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회차 MAMA 연계 수출상담회 홍콩에서 개최 -
- 아시아월드엑스포 내 홍보관, 타오바오 온라인 판촉도 함께 진행돼 -
□ 2018 MAMA 연계 수출상담회 개요
행사명
| 2018 MAMA 연계 수출상담회
|
주최/주관
| 주최 :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 KOTRA, CJ ENM,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중소기업진흥공단
|
개최일시/장소
| 일시 : 12월 14일(금) 9:30-17:00 장소 : 르네상스호텔, 아시아월드엑스포(AWE)
|
부대행사
| 타오바오 온라인 판촉전, 아시아월드엑스포 내 홍보관
|
참가품목
| 화장품, 식품, 생활용품 등 소비재
|
ㅇ 12월 14일, 홍콩 르네상스 호텔에서 2018 MAMA 연계 수출상담회가 개최됐음. 한국 기업 31개사, 해외 바이어 66개사가 참석한 가운데 기업 간 1:1 수출상담이 진행됨.
- 한국 기업의 참가 품목은 화장품, 식품, 생활용품 등 소비재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화장품 기업이 24개사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음.
ㅇ MAMA(Asian Mnet Music Awards) 행사는 CJ ENM에서 개최하는 대중음악 시상식으로서, 현재는 아시아 최고의 문화 행사로 자리 잡음. CJ ENM은 2014년부터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MAMA 연계 컨벤션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음.
- 올해 MAMA 연계 지원사업은 CJ ENM, KOTRA, 대중소농어업협력재단, 중소기업진흥공단이 협력하여 공동주관하였으며, 이중 KOTRA는 수출상담회 바이어 초청과 상담 주선을 담당했음.
□ 행사 내용
MAMA 연계 수출상담회장

1:1 수출상담

자료원: KOTRA 홍콩무역관 직접 촬영
ㅇ (참가사 간담회) 12월 13일, MAMA 시상식 및 수출상담회 개최일 하루 전 날에 공동 주관 기관 및 중소기업들이 참석한 간담회가 개최됨.
- MAMA 연계 사업 현황, 수출상담회 및 기타 부대행사의 진행 방식, 홍콩 화장품 및 식품 수출 동황, 기타 홍콩 비즈니스시 유의할 점 등에 대한 안내 및 질의응답이 진행됐음.
ㅇ (수출상담회) 수출상담회는 사전에 준비된 상담 시간표에 따라 한국 기업과 해외 바이어들의 개별 상담이 진행됐음. 한 회사당 45분의 상담 시간이 배정되었으며, 참가기업과 바이어의 희망에 따라 다수의 현장 상담도 이루어졌음.
ㅇ (부대행사) 대중소농어업협력재단, 중소기업진흥공단은 타오바오 온라인 판촉전, 아시아월드엑스포 내 전시홍보관 운영, K-Collection 홍보대사 에릭남 광고 촬영 등을 실시했음. 한류 유망 소비재를 선정하여 홍보한다는 의미의 'K-Collection' 사업은 MAMA 시상식을 관람하는 중화권 소비자들에게 중소기업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기획됨.
타오바오 온라인 판촉전 예시

□ 바이어 반응
ㅇ 수출상담회에 초청된 해외 바이어는 홍콩 30개 사, 중국 36개 사로, 수입 및 중간대리상, 소매유통상, 이커머스 소싱담당자, 온라인몰 판매상, 대형 유통망의 구매담당자 등으로 구성됨.
주요 한국기업-바이어 상담 내역
P사 (생활용품)
| 바이어는 충칭 소재의 무역회사로 P사의 제품에 큰 관심을 보임. 특히 모기 퇴치기 및 손난로 제품에 관심이 많았고 제습 기능을 탑재할 수 있는지 추가 문의함. 품목별 공급가, 판매가, 최소주문수량 등 계약조건을 상세히 이야기하고, 2019년 초 한국 본사를 방문하기로 협의함.
|
J사 (화장품)
| 바이어는 충칭 소재의 영유아 제품 전문 유통업체로서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동시 판매함. 현재 소싱하고 있지 않은 어린이 화장품에 큰 관심을 표현하였고, 계약조건 및 중국 마케팅 계획에 대해 상세히 협의했음.
|
V사 (화장품)
| 바이어는 베이징 소재의 홈쇼핑 판매 회사로, V사 만의 독특한 제품 모양에 큰 관심을 보임. 시험적으로 홈쇼핑 방송을 진행할 경우의 물량과 판매가에 대해 상세히 협의함. 향후 사항은 해당 품목 MD가 협의할 예정임.
|
F사 (식품)
| 바이어는 홍콩에서 코슈메디컬 화장품을 유통하는 회사로, 현재 매닝스 등에 납품하고 있음. 섭취하기 편리한 다이어트 식품이기에 홍콩 여성들이 선호할 것이라는 반응으로, 방한 시에 공장 방문 예정임.
|
□ 참고사항 및 시사점
ㅇ 홍콩은 중국에 이어 제2의 한국 화장품 수출 대상지역으로, 2017년 한국 화장품의 대 홍콩 수출금액은 9억 달러를 상회함. 홍콩은 중국 본토와 달리 별도의 위생허가 없이 바로 현지 시장에 진출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음.
- 홍콩에서 수입되는 한국 화장품은 홍콩 현지 소비자에게 판매, 홍콩 유통매장을 통해 중국인 관광객에게 판매, 홍콩을 경유한 대 중국 및 제3국 수출, 홍콩을 경유한 중국으로의 비공식 판매 등 다양한 경로로 유통되는 것으로 파악됨.
- 홍콩 소비자들의 한국 화장품 선호는 아직까지도 뚜렷하나, 홍콩 진출을 타진하는 한국 화장품이 많아짐에 따라 한국 화장품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현상도 불가피한 상황임.
ㅇ 홍콩의 주요 식품 수입국은 중국, 미국, 브라질, 네덜란드, 일본 등으로, 한국의 수입점유율 자체는 아직 높지 않음. 그러나 한국산 식품 수입금액와 품목의 종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ㅇ MAMA 연계 수출상담회 바이어 초청 시, 한국 화장품 및 식품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음. 특히 시장에 이미 많이 유통되고 있는 제품이 아닌 새로운 제품군, 예를 들어 남성용 화장품, 영유아 화장품, 자연주의 화장품 및 식품 등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자료원 : 국내기업 및 바이어 인터뷰, KOTRA 홍콩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