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일ː2020.07.18(토)
▶산행지ː주화산(565.3m) 금남호남정맥 6차
▶코 스ːA조: 부귀농협-가정마을-가정고개-622봉-641봉-조약치-주화산(금남정맥.호남정맥
분기점)-헬기장-모래재터널-적천재-570봉-곰재전적비-곰재-공정저수지-부암마을회관
▶난이도ː B+
▶누구랑ː두루두루산악회
▶시 간ː10:17∼16:20 (휴식.포함 06ː02분)
▶거 리ː약 15.93㎞
▶날 씨ː약간흐림(미세먼지 조금)
☞부귀농협(들머리)ː전북 진안군 부귀면 신정리 517-3
☞부암마을(날머리)ː전북 진안군 부귀면 세동리 1342-50
















▶호남정맥 주화산 이야기◀
주화산은 진안군 부귀면 세동리와 완주군 소양면 신원리의 경계에 565m의 산이다.
예전에는 이름이 없었으나, 2000년대 이후 산악인들이 주화산이라 이름 지었다.
호남정맥은 산경표상, 모래재 북쪽 0.6km지점의 완주 주화산
(이후로는 주화산을 조약봉으로 부름)에서 남북으로 호남정맥과 금남정맥으로
나뉘어 금남정맥은 북쪽으로 뻗고 호남정맥의 산줄기는 남쪽으로 뻗는다.
호남정맥은 전북지역을 지나는 동안 웅치, 만덕산(762m), 슬티, 경각산(660m),
오봉산, 내장산(763m), 백암산, 추월산(731m), 강천산(583.7m), 산성산 등을 일구고
전남지역을 지나면서는 무등산(1187m), 제암산(807m), 사자산, 일림산, 주월산,
조계산(884m), 백운산(1218m) 등을 일군다.
호남정맥은 그 이름처럼 호남땅의 16개 시군을 지나는 산줄기로 동서로 물을 가르고
문화와 풍습을 가른다. 섬진강(398.7km)을 중심으로 한 왼쪽은 판소리와 농악 등에서
특이한 문화권을 형성하며, 평야가 많은 만경강(50.9km), 동진강(40.6km),
영산강(168.5km), 탐진강(26,1km) 등은 평야지대의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다.
문화와 언어가 영산강과 동진강을 가르는 영산기맥에서 크게 나뉘는데,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역에서는 충청도와 비슷한 말씨를 사용하나, 영산강 문화권에 들어서면
말씨가 거세어지고 격한 발음과 홍어를 삭여서 먹는 음식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또, 남북으로 향하는 산줄기(조약봉-사자산)는 호남좌도의 서편제, 호남좌도농악과,
호남우도쪽으로는 동편제 및 호남우도농악을 가르는 경계가 된다.
호남우도는 섬진강 유역의 산악지역이고, 호남좌도는 동진강, 만경강,
영산강 일대이다. 동서로 향하는 산줄기(사자산-백운산)는 낙남정맥과
함께 우리나라의 남부해안 문화권을 구획하는 경계선이 되기도 한다.
산세는, 무등산군과 백운산군은 대표되는 산 하나로 뚜렷하나,
경각산 내장산 추월산군은 고만고만한 산들이 저마다 뽐내는 영역이다.
무등산과 존제산 구간은 군부대가 있는 지역으로 마루금으로 통과하기 힘들다.
영월부락 국도에서 과치재(130m)에 이르는 16km는 비산비야(非山非野) 지역이며,
마지막에 솟구쳐 호남정맥을 끝내는 백운산(1218m)이 가장 높다. 백운산에서
남쪽줄기를 따라 섬진강을 휘감으면서 망덕산(望德山 197m)으로 이어가다
섬진강하구에서 숨을 죽이는 산줄기는 호남기맥이 된다.





▶모래재
모래는 ‘몰’이라는 옛말로 산을 뜻하고 ‘산고개’라는 뜻이다. 과거 전주에서 진안까지
유일한 통행로는 ‘곰티재’였지만 모래재에 터널을 뚫어서 도로를 개설했으나 길이
험해서 눈으로 교통 두절이 잦자 1966년 전주에서 부귀 방향으로 우회하는
보룡고개 도로 개설로 모래재는 한적한 고개가 되었다.



▶적천재
전라북도 진안군의 부귀면 세동리에 소재한 고개이다. 군의 부귀면 세동리
적내 마을과 완주군 소양면 화심리 송정 사이의 재이다. 적천재는 웅치와
더불어 전주와 진안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로 이용되었다. 『해동지도』(진안)에
'적천치(賊川峙)'로 기재되어 있고, 그 옆에 '적로요충처(賊路要衝處)'라는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이로 미루어 적천치는 웅치(곰티재)와 더불어 '외적을 막는 중요한
고개'라는 의미가 있다. 『1872년지방지도』에는 '적전치(笛田峙)'로 되어 있어
'피리를 만드는 주재료인 대나무밭'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현재의
적천재는 이 둘의 의미를 함께 내포하면서 변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곰티재(곰치재)
전북 완주군의 소양면과 진안군 사이의 고개이다. 서쪽의 가파른 고갯길을
넘어서면 진안고원의 평지와 이어준다. 임진왜란 때에는 웅치 전투가 있었던 곳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전주)와 『여지도서』(전주)에는 '웅현(熊峴)'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이는 곰을 한자어인 '웅(熊)'으로 표기한 것이다. 곰치재는 한자어와 우리말의
합성으로 '치'와 '재'는 둘 다 고개를 의미하고 있다.『완산지(完山誌)』에는 "전부주의
동쪽 47리의 진안현과의 경계에 있는데, 정유재란 때 김제군수 정담(鄭湛, ?~1592)과
해남현감 변응정(邊應井, 1557~1592)이 앞장서서 의병을 거느리고 고갯길을 가로막고
종일 대전을 벌여 적을 무수히 죽였으나 해도 저물고 화살도 다하여 두 사람
모두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정유재란은 임진왜란의 오기이다.







♣.산사(山寺)를 찾는 이유.♣
여름 한철을 산사에서 보낸 적이 있다.
나는 산사의 새벽을 특별히 좋아했다.
새벽이면 빛이 창호지에 번져서 엷게 퍼져 나가듯이
내 마음에도 결 고운 평화가 스며들었다. 풀과 나무들이
어둠 속의 침묵을 서서히 빠져나오면서 뱉어내는
초록의 숨결. 산사의 새벽은 늘 그 기운으로
충만했다. 일어나자마자 방문을 여는 것이
하루의 시작이었다. 문을 열면 방 안은
금세 초록의 숨결로 가득 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