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03p 비접지 방식 1선지락사고 그림에서 지락된 상이 a상이라고 하면 지락전류는 대지에서 정전용량에의해 각 상의 선로로 간 다음 좌측의 변압기와 우측의 부하 양쪽으로 흐르나요?
2. 1번에서 a상의 선로로온 지락전류는 부하쪽이 아닌 기존에 지락된 지점으로 흐르나요?
3. 105p 소호리액터 접지에서 1선지락사고시 지락전류의 방향이 대지에서 리액터와 3개의 정전용량(총 4곳)을 통해 선로로 흐르는 건가요?
4. 합조도 설명해주실때 전류 방향이 중성점에서 리액터로 흐르고 대지에서 선로로 흘렀는데 왜 이와 같은 방향인건가요? 여기서 정한 방향은 지락전류과 관계없나요?
5. 직접접지에서 a상 1선지락시 지락전류는 대지에서 중성점으로 간뒤 b나 c 상으로는 안흐르고 지락된지점으로만 흐르나요?
첫댓글 질문1.
지락되지 않은 상의 대지정전용량을 통하여 변압기 쪽으로 흐르며, 부하측과는 무관합니다.
질문2.
지락접 ~ 변압기 ~ 대지정전용량 을 통하여 흐릅니다.
질문3.
교류이므로 전류의 방향은 반주기로 바뀌게 됩니다. (높은 전위에서 낮은 전위로 흐릅니다.)
질문4.
방향은 반주기로 변경됩니다.
질문5.
직접접지의 경우는 중성점과 지락된 부분과 흐르게 되며, 나머지 상에는 흐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