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모지견(皮毛之見)
껍질 위의 털 같은 견해라는 뜻으로,
내면이나 질적인 내용은 빈약하면서
외면만 보는 견해을 이르는 말이다.
皮 : 껍질 피
毛 : 터럭 모
之 : 갈 지
見 : 볼 견
오늘날은 국제화시대가 되어
각 나라 사이의 교류가 빈번하다.
전세계 어느 지역에서 일어난 일이건 간에
거의 실시간으로 정보가 전달된다.
지구촌(地球村)이라는 말이 생겨났듯이,
전세계가 한 마을 같다는 것을 실감한다.
원활한 국제교류를 위해서나
우리나라 이익을 위해서,
전세계에 우리나라를 정확하게
잘 알릴 필요가 있고,
다른 나라도 우리가 정확하게 잘 알 필요가 있다.
미국 여류소설가 '펄 벅'이 쓴 장편소설 '대지(大地)'는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번 번역되어 잘 알려져 있다.
펄 벅은 이 소설로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펄 벅은 40년 가까이 중국에서 살았고,
어릴 때 자신이 중국 사람인 줄 착각할 정도로
중국 말과 생활이 중국 사람과 다를 바 없이 익숙했다.
'대지'를 두고 사람들은 중국 작가보다
더 중국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생활습관을 잘 묘사했다고 평했다.
그러나 정작 펄 벅 본인은
“'대지'같이 외국인이 묘사한 중국 사람들의
사고방식이나 생활습관은 어딘가 모르게
몇 겹 막(膜)이 쳐져 있어,
안을 자세히 들여다볼 수 없다.
영어를 잘하는 중국 사람이 쓴 중국을
소개하는 책이 꼭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펄 벅이 미국서 임어당(林語堂)을 만나
영어로 중국을 소개하는 글을 쓸 것을 권유했다.
그렇게 해서 임어당이 저술한 책이
'나의 나라, 나의 사람(My Country, My People)'이다.
중국에서는 '중국인(中國人)' 등으로 번역되어 읽힌다.
1934년 미국에서 출판됐는데,
서양 각국에서 오랫동안 베스트셀러가 됐다.
역사상 중국을 가장 잘 소개한 책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외국어를 잘하면서 우리나라를 잘 아는 외국 사람이
우리나라를 소개하는 책이 많이 나오는 것도 좋지만,
그보다는 우리나라 사람으로서 외국어를 잘하면서
우리나라를 잘 아는 사람이 우리나라를
소개하는 책이 더 많이 나와야,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 정확하게 알려져
우리나라의 위상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가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이 쓴 책은 대부분 이미 국내에서
출판된 것을 조선족 등의 손을 빌려 번역해서
중국에서 다시 출판한 것이다.
중국을 소개하는 책자는 국내에 생각보다 많이 나와 있다.
특파원 출신, 교수 등이 쓴 책들인데,
피상적으로 쓴 것이 대부분이다.
중국 대사를 지낸 분이 중국에 대해서 쓴 책이 나왔다.
대단한 광고문구를 보고 사 봤더니,
정확한 통계숫자는 많이 제시했지만,
중국에 대한 이해는 별반 나을 것이 없었다.
왜 그럴까? 대부분 한문 실력이 부족하여
중국의 고전이나 학술 서적을 읽을
능력이 안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를 잘 알리고,
다른 나라를 잘 알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들이 좀 더 본격적으로
장기적인 외국학(外國學)
공부가 필요하다고 본다.
-옮긴 글-
http://cafe.daum.net/1664URMSAN
첫댓글 오늘은 소설(小雪) 절기 날 입니다 이제는 겨울
문턱으로.~
들어가고 첫 눈이 내리는 절기 입니다 겨울철 준비도
하시고.~
아름다운 향기의 말은 꽃보다 더 아름답고 향기롭습니다
따뜻한 말.~
한마디는 밝은내일 오늘도 좋은 하루 꿈 과 희 망 행복 하
시고 한주도 잘.~
마무리를 하시고 행복과 행운 이 가득 하기를 기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