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찌꺼기 순환자원으로 재활용 가능
폐기물 규제에서 제외되어 절차 간소화
커피점토로 벽돌,장식품,캠핑용 숯등 개발
늘어나는 커피 소비량만큼 높아지는 커피 찌꺼기 재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최근 환경부는 커피 전문점에서 생활폐기물로 배출되는 커피찌꺼기가 순환자원으로 쉽게 인정(순환자원 인정제도: 유해성이 적고 자원으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물질을 ‘순환자원’으로 인정하여 연간 생산 실적만 확인하고 폐기물 규제에서 제외하는 제도)되어 폐기물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관련 요건과 절차를 대폭 간소화한다.
관련 규정의 정비를 위해 통상 6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해 적극행정제도를 활용하여 3월 15일부터 개선방안을 곧바로 적용하고 있다.
적극행정제도는 관련 규제나 불명확한 법령 등으로 인해 적극적인 의사결정이 어려운 경우,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적극행정위원회에 의견제시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업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환경부의 자체 제도이다.
그동안 커피 전문점 등에서 배출되는 커피찌꺼기는 생활폐기물로 취급되어 일반적으로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되어 소각·매립 처리되었다. 커피찌꺼기가 퇴비, 건축자재, 플라스틱 제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음에도 소각·매립에 따른 탄소배출등이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
커피찌꺼기 1톤 소각 시 탄소 배출량은 338kg으로 국내 커피찌꺼기 발생량은 커피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최근 들어 1.6배 가까이 증가했다.
(2012년 9만 3,397톤 → 2019년 14만 9,038톤 추정 (출처: 국회입법조사처, 2020)
그러나 별도로 허가를 받거나 신고한 업체만이 수거·처리할 수 있는등 ‘폐기물관리법’ 상의 규제가 적용되어, 늘어난 배출량을 적극적으로 재활용하는 데에는 제약이 있었다.
환경부의 이번 개선 조치는 2021년 왕겨·쌀겨에 이어, 커피찌꺼기도 폐기물 관련 규제가 면제되는 순환자원으로 인정될 수 있도록, 순환자원 인정신청 대상을 사업장폐기물 뿐만 아니라 생활폐기물까지 확대했다는 점이 강조된다.
커피찌꺼기가 연료로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인 목재펠릿에 비해 발열량이 크게 높은 것을 감안하여, 지정된 용도 외에 바이오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순환자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했다.
자원순환기본법 시행령 제3조제6호에는 ①사료, 비료, 목재제품, 활성탄·흑연 관련 제품의 원료로 사용, ②사료·비료로 직접 사용하거나 그 밖의 농업활동에 직접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순환자원으로 인정 가능하다.
폐기물관리법 제13조의3에 따라 폐기물 재활용의 원칙 및 기준 등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신규 재활용 용도․방법 등에 대해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위해성을 예측·평가한 후 안전성이 확인된 경우에 재활용 하도록 하는 재활용환경성평가를 받고 환경부 장관의 승인을 받은 유형으로 재활용하는 경우는 물론, 커피찌꺼기가 배출자로부터 유통업자를 거쳐 재활용업자 등에게 간접 공급되는 경우에도 ‘자원순환기본법’에 따른 순환자원 인정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간주하기로 했다.
가맹(프랜차이즈) 형태로 운영되는 커피 전문점이 대다수인 점을 고려하여, 가맹본부가 전국 가맹점사업자를 대신하여 가맹본부 소재지의 관할 유역(지방)환경청에 순환자원 인정 신청서를 일괄하여 제출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 경우 가맹본부의 신청서를 일괄 접수한 유역(지방)환경청은 각 가맹점사업자의 소재지 관할청에 접수 사실을 알려야 하며, 현장조사등 신청서 검토 과정에서 각 관할청의 협조를 받게 된다.
가맹본부가 동일한 커피 전문점에서 배출되는 커피찌꺼기의 성상이 유사한 점을 감안할 때 공정·설비 검사, 유해물질 함유량 분석, 전문가 의견수렴 등 절차가 모두 생략되는 것은 물론, 육안검사도 일부 사업장에 대해서만 실시하는 것으로 갈음할 수 있게 된다
커피찌꺼기가 순환자원으로 인정되어 폐기물에서 제외되면, 폐기물 수집·운반 전용차량이 아닌 일반 차량으로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활용 허가 또는 신고 없이도 자유롭게 처리할 수 있게 되어,커피찌꺼기가 버려지는 대신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되는 길이 넓어진다.
순환자원 인정현황(21.10)을 보면 고철 20건, 폐지 100건, 폐합성수지 31건, 식물성잔재물 12건,폐유리 5건, 공정오니,흑연분말,비철,폐석회등 15건이며 지난 2021년에는 왕겨 및 쌀겨도 인정되어 139건이 인정 받았다.
현재 커피찌꺼기는 소규모 생활환경속에서 탈취제,청소용등과 커피연료화(캠핑용 숯),커피점토를 활용한 다양한 장식품과 찻잔 받침대등 활용범위가 개발되고 다양해지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 1인당 커피 소비량은 약 353잔이다. 이는 20세 이상 인구의 1인당 커피 소비량을 커피잔으로 환산한 것으로 세계 1인당 커피 소비량 132잔에 비해 2.7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세계 최대의 커피 재활용업체인 영국의 바이오빈(bio-bean)은 런던에서 배출되는 커피 찌꺼기의 25%가량을 소화시킨다. 수거된 커피 찌꺼기를 활용해서 바이오디젤과 에탄올, 펠렛, 바이오 플라스틱 등을 비롯 가정용 숯(Coffee Logs)을 제작 판매하고 있다.
(환경경영신문 www.ionestop.kr.신찬기 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