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 상식은 옥탄가는 폭발압력이 높아진다.
출력이 좋와진다. 라고 막연한 생각이 있지만 출력과의 관계보다 연소효율과 관계가 깊습니다.
(연소 효율이 높아야 출력이 높은거죠 ㅋㅋ)
연소 효율과의 관계
피스톤이 상사점이 되기 바로직전(10~30도)메이커마다 다르지만 점화되어 상사점이후에 연소가
됩니다.( 유식한 말로 화염전파 구간) 이라고 도 합니다.
화염전파 구간은 점화 플러그에서 불꽃이 발생해 이불꽃이 가솔린+공기의 혼합기와 연소되는 찰라의 시간을 의미하며 이 화염전파 구간이 연소에 상당한 영향을 비치는 요소 입니다.
일반적으로 연소 속도는 압축비, 배기압력, 혼합기(온도,압력,습도), 엔진의 회전수,가솔린의 성질
등으로 영향을 받을수 있습니다.
압축비,배기압력, 엔진회전수는 고유의 것이지만 (튜업이 되지않는경우) 가솔린의 성질은 사용자가
가장 손쉽게 교환이 가능한 것 입니다.
그럼 왜 좋은가?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연소 속도와 연관이 되어있습니다.
첫째는 배기온도를 낮춘다 입니다.
고 옥탄가는 점화시기를 앞당길 수 있습니다.
1.흡기밸브 열림. 혼합기가 실린더로 유입된다. 흡기밸브 닫힘
2.압축행정 상사점 직전 10~30도 사이 점화불꽃 발생
3.상사점에서 최대 압력 발생. 그 압력에 의해 피스톤 하강.
4.배기밸브 열림 배기 로 이어집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배기밸브가 열리는 시점 . 즉 점화시기를 전진 시키므로써 연소실안에서 폭발가스가 배기밸브가 열리기 직전까지 머물면서 온도가 떨어지는것이지요. 그것은 배기온도의 감소로 이어지며
고 옥탄가는 완전연소 즉 연소실온도의 유지를 통해 점화플러그의 자기청정온도 도달 배기밸브의 열변형 등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노킹은 피스톤, 피스톤핀, 피스톤링, 컨렉팅로드, 크랭크축 과 메인베어링, 저널베어링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다음엔 노킹의 원인과 문제점 에 대해서 ...
옥탄가를 결정하는 것은 실험식에 의한 수치를 이야기 하는것 입니다.
옥탄가의 사전적 의미 :
가솔린의 앤티노크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수치가 클수록 노킹이 일어나기 힘든 가솔린이라는 것을
나타냄.
지표는 일정한 조건에서 엔진을 운전했을 때 그것과 같은 앤티노크성을 나타내는 정표준 연료(이소옥탄과 노멀헵탄의 혼합물) 중 이소옥탄의 용량을 %로 나타낸다.
옥탁가에는 이것을 구하는데 전용의 단기통 엔진을 사용하는 실험실 옥탄가와 실차에 쓰는 주행
옥탄가가 있으며, 측정 방법에 따라 다른 값이 얻어지지만, 통상 가솔린의 옥탄가라고하면 실험실
옥탄가의 하나인 리서치법으로 측정된 리서치 옥탄가를 말한다.
옥탄가는 이소옥탄과 노말헵탄의 혼합 연료 속에 포함되어있는 낮은 노멀헵탄의 용량비. 옥탄가는
내폭성이 높은 이소옥탄과 내폭성이 낮은 노멀헵탄을 선택하여 옥탄가를 100과 0 으로 정하고 이 두
연료를 적당히 혼합하여 만든 혼합 연료와 실제로 사용되는 가솔린을 C F R( Cooperative Fuel Research) 미국 연료 연구단체 엔진에 의해 비교하여 그 연료의 옥탄가를 결정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시중에 유통되는 성분이 아닌 임의의 혼합물을 사용 엔진의 압축비를 높여가면서(노킹이 발생하지 않는영역)실험한 값으로 옥탄가를 결정하게 되는것 입니다. 옥탄가가 높은것이 노킹이 일어나기 힘든
가솔린이라고 합니다. 시중에 유통되는것은 가속한 조건의 가솔린이 아닌 일반적인 가솔린 입니다.
쉽게 "일반가솔린은 레이스 버전에 아니고, 프리미엄은 레이스 버전이다." 라고 생각하시는것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그런데 왜 프리미엄을 선호 하는가 !!!
그것은 기계&자동차 등이 급속도로 발달하여 이미 공도 주행용 자동차나 바이크가 거의 준레이스버전이기 때문에 메이커에서는 강조를 하는것입니다.
고성능 자동차나 바이크에서는 메이커에서 권장하는 옥탄가가 있습니다. 연료의 성능이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서( 정제방식 혹은 첨가제의 사용) 고성능 스포츠카에다가 김빠진 휘발유 넣으면 엔진
작살 납니다.
바이크 엔진에 가솔린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들 아시겠지만. 소형 경량이며, 고출력이라는 점입니다.
그럼 바이크 엔진의 힘의 원천 가솔린(Gasoline) 이란 무엇인가?
기름이다. ㅋ ㅋ
가솔린은 대기중에서 증발이 아주 잘되고, 인화성도 강한 물질입니다.
공기중에서 공기분자와 혼합이 잘되고 혼합된 상태에서 불꽃을 갖다대면 쉽게 불이 붙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솔린은 연소속도가 빠르고 정숙하므로 고속으로 움직이는 바이크엔진에 딱입니다.
1.가솔린의 조건
충분한 안티녹크성을 지닐 것 (노킹이 일어나지 않는성질)
휘발성이 양호하며시동이 용이할 것
휘발성이 증기폐쇄를 일으킬 정도로 너무 높지 않을 것
충분한 출력을 지녀 가속이 좋을 것
연료 소비량이 적을 것
실린더 내에서 연소하기 어려운 비 휘발성 유분이 없을 것
2.가솔린의 성분은 ?
가솔린에는 탄소와 수소중 어느것이 더 많이 들어 있을까?
가솔린을 1로 보았을때 탄소는 0.856 수소는 0.144정도 들어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경유는 탄소가 0.875 수소가 0.125정도
3.현재 사용하는 무연휘발유와 유연휘발유와의 차이점
가장 큰 차이점은 성분의 차이점인데 탄소와 수소가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납성분에 의해 서 무연과
유연의 차이가 있습니다.
예전에는 배기가스 환경규제가 거의 없어서? 잘 굴러가기만 하면 됐지만 현재는 대기환경 규제를
만족시키지 못하면 차나 바이크를 팔아먹지 못하기 때문에 무연으로 바뀌게 되었 다는 설이 있습니다. 맞나?. 바이크에도 촉매가 부착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이 촉매란 녀 석이 고가입니다.
촉매는 리듐 바나듐 백금 등으로 만들어져 있어 그모양이 벌집처럼 되 어 있어 연소된 배기 가스가 촉매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유해한 성분을 감소시켜 대기중 으로 배출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촉매에 가장 큰 적은 납 성분인데 이 납 성분이 백금 표면을 덥어 화학작용을 방해하고 촉매를 막히게 하는 원인이라고 합니다.
가스차들이 이그니션 스위치 키를 온/오프 하면서 빽파이어 ~ 방구를 끼면 이촉매가 작 살납니다..ㅋㅋㅋ 기사 아저씨들 알고 잇는지..
연식이 좀 지난 차의 경우 이그조스트 다기관쪽에서 배기 가스가 새어나오는 경우 촉매까 지 점검을
해야 될껍니다.
현재 NF신념이라나~ 소나타의 경우
엔진의 방향이 측 엔진 후두를 열면 라디에이터 앞에 배기다기관이 있는데 반해 NF소나 타는 그곳에
흡기 다기관이 있다는 것입니다.
촉매의 정상작동 온도가 대략 700 ℃라고 하니까 이온도를 촉매까지 유지시키기 위해서 라고합니다.
엉뚱한 곳으로 빠졌네...ㅋㅋ
4. 기름을 만드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연료의 재료는 원유 알다시피 검고 끈적끈적한 액체입니다.
원류는 사전적의미로 지하의 유층에서 액체상으로 얻어지는 탄화수소의 혼합물 로 정의 합니다. 원유의 주성분은 탄화수소이며 세계 3대 원유 생산지는
1,두바이유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지역
2, 브랜트유-영국 북해산 원유
3, 텍사스 중질유- 미국 텍사스 생산 원유 (부시의 고향, 이것 땜시 후세인 잡는다고 지 랄하고)
원유의 생성과정은 여러 학설이 있지만, 고대의 식물이나 플랑크톤과 같은 미생물이 죽 어 모래와
점토에 파묻히고, 이것이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면서 가스와 원유로 변화되 었다고 한다.
외부환경에 의해 화학반응도 작용하지만 점토는 셰일이라는 새로운 점토층 으로 변하여 가스와 원유를 안전하게 밀폐시켜 준다고 합니다.
5. 원유의 정제 방법
증류탑에 원유를 가열하여 넣어주면 원유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들의 끓는점에 따라 층층 이 쌓이게 고, 증류탑은 위로 갈수록 온도가 낮고 아래로 갈수록 온도가 높습니다.
끓는점이 대기온보다 낮은 가스(LPG) 는 가장 상층부에 쌓이고, 끓는점이 가장 낮은 중 유는 가장 아래쪽에 쌓이게 됩니다.
그럼 가솔린은 몇 번째인가?
끓는점은 분자량과 관련이 있어서 가솔린과 같이 가벼운 분자량이 작아서 가벼운 탄화수 소는 금방 끓어 나오고 , 중유와 같이 분자량이 커서 무거운 탄화수소는 늦게 나오는 것 입니다..
끓는점
가솔린 : 50~200℃
등유 : 150~·250℃
경유 : 200~350℃
중류 : 350℃이상
LPG 액화석유가스(자동차 연료, 가정용 연료)
가솔린 휘발유(자동차 연료 화공약품 원료)
등유 (연료, 화공약품의 원료)
경유 (디젤기관의 연료, 가정용 보일러)
중유 (디젤기관의 연료, 대형 보일러 원료) 벙커-C유 라고도 한다.
아스팔트 찌꺼기 (도로포장)
원류에서 연료는 얼마나 나오나?
1배럴(159리터)의 원유를 증류 및 정제하면 어느 정도의 연료가 나올까?
각 정류사와 계절별로 다르지만
대략 원류 1배럴당(159리터)
가스 14.4
가솔린 73.7
경유 34.8
등유 15.5
중유 벙커-C유 8.7
아스팔트 찌꺼기..
가솔린의 양은 원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고 합니다.
원유는 비중에 따라 다르다 합니다..
비중은: 순수한 물 표준대기압에서 4℃인 물의 단위 체적당 중량을 1로 한다.
輕질원유 비중이 가장 낮은 경질원유를 정제하면 LPG 가솔린이 많이 나오고
中질원유
重질유는 비중이 무거운 중질유는 벙커 -c유 등과 같은 것이 많이 나온다고 하네요.
첫댓글 잠도 안자고 대단 하심. 아잉~
고급 바이크의 결론 = 고급 휘발휴 !!!이유없음!!
저같은 기계치는 공부 많이 해야겠네용...
책에 다 나온 내용 노가다 한 것 뿐입니다.,,,,,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