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공정은 불가능한가?
인간은
사회를 이루고 산다.
그것도 대규모의 사회를 만들어서
집단의 힘으로 환경 지배를 추구한다.
규모가 커진 인간사회는
역할이 나누어지고
역할은 권력을 낳고
지배층과 기득권 세력을 낳는다.
권력은
정치권력과 경제력을 뜻하고
이것은 인간 생명체의
이기적인 자기중심주의로 인하여
불공정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인간의 본성 중 하나인
사회성이 불공정을 잉태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 생명체 집단의
필연적인 결과물이 불공정인 셈이다.
편중된 권력이 상존하는 인간사회는
공정을 기대할 수가 없다.
이것은 불변의 속성이지만
인간사회 권력은 불공정이
마치 틈틈이 일어나는 특별한 사건처럼
뉴스거리로 만들어 불공정의 속성을 숨긴다.
(무슨 무슨 게이트라고 명명하여)
대다수의 시민들은
몇몇 부패한 특권층의 타락으로 인하여
불공정한 일이 발생하는 것인 양 오해하며 산다.
그러므로 우리는
인간사회 성립조건 자체가
불공정한 속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고
지배세력이 어떤 정치성향을 갖고 있든
편견에 좌우되지 말고
지배세력의 특권을 줄이는 방향으로
사회의 법과 규칙을 다듬어야 한다.
왜냐하면
지금 자기 자신이 지배세력에 속한다 하더라도
언제 그 권역에서 탈락할지 알 수 없고
더욱이 우리의 후손들 모두가
반드시 지배세력에 속하리라는 것은
장담할 수 없는 일이며
확률적으로 지배세력은 극소수이므로
누구든지 피지배세력이 될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
특권을 줄이고
모두의 기본적 권리를 키우고 지키는 것이
자신과 후손들에게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합리적이고 심리적인 전략이 된다.
그렇게 해야만
우리 자신과 후손들을 위한
다소나마 덜 불공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
완전히 공정한 인간사회는
인간의 속성상 불가능하고
심지어 언어를 분석하기 시작하면
공정의 뜻과 기준도 바로 세우기가 어려우니
인간사회의 공정은
실현 불가능한 이상일 뿐이다.
그러므로
실용적 대안으로
대화(의사소통)를 통해 합의점을 찾아가면서
공정한 사회에 최대한 가까이 다가가는 것,
그것이 우리가 꿈꾸고 실행해야 할 일이다.
카페 게시글
한 줄의 명상
왜 공정은 불가능한가?
ondi
추천 0
조회 24
24.01.23 17:09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