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국종환 기자 = 올해 1월 서울 아파트 분양권 거래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5일 양지영 R&C 연구소가 서울부동산정보광장 분양권 거래 추이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거래량은 402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12월 718건에 비해 무려 44%가 줄어든 수치다.
올 1월부터 청약조정대상지역의 분양권 양도소득세율이 일괄 50%로 높아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난해까지는 분양권 보유 기간이 '1년 이상~2년 미만'이면 40%, '2년 이상'이면 6~40%의 세금만 내면 됐다. 하지만 올 1월부터 양도소득세 부담이 커진데다 강남 집값이 급등하면서 분양권 소유자들이 매물을 내놓지 않아 거래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실제 강남권 중심으로 분양권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 강남구는 지난해 12월 거래량이 42건이었지만 올해 1월에는 단 3건만 거래가 되면서 무려 93%가 줄었다. 서초구도 51건에서 6건으로 88% 줄었고 송파구 역시 100건에서 30건으로 70%가 감소했다.
하지만 강남 재건축 아파트에 대한 규제가 심화돼 희소성이 높아진 반면 분양권에 대한 수요는 꾸준하면서 웃돈은 강세를 보이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 블레스티지' 전용 59㎡ 분양권은 지난해 12월만 해도 최고 13억900만원에 실거래가가 신고됐었지만 현재 18억원대에 매물로 나와 있다. 1달 사이 무려 5억원 오른 것이다. 송파구 가락동 '송파헬리오시티' 전용 84㎡도 지난해 12월에 평균 12억원 가량에 거래됐지만 14억5000만원에 분양권 매물이 나와 있다.
양지영 R&C 연구소장은 "공급 물량 부족에다 양도세 부담에 따른 분양권 매물 품귀현상으로 프리미엄은 더 올라가는 분위기"라며 "수요 억제책이 아니라 강남 집값의 근본적인 원인인 공급부족 해결 방안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