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류표저(血流漂杵)
피가 강을 이루어 무거운 공이라도 띄울 수 있다는 뜻으로, 싸움이 치열하여 전사자가 많음을 이르는 말이다.
血 : 피 혈(血/0)
流 : 흐를 류(氵/7)
漂 : 떠다닐 표(氵/11)
杵 : 공이 저(木/4)
(유의어)
혈류성거(血流成渠)
혈류성하(血流成河)
출전 : 서경(書經) 무성편(武成篇)
피가 강물처럼 많이 흘러(血流) 방패까지 둥둥 떠다닌다(漂杵)는 뜻으로 엄청난 사상자를 낸 전쟁을 말하는 성어다. 전쟁 뿐 아니고 무자비한 학살의 현장을 묘사할 때도 사용된다. 시체가 산을 이루고 흘린 피가 바다를 이루는 시산혈해(屍山血海)와 똑 같은 말이다.
지난 번 네팔의 지진 참사 현장은 아수라장(阿修羅場)이라 했어도 자연재해이니 전쟁이나 학살로 인한 인위적인 현장이 더 참혹할 것이다. '공이 저(杵)'는 방아 찧을 때 사용하는 절굿공이를 말하는데 싸움터에서 갖고 다니지는 않으니 방패라는 뜻으로 풀이하는 것이 옳겠다.
은(殷)나라를 멸망시킬 때 주무왕(周武王)의 활약상을 회고한 것에 이 말이 나온다. 오경(五經) 중의 하나인 서경(書經) 무성(武成)편에 실려 있다.
상(商)나라라고도 하는 은의 마지막 왕이 주왕(紂王)인데 앞서 하(夏)나라의 마지막 왕 걸왕(桀王)과 함께 폭군의 대명사인 걸주(桀紂)로 불릴 정도로 포악했다. 향락을 좋아하고 달기(妲己)라는 애첩에 빠져 주지육림(酒池肉林)에서 허우적거리는 사이에 백성들은 도탄에 빠졌다.
무왕이 마침내 도성 남쪽에 있는 목야(牧野)에서 하늘에 대의를 맹세하고 주왕 정벌에 나섰다. 수풀과 같이 많은 수의 은나라 군사가 이끌려 나왔지만 무왕의 군사들과는 상대가 안됐다. 대적도 못하고 창을 거꾸로 들고선 뒤에 있던 자기편 군사를 공격하여 달아나게 하니 피가 강물처럼 흘러 방패를 띄울 지경이었다(前徒倒戈, 攻於後以北, 血流漂杵).
맹자(孟子)는 이 부분을 과장이 심하다며 부분만 믿는다고 했다. 포악한 주왕을 치는데 인자하다는 무왕이 그처럼 적을 죽인 피로 방패를 띄울 만큼 살상을 했을리 없고, 은나라 군사들이 무기를 거꾸로 들고 자기편 군사를 쳤을 거라고 해석한다.
혈류표저(血流漂杵)
피가 강물처럼 흘러 절굿공이가 떠다닌다는 뜻으로, 엄청난 사상자를 내는 참혹한 전쟁 또는 대학살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서경(書經)에서 유래되었다.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이 황음무도한 생활을 일삼아 백성이 도탄에 빠지자, 무왕(武王)이 마침내 주왕을 치려고 나섰다. 무왕은 은나라의 도성 남쪽에 있는 목야(牧野)에서 하늘에 대의를 맹세하고 은나라 군대와 맞서 싸웠는데, 이를 목야전투(牧野戰鬪)라고 부른다.
서경의 무성(武成) 편에 따르면, "양쪽 군대가 목야에서 결전을 벌였는데, 은나라 군대의 선봉에 선 군사들은 무왕의 군대에 대적하지 않고 오히려 창을 자기편에게 향하여 공격하며 패퇴하니, 피가 강물처럼 흘러 절굿공이가 떠다녔다(會於牧野, 罔有敵于我師, 前徒倒戈, 攻於後以北, 血流漂杵)"고 한다.
또 한(漢)나라 때 가의(賈誼)가 지은 신서(新書)의 익양(益壤)편에도 "염제(炎帝)가 무도한 짓을 일삼아 황제(黃帝)가 그를 정벌하기 위하여 탁록에서 싸우니, 피가 강물처럼 흘러 절굿공이가 떠다녔다"라는 구절이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혈류표저는 수많은 사상자를 낸 참혹한 전쟁이나 대학살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비슷한 의미의 고사성어로 혈류성하(血流成河:피가 흘러 강물을 이룸)와 혈류성거(血流成渠:피가 흘러 도랑을 이룸)가 있다.
▶️ 血(피 혈)은 ❶상형문자로 제사에 희생의 짐승의 피를 그릇에 가득 담아 바친 모양으로, 옛날엔 약속을 할 때, 이 피를 서로 빨곤 하였다. 옛날엔 皿(명; 그릇)위에 一(일)획을 썼으나 지금은 삐침별(丿; 삐침)部를 쓴다. ❷상형문자로 血자는 ‘피’나 ‘물들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血자는 皿(그릇 명)자 위로 점이 하나 찍혀있는 모습이다. 여기서 점은 ‘핏방울’을 뜻한다. 그러니 血자는 그릇에 핏방울이 떨어지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왜 그릇에 피를 받는 것일까? 고대에는 소나 양의 피를 그릇에 받아 신에게 바쳤다고 한다. 血자는 당시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었던 방식을 이용해 ‘피’를 뜻하게 글자이다. 그래서 血(혈)은 ①피 ②근친(近親) ③슬픔의 눈물 ④빨간색 ⑤월경(月經) ⑥피를 칠하다 ⑦물들이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사람 또는 동물의 몸 안에 돌며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붉은빛의 액체를 혈액(血液), 동물의 몸에서 피가 도는 줄기를 혈맥(血脈), 혈액을 체내의 각부로 보내는 관을 혈관(血管), 사람의 살갗에 드러난 피의 빛깔을 혈색(血色), 혈통의 관계가 있는 겨레붙이를 혈족(血族), 친족 간의 서로 관계가 있는 피의 혈통을 혈통(血統), 한 조상의 피를 이어받아 겨레붙이가 되는 관계를 혈연(血緣), 목숨을 부지하여 가는 피와 기운을 혈기(血氣), 가혹한 조세를 혈세(血稅), 핏속에 섞이어 있는 당분을 혈당(血糖), 핏발이 선 눈으로 어떤 일을 이루려고 애가 달아 기를 쓰고 있는 상태를 혈안(血眼), 염통의 수축과 핏줄벽의 저항으로 생기는 핏줄 안에 있어서의 피의 누르는 힘을 혈압(血壓), 참된 마음의 정성을 혈심(血心), 죽음을 무릅쓰고 맹렬히 하는 전투를 혈전(血戰), 피가 혈관 밖으로 나옴을 출혈(出血), 자기의 피를 다른 사람에게 뽑아 주는 일을 헌혈(獻血), 폐병 따위로 폐나 기관지나 점막 등에서 피를 토함을 객혈(喀血), 폐나 기관지 점막 등에서 피를 토함 또는 그 피를 각혈(咯血), 피 속의 적혈구나 혈색소의 수가 적어지는 현상을 빈혈(貧血), 몸 안에 담긴 피를 강혈(腔血), 다른 인종 사이에서 생긴 혈통을 혼혈(混血), 몸에 피가 많음을 다혈(多血), 다쳐서 흘리는 피를 유혈(流血), 나오던 피가 그침 또는 그치게 함을 방혈(防血), 생생하고 새빨간 피를 선혈(鮮血), 어느 국부 조직의 혈관 속을 흐르는 혈액의 양이 많아진 상태를 충혈(充血), 전쟁 같은 경우에 피흘려 다치거나 죽음이 없음을 무혈(無血), 피가 못 나오게 함 또는 피가 그침을 지혈(止血), 혈기에 찬 기운으로 불끈 뽐내는 한때의 용맹을 혈기지용(血氣之勇), 부모와 자식 형제와 자매 등의 가까운 혈족을 이르는 말을 혈육지친(血肉之親), 피가 강을 이루어 무거운 공이라도 띄울 수 있다는 뜻으로 싸움이 치열하여 전사자가 많음을 이르는 말을 혈류표저(血流漂杵), 혈맥이 서로 통한다는 뜻으로 골육 관계나 뜻이 맞는 친구 사이를 이르는 말을 혈맥상통(血脈相通), 혈기가 한창 씩씩함을 일컫는 말을 혈기방장(血氣方壯), 용감스럽고 의기가 있어서 죽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나이를 일컫는 말을 혈성남자(血誠男子), 나라에서 지내는 제사가 오래도록 끊이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을 혈식천추(血食千秋), 젊은 혈기로 일어나는 공연한 분을 일컫는 말을 혈기지분(血氣之憤), 핏줄이 서로 통함을 일컫는 말을 혈맥관통(血脈貫通), 서로 계승하여 법통을 전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혈맥상승(血脈上昇), 뼈에 사무치는 깊은 원수를 일컫는 말을 혈원골수(血怨骨髓), 근거없는 말을 하여 남을 함정에 빠뜨림을 일컫는 말을 함혈분인(含血噴人), 피바람과 비피라는 뜻으로 곧 격심한 혈전을 이르는 말을 혈풍혈우(血風血雨) 등에 쓰인다.
▶️ 流(흐를 류/유)는 ❶형성문자로 㳅(류)는 고자(古字), 沠(류)는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㐬(류; 아기가 태어나는 모양)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流(류)는 아기가 양수와 함께 순조롭게 흘러 나옴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流자는 '흐르다'나 '전하다', '떠돌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流자는 水(물 수)자와 㐬(깃발 유)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㐬자는 물에 떠내려가는 아이를 그린 것이다. 育(기를 육)자가 그러하듯 流자의 상단에 있는 것은 '어린아이'가 변형된 것이다. 또 아래에 있는 글자는 물살을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㐬자는 아이가 급한 물살에 떠내려가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㐬자 자체도 '흐르다'라는 뜻이 있지만, 여기에 水자를 더한 流자는 본래의 의미를 더욱 강조한 글자이다. 그래서 流(류/유)는 ①흐르다 ②번져 퍼지다 ③전(傳)하다 ④방랑(放浪)하다 ⑤떠돌다 ⑥흐르게 하다 ⑦흘리다 ⑧내치다 ⑨거침없다 ⑩귀양 보내다 ⑪흐름 ⑫사회 계층 ⑬갈래 ⑭분파(分派)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거침없이 흘러 통함을 유통(流通), 밖으로 흘러 나가거나 나오는 것을 유출(流出), 어떤 복장이나 언어나 생활 양식 등 일시적으로 널리 퍼져 유사해지는 현상이나 경향을 유행(流行), 흘러 들어옴을 유입(流入), 정처 없이 떠도는 것을 유리(流離), 물결에 비치는 달을 유광(流光), 널리 세상에 퍼지거나 퍼뜨림을 유포(流布), 이리저리 떠도는 것을 유전(流轉), 융통하여 사용함을 유용(流用), 액체 등이 흘러 움직임을 유동(流動), 물 위에 떠서 흘러가는 얼음덩이를 유빙(流氷), 하천이 흐르는 언저리의 지역을 유역(流域), 일정한 목적없이 떠돌아 다님을 유랑(流浪), 떠내려가서 없어짐을 유실(流失), 서로 주고 받음을 교류(交流), 물에 떠서 흘러감을 표류(漂流), 대기의 유동을 기류(氣流), 물이 흐르는 원천이나 사물이 일어나는 근원을 원류(源流), 물의 근원이 되는 곳의 부근을 상류(上流), 강이나 내의 흘러가는 물의 아래편을 하류(下流), 물의 원줄기에서 갈려 흐르는 물줄기를 지류(支流), 둘 이상의 흐름이 한데 합하여 흐르는 것 또는 그 흐름을 합류(合流), 혼탁한 물의 흐름을 탁류(濁流), 아무 근거없이 널리 퍼진 소문이나 터무니없이 떠도는 말을 유언비어(流言蜚語), 향기가 백대에 걸쳐 흐름이란 뜻으로 꽃다운 이름이 후세에 길이 전함을 일컫는 말을 유방백세(流芳百世), 정처 없이 떠돌아 다니며 사는 일을 일컫는 말을 유랑생활(流浪生活), 흐르는 물은 썩지 않는다는 뜻으로 항상 움직이는 것은 썩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유수불부(流水不腐), 일정한 직업을 가지지 아니하고 정처없이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는 일을 일컫는 말을 유리표박(流離漂泊), 쇠가 녹아 흐르고 흙이 그을린다는 뜻으로 가뭄이 계속되어 더위가 극심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유금초토(流金焦土),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 또는 남녀 간 서로 그리워하는 애틋한 정을 이르는 말을 낙화유수(落花流水), 돌로 양치질하고 흐르는 물을 베개 삼는다는 뜻으로 말을 잘못해 놓고 그럴 듯하게 꾸며대는 것 또는 이기려고 하는 고집이 셈을 일컫는 말을 수석침류(漱石枕流), 푸른 산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말을 거침없이 잘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청산유수(靑山流水), 피가 강을 이루어 무거운 공이라도 띄울 수 있다는 뜻으로 싸움이 치열하여 전사자가 많음을 이르는 말을 혈류표저(血流漂杵), 흐르는 물과 하늘의 뜬구름이라는 뜻으로 과거사가 흔적이 없고 허무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수류운공(水流雲空) 등에 쓰인다.
▶️ 漂(떠다닐 표)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뜨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票(표)로 이루어졌다. 물 위를 떠서 떠돌다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漂자는 ‘떠다니다’나 ‘(물에)뜨다’, ‘유랑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漂자는 水(물 수)자와 票(불똥 튈 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票자는 날아오는 불똥을 손으로 잡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나무가 타면 뿌연 재가 공중으로 날아오르게 된다. 이렇게 가볍게 날아다니는 재를 뜻하는 票자에 水자가 결합한 漂자는 물 위를 둥둥 떠다닌다는 뜻이다. 그래서 漂(표)는 ①떠다니다, 떠내려가다 ②(물에)뜨다, 띄우다 ③유랑(流浪)하다, 방랑(放浪)하다 ④나부끼다, 불다 ⑤(흔들어)움직이다 ⑥서늘하다 ⑦빨래하다 ⑧표백(漂白)하다 ⑨빠르다, 신속(迅速)하다 ⑩가벼운 모양 ⑪서늘한 모양,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물에 떠서 흘러감 또는 정처 없이 돌아다님을 표류(漂流), 정처 없이 물 위에 떠도는 것 또는 정처 없이 떠돌아 다니며 사는 것을 표박(漂泊), 철새를 달리 이르는 말을 표조(漂鳥), 어렴풋하여 뚜렷하지 않은 모양 또는 넓고 끝이 없는 모양을 표묘(漂渺), 떠돌아 다님이나 떠돌아 헤맴 또는 떠도는 큰 물결을 표랑(漂浪), 빨아서 희게 함이나 바래지게 하거나 표백제를 쓰거나 하여 희게 하는 일을 표백(漂白), 빨래하는 아낙네를 표모(漂母), 높이 떠 있음 또는 물에 둥둥 떠 있음을 표표(漂漂), 표류하여 다달음을 표도(漂到), 표류하여 온 백성을 표민(漂民), 물에 떠 내려 가서 죽음을 표사(漂死), 물에 떠 내려 가서 손실됨을 표손(漂損), 표류하여 온 사람을 표인(漂人), 큰물이 져서 떠 내려 가거나 무너짐을 표퇴(漂頹), 정처없이 떠돌아 다니는 사람을 표한(漂漢), 큰물이 져서 떠 내려 간 집을 표호(漂戶), 큰물이 져서 떠 내려 가거나 허물어짐을 표훼(漂毀), 방황하는 사람을 표객(漂客), 빨래하는 여자를 표녀(漂女), 물위에 떠서 감돌아 움직임을 표동(漂動), 바람에 불리어 정처없이 물에 떠도는 배를 표선(漂船), 물에 떠돌다 없어짐이나 떠내려가 없어짐을 표실(漂失), 높고 먼 모양을 표연(漂然), 표류하여 어떤 곳에 닿음을 표착(漂着), 빙하 때문에 이동한 작은 돌이나 모래가 부서지거나 혹은 빙하가 지반과 마찰하여 생긴 흙을 표토(漂土), 바람결에 떠서 흘러감을 표풍(漂風), 떴다 가라앉았다 함을 표몰(漂沒), 지름 256mm 이상의 큰 자갈을 표력(漂礫), 신세가 기박해서 이곳 저곳으로 떠돌아 다님을 표륜(漂淪), 땅 쏙에서 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유동하기 쉬운 모래를 표사(漂砂), 물위에 떠서 떠돌아 다님을 부표(浮漂), 무너져 떠내려 감 또는 무너지거나 떠내려 감을 괴표(壞漂), 물결에 떠 다님을 파표(波漂), 일정한 직업을 가지지 아니하고 정처 없이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는 일을 일컫는 말을 유리표박(流離漂泊), 피가 강을 이루어 무거운 공이라도 띄울 수 있다는 뜻으로 싸움이 치열하여 전사자가 많음을 이르는 말을 혈류표저(血流漂杵), 정처 없이 이리저리 떠돌아 다님을 일컫는 말을 동표서랑(東漂西浪), 여기저기로 돌아다니거나 옮겨 다니면서 삶을 일컫는 말을 전전표박(轉轉漂泊), 많은 것이 내뿜는 따뜻한 기운은 산을 움직인다는 뜻으로 뭇사람의 힘의 놀라움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중후표산(衆煦漂山) 등에 쓰인다.
▶️ 杵(공이 저, 공이 처)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木; 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午(오, 저)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杵(저, 처)는 ①공이(절구나 방아확에 든 물건을 찧거나 빻는 기구) ②절굿공이(절구에 곡식 따위를 빻거나 찧거나 할 때에 쓰는 공이) ③다듬잇 방망이 ④방패(防牌) 그리고 ⓐ공이(절구나 방아확에 든 물건을 찧거나 빻는 기구)(처) ⓑ절굿공이(절구에 곡식 따위를 빻거나 찧거나 할 때에 쓰는 공이)(처) ⓒ다듬잇 방망이(처) ⓓ방패(防牌)(처)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다듬이질하는 소리를 저성(杵聲), 절굿공이와 절구를 달리 이르는 말을 저구(杵臼), 나무로 만든 절굿공이를 저목(杵木), 외손자를 귀여워하느니 방앗공이를 귀여워 하지라는 속담에서 방앗공이 손자라는 뜻으로 외손자를 이르는 말을 저손(杵孫), 우레와 같이 세차게 짓부심을 뇌저(雷杵), 나무로 만든 달굿대를 목저(木杵), 땅을 다지는 데 쓰는 둥글고 큰 돌을 원저(圓杵), 절구에 곡식 따위를 빻거나 찧거나 할 때에 쓰는 공이를 용저(舂杵), 절구와 공이를 달리 이르는 말을 구저(臼杵), 곡식 따위를 찧는 절굿공이를 도저(搗杵), 다듬이질을 할 때 쓰는 방망이를 침저(砧杵), 귀천을 가리지 않고 사귐을 일컫는 말을 저구지교(杵臼之交), 쇠로 만든 다듬이 방망이를 갈아서 침을 만들려 한다는 뜻으로 노력하면 아무리 힘든 목표라도 달성할 수 있음을 뜻하는 말을 마철저(磨鐵杵), 쇠공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정성을 다하여 노력하면 아무리 힘든 목표라도 달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말을 철저마침(鐵杵磨鍼), 산 밑에 절구공이가더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에서 도리어 더 품귀함을 이르는 말을 산저귀저(山底貴杵), 철 절굿공이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주 오래 노력하면 성공한다는 말을 나타냄을 이르는 말을 철저성침(鐵杵成針), 피가 강을 이루어 무거운 공이라도 띄울 수 있다는 뜻으로 싸움이 치열하여 전사자가 많음을 이르는 말을 혈류표저(血流漂杵)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