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낮엔 무덥다.” “밤엔 선선해진다.”
이 문장들을 그대로 이으면 “낮엔 무덥고, 밤엔 선선해진다”가 됩니다.
그런데 뭔가 좀 어색하지 않나요?
‘무덥다’는 ‘어떻다’, ‘선선해진다’는 ‘어찌하다’ 형태여서 그렇습니다.
앞뒤가 ‘어떻다’로든, ‘어찌하다’로든 같아져야 문장이 부드러워집니다.
“낮엔 무덥고, 밤엔 선선하다”로 하거나
“낮엔 무더워지고, 밤엔 선선해진다”로 해야 자연스럽습니다.
“몽룡이는 오고, 춘향이는 간다”는 자연스럽습니다.
그렇지만 “몽룡이는 달리고, 춘향이는 아름답다”는 부자연스럽지요.
‘달리다’는 ‘동작’(어찌하다)을, ‘아름답다’는 ‘상태’(어떻다)를 나타내기 때문인데요.
동작은 동작끼리, 상태는 상태끼리 대비돼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문장도 어색함을 줍니다.
“너무나 행복하고, 감사드립니다.” 급하다 보니 이렇게 말했을지 모릅니다.
상태를 나타내는 ‘행복하다’와 동작을 나타내는 ‘감사드리다’가 이어졌거든요.
차라리 둘로 나눠서 말하는 게 나았을 겁니다.
“너무나 행복합니다. (여러분) 감사드립니다”라고 하면 자연스럽게 들렸을 겁니다.
“관광객은 1000만 명을 돌파했고, 공항 이용객은 1억1800만 명이다.
” 여기서 ‘돌파했고’는 ‘동작’을, ‘1억1800만 명이다’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어색한 문장이 됐거든요.
“관광객은 1000만 명이고, 공항 이용객은 1억1800만 명이다”
혹은 “관광객은 1000만 명을 돌파했고, 공항 이용객은 1억1800만 명을 기록했다”처럼 바꾸어야지요.
또 “국제 물가가 오르는 중이며, 국내 물가도 상승하고 있다”에선
‘오르는 중이며’를 ‘오르고 있고’라고 해야 문장이 훨씬 깔끔해집니다.
깔끔한 문장을 어색하게 해석하는 무식함도 사라지지 않을까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