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장지통(斷腸之痛)
김 좌 진(金 佐 鎭)
1889. 11. 24~1930. 1. 24
독립운동가/본관은 안동
자 명여(明汝), 호 백야(白冶)
적막한 달밤에
칼머리의 바람은 세찬데
칼끝에 찬 서리가
고국 생각을 돋구누나
삼천리 금수강산에
왜놈이 왠 말인가
단장의 아픈 마음
쓰러버릴 길 없구나
충절과 기개의 고장 홍성
김좌진 장군이 태어난 홍성은 예로 부터 충절과 기개의 고장으로
고려의 마지막 충신인 최영장군, 단족 복위를 꿈꾸든 성삼문과 성승 부자,
한말 의병 전쟁을 주도한 김복한과 이설, 조선총독부가 보기 싫다며
집을 북향으로 지은 만해 한용운 등이 모두 홍성 출신입니다.

백야 김좌진장군의 생가
충남 홍성군 길산면 행산리의 김좌진 장군 생가지를 방문한다는 것은
이 계절에 마주하는 아주 특별한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사랑채와 함께 있는 바깥문을 들어서면 아담한 "ㅡ" 자형 안채 한옥을 만나니
정갈하며 아담한 것이 우리네 옛 양반댁의 고풍스런 기와 한옥입니다.
안채 문지방 위로 장군의 자작시인 단장지통이 액자로 걸려있어
찬서리 칼바람을 마주하는 차가운 만주에서 애를 끓는 장군의 마음을 읽게 됩니다.

마당은 꽤 넓은 편으로 우물 위 한 그루 감나무가 가을 향기를 풀어내고 있었는데
인적이 끊어진 곳이라 그런지 고즈넉하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안채 뒤로 돌아서니 오후의 햇살이 장독대를 포근히 감싸고 있는지나 아주 정겹습니다.

후원의 밤나무에 걸린 알밤이 영걸어가는 가을의 풍경은
어머니의 가슴 만큼이나 포근하며 넉넉하니 아름다운 계절입니다.

생가 바깥으로 마굿간이 있어 장군의 애마인 듯한 말 한 마리가 금방이라도
문을 박차고 나와 푸른 대지 위로 달려나갈 것만 같습니다.

단정하고 깨끗하게 잘 단장된 생가지입니다.

백야 김좌진 장군 기념관
김좌진 장군의 생가와 가까이에 있는 기념관과 사당, 그리고 백야공원으로 이어지는
관람의 동선이 느리고도 편안해서 기분좋은 방문이 됩니다.


1920. 10 21~26, 6일간의 백운평, 천수평,어랑촌 등10여 차례 전투끝에 대승을 이룬
그 유명한 청산리 전투의 미니어처에 눈길이 잠시 멈추어지기도 합니다.

백야공원
김좌진 장군의 일대기와 독립군 동상이 서있는 백야공원도
생가 (生家) 방문길에 빼놓을 수 없는 구경꺼리가 될터이니 놓치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사당-백야사(白冶祠)

나홀로 들어서는 사당...

청산문으로 들어서면 그제서야 백야사(白冶祠)란 이름의 사당을 만나는데
촛대 두 자루와 향로 하나를 앞에 두고 김좌진 장군의 영정이 조용히 자리잡았습니다.


매년 10월이면 생가지인 이곳에서 장군의 구국충절의 위업을 기리고
청산리 전투의 전승을 기념하기 위한 백야 김좌진 장군 전승 기념축제가 개최됩니다.

푸른 가을 하늘 아래 홍살문이 장군의 기개를 알리려는 듯 하늘 높이로
제 키를 치켜세우고 있으니 애국충절의 기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