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남부 술라웨시 성장세 지속
- 마카사르에 대외 직항로가 개설됨에 따라 아시아 및 유럽과의 교역 규모 확대 전망
* 2018년 11월 14일 인도네시아 마카사르에 개최된 술라웨시 경제인 세미나 내용 및 현장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
□ 세미나 개요
행 사 명 | 한 아세안 11주년 기념 술라웨시 경제인 세미나 |
목 적 | 술라웨시 소재 기업인 대상 한-아세안 경제협력 및 사업운영 지원 |
개최일시 | 2018년 11월 14일(수) |
개최장소 | The Rinra Hotel, Macora Ballroom Ⅱ |
주최/주관 | KOTRA, FTA Center Makassar(남술라웨시주, 마카사르시 인사 참가) |
후 원 | 재인도네시아 마카사르 한인회 |
참 가 자 | 인도네시아 기업 관계자 80여명 |
세미나 현장 모습

자료원 : 코트라 수라바야 무역관 자체 촬영
□ 남 술라웨시 개요
○ 일반 개요
- 술라웨시는 인도네시아 중앙부에 있는 섬으로써, 북 술라웨시, 중앙 술라웨시, 남동 술라웨시, 남 술라웨시 4개 주(州)로 이루어져 있음.
- 남 술라웨시주의 주도는 마카사르(Makassar)이며 면적은 45,764.53 km² 이며, 인구는 약 840만 명임(2015년 기준)으로 자카르타와 비행기로 2시간 15분 거리, 수라바야와는 1시간 30분 거리임.
남 술라웨시 위치

자료원 : 구글 이미지
○ 경제
- 2018년 2분기까지 남 술라웨시의 경제 성장률은 7.38%로 전년도 대비 0.15%P 상승하였으며, 같은 기간 인도네시아 전체 경제 성장률인 5.27%에 비해 2.11%P 높았음.
- 2분기 실질 GDP는 대략 77조 루피아(약 6조 원), 명목 GDP는 116조 루피아(약 9.3조 원)를 기록했음.
- 1인당 GDP는 6천만 루피아(약 480만 원)로, 전년도 대비 12% 증가함.
- 남 술라웨시는 GDP 419조 루피아(약 33.5조 원)로 술라웨시섬 경제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작년 기준 국가 경제에서 3.08%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6년간 그 수치가 증가하였음.
남 술라웨시가 국가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

자료원 : 세미나 현장 자료
□ 남 술라웨시 주 수출 현황
○ 수출 규모 : 남 술라웨시는 2018년 1월~ 9월간 수출액은 약 9억 5백만 달러로 2017년 동기간에 기록했던 수출 실적인 7억 7천4백만 달러보다 약 17% 증가하였음.
○ 수출 품목
- 남 술라웨시의 제1 수출품은 니켈이며, 전량 일본으로 수출하고 있고 캐슈너트와 아선약과 같은 견과류 및 약재가 그 뒤를 이으면서 대부분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음.
- 또한 카카오 열매, 버터, 술, 씨앗 등 다양한 카카오 품목을 수출하고 있으며, 대부분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음.
- 소금, 석회, 유황 등은 대부분 호주로 수출되고 있음.
- 수산물 대부분은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주요 품목은 미역, 새우, 날치알 등임.
2018년 남 술라웨시 주요 수출품목

자료원 : 세미나 현장 자료
- 그 밖의 수출 품목으로는 옥수수, 국화, 커피 원두, 야자, 정향, 게, 조개, 오징어, 문어, 송진 등이 있음.
○ 주요 수출국 : 52개의 국가에 수출 중이며 주요 수출국은 일본, 중국, 미국이며, 한국은 6번째 수출국임.
□ 한국과의 수출 현황
○ 남 술라웨시의 2018년 한국과의 수출 규모는 1556만 달러로 2017년 1240만 달러보다 20.27% 상승하였음.
- 주요 수출 품목 : 야자 숯, 커피 원두, 야자수 열매, 카라기난, 밀기울, 송진, 훈제 생선, 해수어, 조개 단추, 가공 목재, 캐슈너트 껍질, 캐슈너트, 대리석, 미역, 날치알, 당밀, 새우 등임.
□ 교역의 허브 마카사르
○ 과거의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누사텡가라 제도, 술라웨시 섬, 말루쿠 섬, 파푸아)은 수출 및 수입 품목들을 자카르타 혹은 수라바야를 거쳐 교역하였으나, 현재는 남술라웨시의 수도인 마카사르를 통해서 아시아, 유럽으로 수출 및 수입하고 있음.
○ 아시아 직항로
- 2016년 1월 1일 이후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들은 마카사르를 통해 한국과 일본에 직항로를 통해 수출이 가능해졌음.
- 직항로를 이용함에 따라 아시아 주요 수출국과의 수출품 운송 시간이 단축됨.
중국: 24일 -> 16일, 일본: 28일 -> 18일, 한국: 26일 -> 17일
- 컨테이너당 비용도 대략 200$ 절약됨.
마카사르-아시아 수출 경로

자료원 : 세미나 현장 자료
○ 마카사르 – 유럽 직항로
- 올해 11월 초 PT Pelabuhan Indonesia IV는 마카사르와 유럽간 직항로를 개설하였음. 이에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의 말루쿠에서생산된 참치 통조림, 가공 생선, 날치알과 같은 수산물들이 유럽으로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말루쿠는 인도네시아 전체 수산물수출량의 30%를 차지)
-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의 컨테이너는 중국에서 먼저 통합된 후, 유럽으로 운송됨.
- 직접 수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운송 시간이 기존의 35일에서 14일 미만으로 획기적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되며, 컨테이너당 대략500$ 절약될 것임.
마카사르-유럽 수출 경로

자료원 : 세미나 현장 자료
□ 시사점
○ 남 술라웨시의 경제 규모는 확대되고 있으며, 한국과의 교역량도 빠르게 증가 중임.
○ 남 술라웨시의 주도인 마카사르가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의 새로운 교역 허브로 부상하고 남 술라웨시 또한 매력적인 투자처로 지속 점쳐지고 있음.
○ 한편, 마카사르를 통한 대외 직항로가 개설됨에 따라 기존에 인도네시아 서부지역(수마트라, 자바, 칼리만탄)에 비해 소외되었던 인도네시아 동부 지역의 교역 규모 또한 확대될 전망. 그간 수라바야를 통해 우회 교역이 이루어지다가 직항로가 개설되어 술라웨시/마카사르 - 해외 해당국가 간 직접적 교역이 가능해진 것은 큰 의미 내포
* 자료원/작성자 : KOTRA 수라바야 무역관 / 변창근 인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