희행(喜幸), 감격하고 다행하게 여김을 감행(感幸), 마음에 잊혀지지 아니하는 다행한 일을 경행(耿幸), 더할 수 없이 다행함을 지행(至幸), 남에게 아첨하여 귀염을 받음을 폐행(嬖幸), 다시 더할 수 없이 다행하다는 말을 행막행의(幸莫幸矣), 남의 재난을 다행으로 여기는 것은 어질지 못하다는 말을 행재불인(幸災不仁), 남이 재화를 입음을 보고 좋아한다는 말을 행재요화(幸災樂禍), 매우 다행함을 이르는 말을 천만다행(千萬多幸), 부귀 할지라도 검소하여 산간 수풀에서 편히 지내는 것도 다행한 일이라는 말을 임고행즉(林皐幸卽), 다행하여 썩 행복하다는 말을 다행다복(多幸多福), 요행을 노리는 화살은 자주 차질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사행심의 발동으로 하는 일은 성취하기 어려움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사행삭질(射幸數跌), 공교롭게 아주 못된 때를 만남을 이르는 말을 봉시불행(逢時不幸) 등에 쓰인다.
▶️ 災(재앙 재)는 ❶회의문자로 烖(재)가 본자(本字)이다. 火(화)는 불로 인한 화(禍), 巛(천)은 물의 흐름을 막다의 뜻으로, 지장이 생기다, 재난(災難), 재앙(災殃)의 뜻을 나타낸다. ❷회의문자로 災자는 '재앙'이나 '화재', '죄악'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災자는 火(불 화)자와 巛(내 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천재지변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재앙은 우리에게 큰 피해를 주게 된다. 그중에서도 '화재'와 '홍수'는 우리에게는 가장 큰 재앙이었다. 災자는 그러한 인식이 반영된 글자로 火자는 '화재'를 巛자는 '홍수'를 뜻하고 있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火자와 宀(집 면)자가 결합한 灾자가 쓰인다. 그래서 災(재)는 (1)재액(災厄) (2)재상(災傷) 등의 뜻으로 ①재앙(災殃) ②화재(火災) ③죄악(罪惡) ④불태우다 ⑤재앙(災殃)을 내리다 ⑥응징(膺懲)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액 액(厄), 재앙 앙(殃), 재앙 화(禍)이다. 용례로는 천변지이로 인한 온갖 불행한 일을 재앙(災殃), 재앙으로부터 받은 피해를 재해(災害), 뜻밖에 일어나는 불행한 일을 재난(災難), 재앙과 화난을 재화(災禍), 재앙과 액운을 재액(災厄), 재앙으로 인하여 생기는 변고를 재변(災變), 재앙이 되는 괴이한 일을 재이(災異), 재앙을 입은 사람에게 조세나 부역을 면제하여 줌을 재면(災免), 재해로 말미암아 곡식이 잘 여물지 않는 현상을 재겸(災歉), 불이 나는 재앙 또는 불로 인한 재난을 화재(火災), 자연 현상으로 일어나는 재난을 천재(天災), 재해를 막음을 방재(防災), 산업 재해를 산재(産災), 사람의 잘못으로 인해 일어나는 재앙을 인재(人災), 가뭄으로 인한 재앙을 한재(旱災), 재난에서 구함을 구재(救災), 서리가 일찍 내리거나 또는 너무 많이 와서 곡식이 해를 입음을 상재(霜災), 복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재앙이 생긴다는 말을 복과재생(福過災生), 지진이나 홍수나 태풍 따위와 같이 자연 현상에 의해 빚어지는 재앙을 이르는 말을 천재지변(天災地變), 뜻밖의 재해를 이르는 말을 불의지재(不意之災), 불이 나는 재앙 또는 불로 인한 재난을 이르는 말을 회록지재(回祿之災), 말이 춤추는 꿈을 꾸면 화재가 일어난다는 데서 나온 말로 화재를 달리 이르는 말을 무마지재(舞馬之災), 삼재와 팔난으로 모든 재앙과 곤란을 일컫는 말을 삼재팔난(三災八難), 남의 재난을 다행으로 여기는 것은 어질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을 행재불인(幸災不仁), 남이 재화를 입음을 보고 좋아함을 이르는 말을 행재요화(幸災樂禍), 무사히 오래 삶이나 재앙이 없이 목숨을 연장함을 이르는 말을 연명식재(延命息災) 등에 쓰인다.
▶️ 樂(노래 악, 즐길 락/낙, 좋아할 요)은 ❶상형문자로 楽(락)의 본자(本字), 乐(락)은 간자(簡字)이다. 현악기를 본뜬 글자, 신을 모시는 춤을 출 때 손에 가지는 방울을 본뜬 글자, 북 따위의 타악기를 본뜬 글자 등의 유래가 존재한다.기본 음가는 악이고, 전주된 음가로 락과 요가 있다. 락은 주로 형용사로 사용될 때, 요는 좋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락이 두음법칙이 적용되면 낙으로 표기된다. ❷상형문자로 樂자는 '음악'이나 '즐겁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樂자는 본래 악기의 일종을 뜻했던 글자였다. 갑골문에 처음 등장한 樂자를 보면 木(나무 목)자에 絲(실 사)자가 결합한 모습이었다. 이것은 거문고처럼 실을 튕겨 소리를 내는 악기와 줄을 표현한 것이다. 금문에서는 여기에 白(흰 백)자가 더해지게 되는데, 이것은 줄을 튕길 때 사용하는 피크를 뜻하기 위해서였다. 또 음악을 들으면 즐거우므로 '즐겁다'라는 뜻도 파생되었다. 그래서 樂(악)의 경우는 ①노래, 음악(音樂) ②악기(樂器) ③연주하다 ④아뢰다(말씀드려 알리다) 등의 뜻이 있고, 樂(락/낙)의 경우는 ⓐ즐기다(락) ⓑ즐거워하다(락) ⓒ편안하다(락) ⓓ풍년(豐年)(락) ⓔ즐거움(락) 등의 뜻이 있고, 樂(요)의 경우는 ⓕ좋아하다(요) ⓖ바라다(요)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노래 가(歌), 노래 요(謠), 노래 구(謳)이다. 용례로는 인생을 즐겁게 여기거나 세상을 밝고 좋게 생각함을 낙관(樂觀), 아무런 걱정이나 부족함이 없이 살 수 있는 즐거운 곳을 낙원(樂園), 늘 즐겁게 살 수 있는 곳을 낙토(樂土), 재미 붙일 만한 일을 낙사(樂事), 경기 등에서 힘들이지 않고 쉽게 이기는 것을 낙승(樂勝), 세상이나 인생을 즐겁게 생각함을 낙천(樂天), 노래의 곡조를 악곡(樂曲), 음악 기구를 악기(樂器), 작곡에 관한 착상이나 구상을 악상(樂想), 음악에서 연주되는 음의 배열을 악보(樂譜), 노랫소리 또는 가락스런 소리를 악음(樂音), 음악을 연주하는 단체를 악단(樂團), 물을 좋아함을 요수(樂水), 산을 좋아함을 요산(樂山), 즐기기는 하나 음탕하지는 않게 한다는 뜻으로 즐거움의 도를 지나치지 않음을 일컫는 말을 낙이불음(樂而不淫), 즐거움도 극에 달하면 슬픔이 생긴다는 말을 낙극애생(樂極哀生), 타향의 생활이 즐거워 고향 생각을 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낙이사촉(樂而思蜀), 즐거움은 언제나 걱정하는데서 나온다는 말을 낙생어우(樂生於憂), 안락은 고통의 원인이라는 말을 낙시고인(樂是苦因), 천명을 깨달아 즐기면서 이에 순응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낙천지명(樂天知命),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를 행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을 낙이망우(樂而忘憂), 즐거움에 젖어 촉 땅을 생각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쾌락 또는 향락에 빠져 자신의 본분을 망각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을 낙불사촉(樂不思蜀), 즐거움 속에 삶이 있다는 뜻을 나타냄을 일컫는 말을 낙중지생(樂中之生), 좋아서 하는 일은 아무리 해도 지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요차불피(樂此不疲),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산수 경치를 좋아함을 이르는 말을 요산요수(樂山樂水) 등에 쓰인다.
▶️ 禍(재앙 화)는 ❶형성문자로 旤(화)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보일 시(示=礻; 보이다, 신)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문책(問責)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 咼(화)로 이루어졌다. 신의 문책, 타박 등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禍자는 ‘재앙’이나 ‘화를 입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禍자는 示(보일 시)자와 咼(화할 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咼자는 앙상한 뼈와 입을 함께 그린 것이다. 그래서 갑골문에서는 咼자가 ‘재앙’을 뜻했었다. 금문에서는 신이 내린 벌을 뜻하기 위해 示자가 더해지면서 지금은 禍자가 ‘재앙’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禍(화)는 (1)모든 재앙(災殃)과 액화(厄禍) (2)몸과 마음에나 또는 일에 뜻밖에 당하는 불행(不幸)이나 손실(損失) 등의 뜻으로 ①재앙(災殃) ②재화(災禍) ③사고(事故) ④허물 ⑤죄(罪) ⑥재앙(災殃)을 내리다 ⑦화를 입히다 ⑧해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액 액(厄), 재앙 앙(殃), 재앙 재(災),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복 복(福)이다. 용례로는 재앙과 복을 화복(禍福), 재앙을 가져올 근원을 화근(禍根), 재앙과 환난을 화난(禍難), 재앙과 난리를 화란(禍亂), 재앙에 가까이 가는 단계를 화제(禍梯), 재앙의 원인을 화인(禍因), 화를 일으킬 실마리를 화단(禍端), 재변이 아직 드러나지 아니하고 잠겨 있는 기틀을 화기(禍機), 매우 심한 재액을 화변(禍變), 좋지 못한 일을 화사(禍事), 재앙이 벌어지는 빌미를 화색(禍色), 재앙을 주는 신을 화신(禍神), 남을 해치려는 마음을 화심(禍心), 참혹한 재화를 참화(慘禍), 전쟁이나 난리로 말미암은 재앙을 병화(兵禍), 화를 남에게 넘겨 씌움을 가화(嫁禍), 흉악한 재앙을 흉화(凶禍), 재앙을 불러들임을 고화(賈禍), 집안에 일어난 재앙을 가화(家禍), 화를 면함을 면화(免禍), 전쟁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재앙을 전화(戰禍), 병으로 말미암아 입는 재앙을 병화(病禍), 화를 당함을 봉화(逢禍), 남의 일로 말미암아 뜻밖에 당하는 재앙을 비화(飛禍), 재앙이 바뀌어서 오히려 복이 됨을 화전위복(禍轉爲福), 화복이 꼰 노와 같이 서로 얽혀 있다는 화복규묵(禍福糾纆), 화나 복이 오는 문은 정하여 있지 않다는 화복무문(禍福無門), 재앙이 되는 것은 입으로부터 나온다는, 뜻으로 말을 삼가라는 화종구생(禍從口生), 재앙은 번번이 겹쳐 오게 된다는 화불단행(禍不單行), 죄화를 입은 집안의 자손이라는 화가여생(禍家餘生), 화나 복은 모두 자신이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을 화복동문(禍福同門), 화란이 생기는 것은 다 덕이 없는 탓이라는 화생부덕(禍生不德)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