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올림이) 유가족을 위해 활동하는 것이라면 모르겠지만, 그것도 아니다. 전문 시위꾼처럼 귀족노조들이 자리를 차지하는 방식으로 (활동)한다. 삼성 본관 앞에서 반올림이 농성을 하는데, 그 사람들은 유가족도 아니다. 그런 건 용서가 안 된다”
2017년 3월 6일, 양향자 당시 민주당 최고위원의 발언이다.
박근혜 탄핵을 며칠 남겨둔 촛불항쟁이 한창일 때였고,
삼성본관 앞 반올림의 농성이 기약없이 계속되던 때였고,
무엇보다 3월 6일은 고황유미를 비롯해 반도체 전자산업 산재사망자 추모의 날이었다.
피해가족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했던 농성에 대해, ‘유가족도 아니라’며 거짓으로 비난하고, ‘용서가 안된다’는 가당치 않은 표현으로 피해가족들의 가슴을 후벼팠다.
그리고 그 못된 버릇을 아직 고치지 못했다.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 검찰총장의 탄핵,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등과 같은 중대한 사안은 더더욱 국민 상식에서 바라봐야 한다" "국민께서 동의할 수 있을 정도로 논의가 무르익었을 때 가능한 일들이다. 정치권에서만 이야기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조급함을 절박함으로 혼동해선 안 된다"
언론에 소개된 1월 4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에서 양향자 의원의 발언이다.
지금 국민들의 동의가 부족하다는 말인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찬성 여론이 70%를 넘고 있다.
게다가 범죄를 저질러 감옥에 간 전직 대통령 사면과 사람을 살리기 위한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같이 놓고 언급하는 게 가당키나 한 일인가?
삼성의 노동자 출신이지만, 노동자들의 고통과 죽음에 전혀 공감하지 못하는 사람이 국회의원이고 집권여당의 최고위원이라니,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평범한 노동자들이 매일 7명씩 죽어 돌아오지 못하는 세상을 바꾸자고, 자식잃은 유족들의 단식이 25일째 이어지고 있다.
양향자 의원은 인간의 최소한의 도리부터 갖추길 바란다.
2021년 1월 4일
반도체노동자의건강과인권지킴이 반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