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시 정미면
봉화산(烽火山) 해발(206m) . 은봉산(隱峰山) 해발(305m) . 구은봉산 해발(282m)
산행일:2022년 09월 12일 산정 산악회 산행
산행코스:갈티고개-사관정(백)-갈티고개-206봉-봉화산-헬기장-황소고개-안국관찰대-은봉산-
임도사거리-쉼터-구은봉산-원당지-임도길-안국사지석탑 하산 거리 8km
산행 시간 3시간 20분 소요 된다
*** 산행들머리 갈티고개 ***
*** 사관정 ***
*** 갈티고개 ***
*** 소나무 숲과 잡목 숲이 우거져 있어 힐링 코스로 적합 ***
*** 특이한 기암 ***
*** 봉화산 ***
봉화산은
충남 당진시 정미면에
위치하고 봉화산 봉화(봉수)는
조선시대에 봉(햇불)과 수(연기)로 변방의
급한 소식을 중앙에 전하던 통신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봉화대 주변에는 봉화(수)군을 두어 주변을 정찰하며 적의 침공시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을 통신수단으로 활용하였고 봉화의 재료료는
말똥 소똥 및 갈대잎을 사용하였으며 봉수군은 2-3명으로 교대근무를 실
시하고 인근 마을에 주거하였으며 정미 봉화산 봉화대는 서로는 지금의
서산시 옥녀봉(북산)의 봉화대에서 신호를 받아 북으로 당진시 고산
봉화대로 전달 되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서울 남산(목멱산)의 봉화
대로 전달 하였다고 하며 옛날 국토방위의 통신현장을 복원하여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고 전통 있는 고장으로서의 자긍
심을 높이고자 1999년 8월 27일 착공하여 같은 해
12월 31일 완공하였다.
*** 봉화산 봉수대 ***
*** 황소고개 ***
*** 안국 관찰대(安國觀察臺) ***
안국관찰대는
충남 당진시 정미면 수당리
은봉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주변경관이 빼어나 주민들이 즐겨 찾았으며 조선시대에는
맞은편 봉화산의 봉화대 봉화를 관찰하였던 곳으로 당진시에서는
건강한 고장가꾸기 사업의 일환으로 정미면 은봉산 봉화산에 등산로
주차장 등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이곳을 찾는 이용객들에게 편안한
휴식처를 제공하고자 1999년 4월 8일 착공하여 같은 해 9월 30일
완공하여 안국 관찰대를 건립하였으며 이 정자의 현판은 이 고
장 출신이신 남송 채규선씨가 휘호한 것으로 인근의 안국사
(지)와 봉화산 봉화대의 유래를 살려 안국관찰대로
명명하였다고 한다.
*** 정자 쉼터 ***
*** 은봉산 ***
은봉산은
충남 당진시 정미면에
위치하는 산으로 은봉산 해발(305m)로
은봉산은 봉황이 숨어들은 산이라는 유래에서
붙여졌다는 설과 봉황이 숨어있는 형상과 닮았다는
설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며
오늘 산행 구간 중 해발이 제일 높으며
정상 표지석이 없다.
*** 임도 사거리 ***
*** 원효 깨달음 길 ***
*** 구은봉산 ***
구은봉산은
충남 당진시 정미면에 위치하는
구은봉산 해발(282m)로 정상
표지석이 없으며 조망권이
전무하고 특별한 볼거가
없다는 것이고 다만
종주 산행으로 거쳐
가는 길목에 있다.
*** 원당지 ***
*** 안국사지 석탑 ***
*** 안국사지 매향암각 ***
안국사지 매향암각은
(충남도 지정 기념물 제16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불상 후면에 있는 매향암각은 모양이 배같이
생겨서 " 배바위 " 고려모양이라 하여 '고래바위 "또는 베틀에
딸린 북모양이라 하여 "북바위 "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바위에는 매향의식을
치른 내용을 담은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매향은 향나무를 땅에 묻는 민간
불교의식으로 향나무를 통해 소원을 비는 자와 미륵불이 연결되길
바라는 신앙의 한 형태이며 이런 매향활동을 통해 고려시대 몽
고와 왜구의 침입 등으로 어려움을 겪은 지역민들이 불안한
민심을 달래고자 미륵신앙의 안식처로써 안국사를
선택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