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전기 및 컴퓨터 분야에 튼튼한 기초를 갖춘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본 학부에서는 초고주파 및 광파, 반도체, 회로설계, 제어, 신호처리, 정보통신, 그리고 컴퓨터 등에 관한 고급 과목과 인공지능, 알고리즘, 컴퓨터구조, 멀티미디어 등 컴퓨터 관련 과목을 지속적으로 확충함으로써, 컴퓨터공학 분야와 전자전기공학 분야의 교육과 연구에 있어 상승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실제적인 실습과 최신 기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3개의 PC 실을 포함한 25개의 실험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컴퓨터과학부는 첨단학문인 컴퓨터학의 기초적 자질을 연마하고, 고급 컴퓨터시스템의 개발-운영 능력과 분석 능력을 갖춘 정보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표를 둡니다. 학생들은 컴퓨터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함께 고급 컴퓨터기술을 학습합니다. 기본 이론에 대한 강의와 더불어 제공되는 다양한 실습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업무 환경에서 요구되는 프로그래밍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 구조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이해함으로써, 컴퓨터비젼,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네트워크, 그리드 컴퓨팅, 무선 멀티미디어, 컴퓨터 시스템, 인공 지능, 소프트웨어 공학, 컴퓨터 보안 등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분야의 기술 발전을 선도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입니다. 컴퓨터과학부는 첨단학문인 컴퓨터학의 기초적 자질을 연마하고, 고급 컴퓨터시스템의 개발-운영 능력과 분석 능력을 갖춘 정보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표를 둡니다. 학생들은 컴퓨터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함께 고급 컴퓨터기술을 학습합니다. 기본 이론에 대한 강의와 더불어 제공되는 다양한 실습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업무 환경에서 요구되는 프로그래밍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 구조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이해함으로써, 컴퓨터비젼,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네트워크, 그리드 컴퓨팅, 무선 멀티미디어, 컴퓨터 시스템, 인공 지능, 소프트웨어 공학, 컴퓨터 보안 등 급변하는 첨단 컴퓨터 분야의 기술 발전을 선도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입니다.
| | |
|
vs

전자전기공학부
본 학부는 1996년 2월에 전기전자제어공학부로 설립되었다. 기존의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및 제어계측공학과를 통합하여 전자제어공학부로 설립되었고, 1997년 8월에 전자전기공학부(School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로 명칭 변경하였다.
본 학부는 중앙대학교의 교훈인 "의와 참"을 실현하는 전인교육의 완성과 이를 바탕으로 고도의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핵심이 되고 있는 전기, 전자, 제어계측 분야의 기초적인 이론을 통한 산업기기의 개발, 운용, 관리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산업의 선진화와 기술혁신을 위한 고급 과학기술인력을 양성함으로써, 학생 개인과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의 발전을 꾀하고 나아가서는 전 인류의 복지에 기여함을 그 근본 목표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교육방법과 제도의 계속적인 개선, 첨단의 실험 및 연구기자재 확충, 훌륭한 교수진의 확보, 교육 및 연구활동의 강화 등을 통하여 학생들 자신이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업에 임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들어 전반적인 학문과 국가적인 산업발전에 도움을 주고 궁극적으로는 미래의 복지사회 실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컴퓨터공학부
1972년 국내에서 두 번째로 설립된 전자계산학과는 1977년과 1983년 국내 최초로 석사 및 박사과정을 개설하였고, 보다 폭 넓은 교육 및 연구를 위해 1992년에 컴퓨터공학과로, 2003년부터는 컴퓨터공학부로 개칭, 학부제를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본 컴퓨터공학부는 중앙대학교 입학생중 의학 계열을 제외한 최고의 우수한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2002년 수학능력평가 기준), 현재 15명의 교수와 80여명의 대학원생, 500여명의 학부생들이 컴퓨터공학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컴퓨터공학이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데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과학적인 측면과 공학적인 측면에서 모두 다루어져야 할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학문이다. 이러한 컴퓨터공학에서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설계 및 개발, 프로그래밍을 위한 원리, 서로 다른 정보처리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컴퓨터의 특성과 제약점을 규명할 수 있는 이론과 구현, 인접학문이나 실생활에서의 응용 등을 핵심적인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본 컴퓨터공학부의 주요 연구분야로는 소프트웨어 공학, 시스템 프로그래밍, 인공지능,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비젼, 멀티미디어, 컴퓨터 그래픽스, 컴퓨터 네트워크, 전자상거래, 정보보안, 초고속 네트워크, 패턴 인식 등이며, 국내외의 연구기관 과 산업체와 활발한 산ㆍ학ㆍ연 공동 연구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컴퓨터공학부의 커리큘럼은 1, 2학년에 프로그래밍 및 컴퓨터 기본 구조 등을 위주로 공부하고 3, 4학년에서는 소프트웨어공학, 시스템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그래픽스, 인터넷 및 컴퓨터 네트워크 등의 전문분야를 공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컴퓨터공학의 이론적 기반과 실용적 부분을 겸비함으로써 원활한 관련산업 분야로의 구직과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컴퓨터공학부는 끊임없이 발전되며 새로이 개발되고 있는 컴퓨터공학의 기술과 이론을 연구하고 실습하는 교육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컴퓨터공학 기술과 이론의 발전에 힘쓰고, 정보화 사회의 선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창조적인 능력을 갖춘 많은 인재들을 양성함으로써, 국가와 인류의 번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중앙/아정컴/고민할 필요도없이 이건 중앙이다.. 미스매치 (돈없으면 시립가고)
시립//시립문과//전전컴은 중대 괜찮다고 들었는데 잘 모르겠음 ㅋ
시립/성균문/ 대체 중앙대에 프라이드 가질 건 뭐냐 ㅋㅋㅋㅋㅋㅋ
학교 이름 보고 지랄들좀 하지마라 ㅠㅠ 진짜 눈물난다 ㅋㅋ
//이거 전에 하지 않았냐?중대 전전컴이랑 어디랑 했던거 같은데
삭제된 댓글 입니다.
ㅄ아 서열게시판에 올려놨었어 안본니가 바보지 어따대고 이렇게 써놓냐 쪽지해라
내 글은 vs나오고나서 꽤있다가 올라왔다
시립/1989
시립대/서울대/등록금이 끌린다
중앙대/홍익대/당연한거 아닌가;
시립대//연공//도시가 워낙 커있어서 왠지 공대 나중에 득볼듯
시립대/고대문과/그냥.
중앙/아주공/미쓰같다;;
시립/수험생/중앙 시립 거기서 거긴데 싼게 낫다.
시립/중앙공/ 그냥 시립대 가 더좋은듯함
중앙/연세대/시립대공대라..무언가 어색하다
중앙대//08신입생// 느낌이 중앙대가 좋다
중앙/부산/이건 중앙이지
중앙/아직안다님/비교할걸 비교하셈. 시립대는 이과랑 너무 안어울리는 학교.. 도시공?고.. 시립쓴 사람들 관광방지 or 등록금때문이라는글이 많이보이네 ㅋ
무슨 하나같이 시립 찍은 사람들은 관광방지냐 ㅋㅋㅋㅋㅋㅋㅋㅋ
중앙/단국공// 시립공대 개병신
단국공이 할말은 아닌듯한데
단대새끼가 쪽팔리지도 않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중앙공대/동국대학교/;;;;;
중앙/안산한양 이과/시립은 그냥 밉다
시립/경희/ㅇㅇ
시립/시립/당연한거아닌가
중앙/인공/시립 요즘 왜케 설쳐대..죽었다 깨나도 중앙이다
시립//서울// 국공립 만세!
솔직히 시립대 좋다. 중대가 좀 더 좋지만.
시립/중앙/시립이 이거라도 이겨라. 아 글고 우리 자리 시립이가 메워라 우린 성중한으로 간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시립/한양/대장
중앙/한양/중앙ㅇㅇ
시립//서울// 그냥
중앙대/서울이과/-ㅁ-;
시립/재수//싸자나
중앙//중대이과//국립이 아니라는 점만 아니라면 전혀 꼴릴게 없음
중앙//아주공//컴공은 중앙..
중앙/경희/조아보임
시립/서강국제/관광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