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출처는 www.up119.co.kr 입니다..
공개된 무료 자료이며 기타 공무원 자료 해설 문제도 많이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1번 풀이
해설> 문두에 < not+부사류 >인 ‘Not until 1600’가 있으므로 분명히 문미부사류를 문두에 위치시켜서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도치가 일어나야 한다.
즉, < 조동사+S+V~ >의 어순이 되어야 하므로 ④번이 답이 된다.
2번 풀이
해설> 문미부사류인 부정부사never가 문두에 위치하여 강조되므로 문장은 반드시 도치된 구문이 된다.
즉, 도치된 ①번이 옳은 표현이다.
3번 풀이
해설1> too ~to용법에 나온 to부정사구는 형용사구이므로 to부정사구의 영어순서에서 S,C,O중 하나가 빠져 있어야 한다.
영어순서가 ‘(for us(s)) to live(v)’처럼 문제가 발생한다.
즉, to부정사구가 수식하는 명사house와 관계가 in the house이므로 ‘(for us(s)) to live(v) in’가 되어야 한다.
해설2> 전치사와 부사로 전부 사용되는 out/off/up/down은 쓰임에 주의를 해야 한다. 대명사가 타동사의 목적어역할을 하고 위와 같은 부사가 사용될 경우 반드시 영어순서는 < 타동사+대명사+부사>의 어순을 지켜야 한다.
즉, ‘ringing(v) you(o) up(ad)’
해설3> bear는 다르다, 참다, 낳다/열매를 맺다의 뜻이 있다.
낳다의 뜻이 아닌 경우 borne을 사용하고, 또 위처럼 낳다의 뜻이지만수동이 아닌 능동의 뜻인 경우도 borne을 사용한다.
그리고 설령 수동일 경우도 ~be borne by~’처럼 뒤에 행위자(by~)가있으면 borne을 사용한다.
해설4> 문미부사류를 강조하기 위해 문두에 위치할 경우 반드시 도치가 일어난다.
여기서 문미부사류는 부정부사(not, never, little, seldom, hardly, scarcely, rarely ,barely등), not+부사류, so+부사류, only+부사류>가 된다.
위 문장에서 ‘Not+ for more than five minutes(부사구)’가 되어 문미부사류가 문두에서 강조되므로 도치구문이 되어야 한다.
즉, Not for more than five minutes(ad) did he(s) hesitate(v)
4번 풀이
해설1> 동사look는 2형식동사로 사용가능하므로 보어가 와야 한다.
비교형용사thinner은 보어역할을 하므로 문법적으로 옳은 표현이다.
해설2> annoying는 현재분사구로 설명하는 명사와 능동관계가 된다.
위 문장에서 대명사me와 현재분사구annoying는 내용상 ‘내가 화가 나다’로 화나게 하는 것(능동)이 아니라 화가 나지므로 수동관계가 되어 과거분사구인 annoyed가 되어야 옳은 표현이다.
해설3> 현재분사구leaning은 자동사이므로 < V+ing >가 옳은 표현이다.
그리고 with his hands in his pocket도 < with+목적어+부사구 >로 묘사적표현이 되어 문법적으로 옳다.
해설4> 문두에 < only+부사류 >인 ‘Only when it started to rain’가 있으므로 문미부사류가 문두에서 강조되므로 도치가 일어나야 한다.
영어순서가 ‘did(조동사) he(S) notice(V) ~’로 도치구문이 되어 옳은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