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김정은이 오늘 오후 푸틴과 만날예정입니다.
이번 김정은 러시아방문 관전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북한이 러시아에 어떤무기를 얼나마나 공급할 것인가?
2. 러시아는 북한에 어떤 기술을 공유할 것인가?
3. 미국은 어떤 제재조치를 할것인가?
Kim, Putin poised for high-stakes summit amid arms deal concerns
김, 푸틴, 무기 거래 우려 속에 고위급 정상회담 준비
By Lee Hyo-jin 이효진 기자
Posted : 2023-09-12 17:00 Updated : 2023-09-13 07:44
Korea Times
2 leaders expected to seal major arms deal; US warns NK against supplying arms to Russia
2명의 지도자들은 주요 무기거래를 성사시킬 것으로 예상; 미국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하는 것에 대해 북한에 경고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arrived in Russia early Tuesday morning for a possible summit with his Russian counterpart Vladimir Putin, according to South Korea's defense ministry, amid speculations that the two leaders may strike a major arms deal.
한국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화요일 이른 아침 러시아에 도착했다. 이는 그의 러시아 대등인 블라디미르 푸틴과의 정상회담이 가능성이 있다.
A green-and-yellow armored train carrying Kim arrived at Khasan railway station in the Primorsky Krai region near the border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where he was greeted with a welcoming ceremony prepared by Russian officials, according to Japanese media outlets.
녹색과 노란색의 방탄 기차를 타고 온 김정은은 북한과 러시아 국경 인근인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하산 기차역에 도착했으며, 일본언론에 따르면 러시아 당국이 준비한 환영식으로 맞이했다.
The train then traveled farther north and passed the railway bridge over the Razdolnaya River at around 12:15 p.m. (local time), presumably heading toward Ussuriysk, Russia's state-run news agency RIA Novosti reported.
그후 기차는 북한과 러시아 국경 지역에서 더 북쪽으로 이동하여 현지 시각으로 오후 12시 15분쯤 라즈돌나야강 위의 철도 다리를 지나 우수리스크로 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러시아 국영 통신사 RIA 노보스티가 보도했다.
Ussurisysk is located some 100 kilometers north of Vladivostok, the city in the Russian Far East where Putin arrived on Monday to attend the Eastern Economic Forum (EEF).
우수리스크는 러시아 극동 지역의 도시인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쪽으로 약 100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푸틴은 월요일에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하여 동부경제포럼(EEF)에 참석하기 위한 것이었다.
The Kremlin confirmed on Tuesday that a one-on-one meeting between the two leaders will take place "in the coming days" in the region, but did not elaborate specifically when or where it will be held.
크렘린은 화요일에 두정상 간의 일대일 회담이 "이후 며칠동안" 해당지역에서 열릴 예정이라고 확인했지만 구체적인 일시나 장소는 명시하지 않았다.
But given that Putin's activities at the EEF are expected to last until late into Tuesday night, according to the Kremlin, the summit will likely take place on Wednesday.
그러나 크렘린에 따르면 푸틴의 동부경제포럼 참석은 화요일 밤 늦게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정상회담은 아마 수요일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
"There will be discussions related to bilateral relations, cooperation, trade and economic ties, and cultural exchanges," Kremlin spokesperson Dmitry Peskov was quoted as saying by Tass news agency. "Naturally, there will be an exchange of views on the regional situation and international affairs in general, as this is of interest to both Putin and our guest from Pyongyang."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양국 관계, 협력, 무역 및 경제 관계, 문화교류와 관련된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타스 통신이 보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푸틴 대통령과 평양에서 온 우리 손님 모두에게 관심이 있는 사안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지역 상황과 국제 문제 전반에 대한 의견 교환이 있을 것이다."
In his first known trip overseas in more than four years due to COVID-19-imposed border closures, Kim was accompanied by more than a dozen senior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defense and military personnel.
코로나19로 인한 국경 폐쇄로 인해 4년 넘게 해외로의 처음 알려진 김정은의 해외 출장이며, 김정은은 외교·국방 관련 고위 정부 관리들과 함께 동행했다.
South Korea's Ministry of Unification presumed the delegation to include Foreign Minister Choe Son-hui, Vice Chairman Ri Pyong-chol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of the ruling Workers' Party, Munitions Industry Department director Jo Chun-ryong and Navy Commander of the Korean People's Army Kim Myong-sik.
한국 통일부는 외무부장 최선희, 노동당 중앙 군사위원회 부위원장 리병철, 무기공업부 부부장 조춘룡, 조선인민군 해군사령관 김명식 등이 대표단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했다.
"We are seeing a lot of military personnel compared to Kim's last visit to Russia in 2019," a ministry official told reporters.
한 통일부 관계자는 "2019년 김정은의 러시아 방문과 비교했을 때 군 관계 인사들이 많이 보인다"고 말했다.
The official speculated that Kim and Putin may discuss cooperation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satellite technology, as the delegation also includes O Su-yong, head of the party's economic department, and Park Thae-song who is in charge of science and education.
해당 관계자는 또한 대표단에 경제부의 담당자인 당 경제부부장 오수용과 과학·교육을 담당하는 박태성도 포함돼 있기 때문에 김정은과 푸틴은 과학 및 위성 기술 분야에서의 협력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예상했다.
The South's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lso said it is closely monitoring for possible arms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대한민국 국방부는 두 나라 간의 무기거래 가능성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고 밝혔다.
"Given that a large number of military personnel are accompanying him, we are closely watching whether discussions on arms trade or technology transfers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will take place," Jeon Ha-kyu, a ministry spokesperson, said during a briefing.
"수많은 군 관계 인사가 동행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과 러시아 간의 무기거래나 기술이전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지 주목하고 있다"고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브리핑 중 말했다.
In response to speculation about potential weapons trade between Pyongyang and Moscow, South Korea's presidential office called on Russia to "act responsibly."
평양과 모스크바 간의 잠재적인 무기거래에 대한 추측에 대한 대응으로 대한민국 대통령실은 러시아에게 "책임감 있게 행동할 것"을 촉구했다.
"As the president has previously stated, we hope that Russia will act responsibly as a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a presidential official told reporters, noting that a lot of countries are watching the upcoming summit between Kim and Putin with concern.
"대통령이 이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의 상임이사국으로서 책임감있게 행동하기를 바란다,"고 대통령 관계자는 기자들에게 말했다. 그는 김정은과 푸틴간의 다가오는 정상회담을 많은 국가들이 우려하며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North Korea and Russia have been forging friendly ties rapidly as Moscow is becoming more desperate for munitions for its war in Ukraine. For North Korea, an increasingly isolated Russia means a good trading partner from which it can seek help in advancing its missile technology.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위한 무기를 더욱 필요로 하는 가운데, 북한과 러시아 간의 우호적인 관계가 급속히 형성되고 있다. 북한에게는 점점 더 고립된 러시아가 미사일 기술발전을 위해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좋은 무역 파트너가 된다는 의미이다.
Hours before Kim's arrival in Russia, the U.S. government renewed its warning to Pyongyang on selling arms to Moscow.
김정은이 러시아에 도착하기 몇 시간 전에 미국 정부는 평양에게 모스크바에 무기를 판매하지 말 것에 대한 경고를 다시했다.
"We urge the DPRK to abide by the public commitments that Pyongyang has made to not provide or sell arms to Russia," Adrienne Watson, spokesperson for the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Council, told reporters, Monday (local time), referring to North Korea by its official nam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변인 아드리엔 왓슨은 "우리는 북한이 러시아에게 무기를 제공하거나 판매하지 않겠다는 공개 의지를 지키기를 촉구한다,"라며 지난 월요일 (현지시간) 기자들에게 밝혔다. 북한을 그의 공식 이름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로 언급했다.
In response, the Kremlin spokesperson said it is "not interested" in warnings from Washington. Peskov also stated that Russia is ready to discuss U.N. Security Council sanctions with its comrades from North Korea. Russia and China have been blocking U.S.-led efforts at the U.N. Security Council to strengthen sanctions on Pyongyang over its intensifying missile tests.
이에 대해 크렘린 대변인은 워싱턴의 경고에 "관심 없다"고 밝혔다. 또한 페스코프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에 대해 논의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러시아와 중국은 북한의 미사일시험 제재를 강화하기 위한 미국 주도의 노력을 방해해왔다.
Kim's bulletproof train grabs attention
주목받는 김정은의 방탄 기차
For his trip to Russia, Kim once again opted for the traditional overseas travel method for North Korean leaders: a heavily armored locomotive dubbed Taeyang-ho, which translates to "Sun" in Korean.
러시아방문을 위해 김정은은 다시 한 번 북한지도자들을 위한 전통적인 해외이동수단을 선택했다: “태양호”라고 불리는 강력한 방탄 기차이다.
It appeared to be the same train Kim had used for his previous trip to Vladivostok in April 2019 for a meeting with Putin, when he traveled some 1,200 kilometers for about 20 hours. He also took the private train on a two-and-a-half day journey to Hanoi, Vietnam, for his summit with then-President Donald Trump in February 2019.
이는 2019년 4월 푸틴과의 만남을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로의 이전 방문에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때 그는 약 1,200킬로미터를 20시간 동안 여행했습니다. 또한 2019년 2월 당시 도널드 트럼프 전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베트남 하노이로의 2.5일간의 여정에도 이 기차를 이용했다.
The special train is known to be bulletproof and equipped with various amenities to ensure the leader's comfort and security. But due to its immense weight and armored features, the train travels very slowly, about 50 to 60 kilometers per hour.
이 특별한 기차는 탑승자의 편안함과 안전을 위해 다양한 편의시설로 장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방탄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방탄 특징과 엄청난 무게 때문에 기차는 시속 50~60킬로미터 정도로 아주 느리게 움직인다.
#summit정상회담#armsdeal무기거래 #defenseministry국방부 #border국경#welcomingceremony #bilateralrelations양자관계#regionalsituation지역상황#internationalaffairs국제정세 #sanctions제재 #bulletprooftrain방탄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