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행사가 있을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온양시내에서 송악면 쪽으로 3㎞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이 당간지주는 화강암으로 되어 있으며, 받침부분인 기단(基壇)이 땅 속에 묻혀 있어 마주 세워진 두 기둥만 드러나 있다. 기둥머리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안쪽에는 깃대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네모난 홈이 파여져 있다. 표면이 심하게 닳아 다른 조각이 있었는지는 확인할 수가 없으며, 기둥 바깥쪽 두 모서리를 깎아내어 마치 세로줄무늬를 새긴 것 같은 효과를 냈다. 위·아래 기둥의 굵기가 별 차이없이 다듬어져 전체적으로 세련미를 보이고 있다.
지주가 자리하고 있는 지금의 위치가 본래의 자리로 여겨지며,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전체적인 양식들로 보아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당간지주는 절 앞에 세워 불교의식(佛敎儀式)에 사용하는 불번(佛幡)이라는 깃발을 걸었던 게양대(揭揚臺)의 일종이다. 기단부(基壇部)는 땅 속에 묻혀 구조를 알 수 없으나, 지주는 높이 410cm이며 화강석(花崗石) 기둥을 마주 세우고 맨끝 부분을 4분원형(四分圓形)으로 깎고, 당간을 고정시키는 작사각형의 구멍을 뚫었다. 마멸이 심하여 알 수 없으나 기둥 바깥쪽의 두 모서리를 죽였을 뿐 아무 장식이 없는 간소한 형태이다. 북조 벌판에 연못이 있고 이 일대에서 석재(石材)와 기와편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 일대가 절터였던 듯하다. 당간지주의 연대나 유래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본래의 위치에 서 있는 듯하며,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작품으로 볼 수 있다. 기둥의 너비는 55cm, 두께가 35cm이다. |