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사회 특유의 신분제도.
영어로 사성(四姓)·계급·혈통·인종 등을 의미하며, 어원은 포르투갈어 카스타(casta:혈액의 순수성 보존) 에서 유래했다. 인도에서는 '색(色)'을 뜻하는 바르나(varna), 또는 ‘바르나슈라마 다르마 (Varnashrama -dharma)’라고 부른다.
브라만(Brahman:사제·성직자), 크샤트리아(Kshatriya:귀족·무사), 바이샤(Vaisya:상인·농민·지주), 수드 라(Sudra:소작농·청소부·하인)의 네 가지로 분류된다.
아리아인(人)이 인도에 침입한 이후 베다시대가 전개된 기원전 1300년 전후에 성립되었다. 《베다》에 따르면, 카스트는 원래 출생이 아니라 직무와 교육의 자질에 따라 나뉘는 사회체계였으며, 사회를 평화 와 번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아리아인은 카스트를 지식인 계급(브라만), 무사 계급(크샤트리아), 생산 계급 (바이샤), 노동 계급(수드라)의 네 바르나로 구분했다.
수드라를 제외한 세 카스트는 종교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드비자(再生族)'라고도 한다. 네 카 스트는 존귀한 자와 비천한 자라는 고저(高低)의 서열을 나타내고 있어, 보다 높은 카스트에 속한 사람 은 보다 낮은 카스트에 속한 사람의 곁에만 가도 더럽혀진다고 여긴다. 낮은 카스트에 속한 사람은 부정 시(不淨視)되었다. 따라서 각 카스트는 직업을 세습했으며, 카스트 상호 간의 통혼(通婚)은 금지되었다.
또한 이 네 카스트 아래의 카스트를 불가촉천민(不可觸賤民:언터처블·하리잔)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카스트제(制)라고 할 때는 불가촉천민도 포함된다. 이러한 신분제도는 처음에는 엄격하지 않았으나 오랜 세월과 더불어 많은 금기(禁忌)를 지닌 사회규범으로 굳어졌고, 인도인들은 누구나 이 카스트 중 의 어느 하나에 자동적으로 귀속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