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제가 중복이었습니다.
기후위기로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무더위가 장마 속에서도 맹위를 떨치고 있습니다.
한여름 복더위에 푹푹 찌는 더위를 나타내는 말로는 무더위를 비롯해
폭염, 폭서, 삼복더위, 불볕더위, 찜통더위, 가마솥더위 등 다양한 표현이 있습니다.
이 중 폭염(暴炎)과 폭서(暴暑)는 한자어고, 나머지는 순우리말 합성어입니다.
예전엔 폭염, 폭서가 자주 쓰였는데 요즘은 찜통더위 등 순우리말 표현이 더 많이 쓰입니다.
아무래도 더운 상황을 나타내는 데 순우리말로 하는 게 더 실감 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런 데서도 몸에 익은 고유어가 한자어 등 다른 어떤 말보다 친근하고 설득력이 있다는 게 드러납니다.
몹시 심한 더위를 나타내는 여러 말 중 오늘은 ‘무더위’를 들여다보려 합니다.
이 말의 정체는 ‘물+더위’의 결합인데요.
일상에서 쓰는 말 가운데 ‘물’과 어울려 이뤄진 게 꽤 됩니다.
무더위를 비롯해 무사마귀, 무살, 무소, 무서리, 무쇠, 무수리, 무자맥질, 무좀, 무지개...
이들이 모두 ‘물’ 합성어 입니다.
이 중 ‘무지개’가 재미있습니다.
무지개는 옛말에서 ‘물+지게’인데, 이때 ‘지게’는 등에 짐을 질 때 쓰는 그 지게가 아닙니다.
이는 ‘문(門)’을 뜻하는 말이었거든요(홍윤표 전 연세대 국문과 교수).
그러니 무지개는 곧 ‘비가 만들어낸, 하늘로 통하는 문’이란 뜻입니다.
우리 조상들이 실체만큼이나 멋들어진 말을 붙여 그 아름다움을 표현했다는 게 느껴집니다.
무더위가 ‘물’과 관련 있음을 알았으니 이제 이 말의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있겠지요?
무더위는 물기를 머금은 더위, 즉 습도와 온도가 높아 끈끈하게 더운 것을 말합니다.
요즘같이 장마 속 습한 바람과 함께 오는 끈적한 더위가 '무더위'입니다.
무더위를 나타내는 형용사가 ‘후텁지근하다’ 이잖아요.
불쾌할 정도로 끈끈하고 무더운 기운이 있다는 뜻입니다.
이에 비해 오랫동안 비도 없이 볕만 내리쬐는 심한 더위를 가리켜 ‘강더위’라 합니다.
이때의 ‘강-’은 한자말 ‘강(强)’이 아니라 순우리말입니다.
‘마른’ 또는 ‘물기가 없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입니다.
강기침(‘마른기침’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강밥(국이나 찬도 없이 맨밥으로 먹는 밥),
강울음(눈물 없이 우는 울음) 같은 데에 이 ‘강-’이 쓰였습니다.
겨울철 눈도 없고 바람도 없이 매섭게 춥기만 할 때 쓰는 ‘강추위’의 ‘강’과 같은 말이지요.
그런데 사람들이 이런 ‘강추위’를 모르고 그저 눈이 있건 말건 몹시 심한 추위란 뜻으로 ‘강추위’를 썼습니다.
그래서 <표준국어대사전>이 그것을 반영해 새로 만들어 올린 게 한자말 ‘강(强)추위’입니다.
그리고 고유어 ‘강추위’와 구별하기 위해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란 풀이를 붙였습니다.
그러면 고유어 ‘강더위’에도 비가 오면서 매우 심한 더위를 가리켜 ‘강(强)더위’란 말을 만들어야 할까요?
다행히 우리말에는 이미 ‘무더위’가 있으니 굳이 그럴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