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한의 자연환경
가. 위치 및 면적
우리나라는 아시아 대륙의 동북쪽에 위치한 한반도와 부속 도서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도상으로 북위 33도∼43도에 속하는 온대기후지역이다.
동쪽으로는 동해와 대한해협을 사이에 두고 일본열도와 서쪽으로는 황해를 사이에 두고 중국대륙과 마주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만주와 러시아의 시베리아 지방과 접하고 있어서 예로부터 대륙과 해양을 잇는 교량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해 왔다.

북한 지역은 1953년 7월의 정전협정에 의해 설정된 군사분계선 이북지역을 말하는 것으로 면적은 우리나라 전체 면적 222,300㎢의
55%인 122,762㎢1)를 차지하고 있다.
한반도 남북의 총 길이는 약 1,100㎞이고 동서의 길이는 좁은 곳이 200㎞, 넓은 곳은
320㎞이다. 해안선 길이는 총 8,593㎞인데 이중 북한지역의 해안선은 2,495㎞이다. 또한 중국과는 1,353.2㎞ 러시아와는 16.2㎞를
각각 접하고 있어 그 접경선의 전체 길이는 1,369.4㎞이다.
나. 지형
북한의 지세는 백두대간인 낭림산맥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려 이로부터 서쪽으로 강남산맥, 적유령산맥, 묘향산맥, 언진산맥, 멸악산맥 등이
펼쳐져 있고 함경북도에서 함경남도에 걸쳐 함경산맥과 부전령산맥 등이 낭림산맥과 이어져 북부와 동부가 높고 서부와 남부로 오면서 점차 낮아진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들 산맥으로부터 발원한 여러 개의 큰 강들은 서해 및 동해로 흐르고 있으며 이들 강을 중심으로 평야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평안북도의 묘향산과 함경남도의 함흥을 연결하는 선의 이북지방은 고산지대를 형성하여 백두산(2,750m), 관모봉(2,540m),
북수백산(2,521m), 남포태산(2,433m), 와갈봉, 차일봉, 두운봉, 백산, 운령, 대연지산, 낭림산 등 2,000m가 넘는 산만도
50여개 정도이다.
이에 따라 고원지대가 발달되어 한반도의 지붕이라고 일컬을 수 있는 백무고원(백두 및 무산고원)과 개마고원을 비롯하여 장진고원, 낭림고원,
풍산고원 등 10여개의 고원지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령분지, 강계분지, 구성분지, 덕천분지, 이천분지 등 분지지형도 고루 발달되어 있다. 북한에
있는 강·하천들은 이러한 고산지역의 경사가 심한 지형을 따라 흐르고 있기 때문에 유속이 빠르고 수량도 풍부하여 동력자원으로서의 이용가치가 크다.
북한에서 가장 길이가 긴 압록강을 비롯하여 대동강, 청천강, 예성강 등 서해로 흐르는 강들은 산악지대를 벗어나서는 완만한 경사와 곡류하천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반면에 두만강, 남대천, 용흥강, 어랑천, 성천강 등 동해로 흐르는 강들은 대체로 하천의 길이가 짧고 하폭이 좁고 깊으며
거의 직류하천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북한의 평야는 큰 하천들을 중심으로 서해안지대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동해안지역에는 서해안에 비해 평야의
발달이 미약하여 규모가 작다.
주요 평야로는 평양을 중심으로 중부 및 서남부의 대동강 유역에 발달한 평양평야(950㎢)와 황해남도의 재령, 신천, 안악, 은천 등 재령강
유역에 발달한 재령평야(1,300㎢), 황해남도 연안, 배천, 청단 지역의 연백평야(1,150㎢), 평안남도의 안주, 문덕, 숙주, 평원 등
청천강 유역의 열두 삼천리평야(750㎢), 함경남도의 함주, 증평 등 성천강 유역의 함흥평야, 평안북도 압록강 유역의 용천평야 등이 있다. 또한
북한에는 크고 작은 자연호수와 인공호수가 많이 있다.
자연호수로는 양강도의 천지(9.2㎢)를 비롯하여 함경남도의 광포(9.0㎢), 함경북도의 장연호(7.7㎢) 및 만포호(8.6㎢) 등
5㎢이상의 호수만도 5개에 이른다.
인공호수는 관개용수로 이용하기 위해 만든 것과 수력발전용으로 조성된 것으로 수풍호(298.2㎢)를 비롯하여 운봉호(104.9㎢),
장진호(46.1㎢), 부전호(20.3㎢), 서흥호 등 5㎢ 이상의 호수가 25개 정도 조성되어 있다.
다. 지하자원
북한지역에는 지질적으로 시생대부터 신생대에 걸쳐 여러 지층이 형성되어 있고 지각변동의 영향으로 다양한 광물이 분포되어 있다. 대표적인
광물로는 몰리브덴, 마그네사이트, 흑연, 중정석, 운모, 형석, 은, 철, 연,아연, 알루미늄, 석탄 등을 들 수 있다.
철광석은 함경북도 무산군을 중심으로 황해남도 은률과 재령 일대, 함경남도 허천, 덕성, 북청지구 및 강원도 창도군에 매장되어 있다.
금·은·동은 평안북도 운산, 삭주지구를 비롯하여 북한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특히 북한의 주종 수출품이 되고 있는 연·아연광은 함경남도 단천과 양강도 등 20여개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함경남도
단천군의 검덕광산이 규모면에서 유명하다. 마그네사이트광은 북한지역에 전세계 매장량의 약 50%가 매장되어 있을 정도로 풍부하며, 특히 함경남도
단천군 일대에는 노천광산이 많이 산재되어 있다.
북한의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 되고 있는 석탄 역시 북한 전역에 걸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북한지역에 매장되어 있는 석탄은 대부분이
무연탄이며, 유연탄은 함경북도 아오지를 중심으로 하는 북부탄전지대와 평안남도의 안주탄전에서 주로 생산된다. 한편 원유는 매장 가능성은 있으나
경제성 여부는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북한 서부 연안 대륙붕과 동한만에 대한 시험탐사작업이 스웨덴,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등 외국 석유기업들에 의해 일부
시도되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최근 북한은 20만분의 1, 5만분의 1 지질도를 완성하고 지질탐사사업을 강화하는 등 새로운 지하자원 발굴에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라. 기후
북한의 기후는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온대지역이나 대륙성 기후의영향을 받아 겨울철에는 매우 춥고 여름에는 덥다. 그리고 여름에는 습기가많고
훈훈한 태평양쪽의 남동풍의 영향으로 자주 흐리고 무더우며 겨울에는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쪽의 북서풍의 영향으로 춥고 맑은 날씨가 계속된다.
봄과 가을은 대체로 따뜻하고 맑은 날씨가 계속되는데 봄철에는기온의 급상승에 따른 수분증발의 증가로 가장 건조한 시기가 된다. 연중 평균
바람의 속도는 전반적으로 초당 약 2∼3m 정도로 약한 편이다. 해마다 여름철에는 7∼9월중 태풍이 통과하여 적지 않은 풍수해와 해일피해를
초래하기도 한다. 그동안의 주요 태풍으로는 제니스(1995), 올리와(1997), 야니(1998), 바트(1999),
프라피룬·사오마이(2000), 라마순.루사(2002) 등으로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1995년도에는 태풍이 북한 전역에 피해를 입힌
바 있다.
기온 한반도의 연평균 기온은 10℃로써 남부지방이 14∼15℃, 중부지방이 10℃ 내외인데 비하여 북부지방은 3∼6℃로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심한 편이다.
지역별로는 동쪽의 산맥 발달과 계절풍의 영향으로 동해안이 서해안에비하여, 해안지대가 내륙지방에 비하여 다소 높은 편이다. 특히
남부해안지대는 가장 추운 1월달의 평균기온이 약 2℃ 내외인데 비하여 북부 고원 지대는 영하 18℃로 남북간의 차이가 매우 크다. 또 혜산의
연평균 기온이3.6℃인데 비하여 해주 및 원산은 11℃로써 7℃ 정도의 차이가 있고 1월평균기온은 원산의 영하 2.5℃에 비하여 혜산은 영하
16.6℃로서 약 14℃정도의 차이가 있다. 겨울은 대체로 약 5개월 동안 지속되어 남한 지역에 비해 기간이 길다. 하천의 결빙기간만도 두만강은
4개월 이상, 압록강 및 대동강은 3개월 또는 그 이상 계속된다.
그러나 여름철의 월평균 최고 온도는 혜산의 20.5℃(7월평균)에 비하여 신의주의 8월 평균기온이 3.5℃ 정도가 높을 뿐이고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월평균 최고 온도와도 별 차이가 없는 등 여름의 지역별 평균온도차는그렇게 크지 않은 편이다.

(2) 강수량
북한지역의 연간 강수량은 600㎜∼1,500㎜이며 그 중 53∼63%가 6∼8월의 3개월 동안에 내린다. 북한 주요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을
보면 장전지역(강원도 고성군)이 가장 많은 연 1,520㎜인데 비하여 혜산은 가장 적은 606㎜로써 지역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며 대체로
남한에 비해 적은 편이다.
북한의 지대별 강수량 분포를 보면 대체로 원산지방을 비롯하여 마식령산맥과 광주산맥, 적유령산맥 일대가 연평균
1,300㎜내외로 가장 많은 편이고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의 북부 내륙지방은 700㎜ 이하이며, 동북부의 두만강 유역도 600∼800㎜ 정도로
강수량이 적은 지대에 속한다.

첫댓글 학교에서 배웠겠지만 통일부 자료라서 도움이 될 것 같아 올립니다..통일편지를 쓰는 친구들과 공유하면서 북한에 있는 유성이도 생각하면서 나라사랑이 듬뿍 담긴 편지 마니마니 쓰시기 바랍니다...^^.
옮겨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