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미받으소서]
I. 오염과 기후 변화
오염, 쓰레기, 버리는 문화
20.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노출되는 오염들이 있습니다. 대기오염 물질에 대한 노출은 건강에, 특히 가장 가난한 이들의 건강에 광범위한 악영향을 끼쳐서 수많은 사람들이 일찍 사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요리와 난방에 사용하는 연료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연기를 흡입하면 병에 걸리게 됩니다. 모든 이에게 영향을 미치는 오염도 있습니다. 이는 교통, 공장 매연, 토양과 물의 산성화 물질, 비료,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일반적인 농업용 독극물을 통하여 발생됩니다. 상업적 이익과 관련된 기술이 이러한 문제들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제시됩니다. 그러나 사실 그러한 기술은 문제가 얽히고설킨 관계의 비밀을 알지 못하고 때로는 한 가지 문제를 해결한다지만 다시 새로운 문제를 일으킵니다.
설명 : 사람들이 환경문제에 관심을 두기 시작한 건 아마 1990년대부터일 것입니다. 당시에는 유명 가수들이 매년 잠실 체육관에 모여서 환경콘서트를 진행하기도 했고, 연탄가스, 혹은 무스나 냉각기 등에서 나오는 프레온 가스, 혹은 자동차 매연 등이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임을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한편 가스레인지에서 인덕션으로 바뀌는 주방의 풍경을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이러한 일상의 변화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과 소비를 부추기는 산업과 농업의 변화는 결국 “얽히고설킨 관계의 비밀을” 온전히 해결하지 못합니다. 인류가 그동안 “한 가지 문제를 해결”하려고 행했던 것들이 “다시 새로운 문제를” 일으켜왔으니까요. 그러기에 이제는 통합 생태론의 관점으로 오염 문제를 개인과 국가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바라봐야 합니다.
(김대건 베드로 신부/불휘햇빛발전협동조합 이사장, 대전가톨릭대학교 사무처장)
http://www.bulhuisun.com/7-7.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